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교부적응 학생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 Teach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at School: Focusing on Alternative Classrooms in School
학교 내 대안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상-
dc.contributor.author이민정-
dc.date.accessioned2022-04-20T07:11:43Z-
dc.date.available2022-04-20T07:11:43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00000016841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8395-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41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21.8. 유성상.-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cess in which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at school, maintain their school lives through an alternative classroom in school, and to see how teachers perceive the school-adjustment process and make it meaningful. The study started with raising a question of whether it is fair to distinguish between students who are non-maladjusted and maladjust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prescribed by society and schools and to ask for change from individuals who are maladjust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driven qualitative research on teachers in charge of alternative classrooms by selecting the cases that are operated separately from ordinary classes for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at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eachers perceived the purpose of alternative classrooms as for graduation, for maintenance of school life and providing alternative educational opportunities. Also, they 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fail to adjust themselves to alternative classrooms as causing problems that are apparently noticeable, refusing classes, and being silent because they do not fit the school system. Students who exhibit these maladjustment characteristics are found mainly through the teachers continuous observation. Furthermore, a process of persuading those students to participate in an alternative classroom operates, when it is judged that they need help. Alternative classroom activities are encouraged by teachers to give options to participating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and find activities that they want to do independently rather than pre-determined. The alternative classroom consists of a variety of subject-oriented activities in a free and flexible manner. Meanwhile, school members perceptions of alternative classrooms and students where are maladjusted were mostly negative. The purpose and operation of these alternative classes served as a school life maintenance system for students who were maladjusted at school. The teachers perceived the main changes in students who were maladjusted through alternative classes as adjustment and maintenance of school life. In other words, this can be seen as an improved attitude in class before participating in alternative classes or a change in maintaining school life without leaving school. However, it was followed by opinions that such changes in students who were maladjusted are only seen for a while, and thus, the fundamental problem of maladaptation could not be seen as gone. That is, the existing schools and classrooms where students lived are still the same, and the environment that was inappropriate has not changed, so the phenomenon of maladjustment can reappear at any time. The reason why alternative classes can only serve as a temporary school life maintenance system for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at school was because it was the limitations of the standardized curriculum and assessment system as well as the expected student image in class. Furthermore, the expected student image in class which sustains such a reproduction structure, allows maladjusted students to be marginalized in school. Alternative classes were intended to provide Alternative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opportunities for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at school, but behind this, they were operated mainly for the prevention of academic interruptions through national intervention. In addition, through the ambiguous distinction between non-alternative classes and alternative classes, the method of inclusive control was chosen, rather than complete isolation of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Using the marginalized (separated) space and time of alternative classrooms, the scope of school adjustment standards and school education is expanded, and thus it looks like that the previously maladjusted individuals have changed and coexist in schools together. As such, maladjusted students were clearly recognized in school in the past, and today it seems that they coexist together, but as this study confirmed, they remain maladjusted and are becoming ambiguously marginalized.-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학생이 학교 내 대안교실을 통해 학교생활을 지속하는 과정을 파악하고, 교사는 이들의 학교적응과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의미화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사회와 학교에서 규정하는 기준에 따라 일반학생과 부적응학생을 구분 짓고, 부적응한 개인에게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에 대한 문제 제기로부터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교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학급과 구분하여 운영하는 대안교실 사례를 선택하여, 대안교실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 중심의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안교실 담당교사들은 대안교실의 목적을 졸업과 학교생활 유지, 그리고 대안적인 교육의 기회 제공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대안교실에 참여하는 학교부적응 학생의 특징으로 눈에 띄는 문제를 일으키거나, 수업을 거부하고, 학교 시스템에 맞지 않아 침묵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부적응 특징을 보이는 학생은 주로 교사의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발견되었다. 더 나아가, 도움이 필요한 수준이라고 판단될 때 대안교실에 참여하도록 해당 학생을 설득하는 과정을 거친다. 대안교실 활동은 교사가 미리 정하기보다 참여하는 부적응학생에게 선택권을 주고, 주체적으로 하고 싶은 활동을 찾도록 권장한다. 그리고 자유롭고 유연한 방식으로 다양한 주제 중심의 활동이 구성된다. 한편, 대안교실과 부적응학생에 대한 학교구성원들의 인식은 대부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안교실의 목적과 운영과정은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생활 유지기제 역할을 하였다. 교사들은 대안교실을 통한 부적응학생의 주된 변화를 학교생활의 적응과 유지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 대안교실 참여 전보다 수업 태도가 좋아졌거나, 학교를 그만두지 않고 학교생활을 유지하게 된 것을 부적응학생의 변화라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잠시 그렇게 보이는 것일 뿐 근본적인 부적응 문제가 사라진 것으로 볼 수 없다는 의견이 뒤따랐다. 즉, 학생이 생활하던 기존의 학교와 교실은 여전히 그대로이고 부적응하던 환경은 변화된 것이 없으므로 부적응 현상은 언제든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대안교실이 부적응학생의 일시적인 학교생활 유지 기제 역할밖에 할 수 없는 이유는 교실 안에서 기대하는 학생의 모습과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평가 시스템의 한계였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를 유지하게 하는 학교 안 개인은 부적응학생이 학교 안에서 주변화되도록 하였다. 대안교실은 학교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공교육 내 대안교육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그 이면에는 국가적 개입을 통한 학업중단 예방 목적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일반학급과 대안교실의 애매한 구분짓기를 통해 부적응학생의 완전한 격리가 아닌 끌어안는 통제 방식을 선택하였다. 대안교실이라는 주변화된(분리된) 공간과 시간을 이용하여 학교부적응의 기준과 학교교육의 범위를 넓혀보니, 예전에는 부적응했던 개인이 변화하여 학교 안에 함께 공존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과거에는 학교 안 부적응학생이 명확하게 인식되었다면, 지금은 함께 공존하는 듯하지만, 여전히 부적응한 상태로 애매한 주변화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 2 장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5

제 1 절 학교부적응 개념과 특징 5
1. 학교부적응의 개념 5
2. 학교부적응 특징 7
3. 학교부적응 원인 8

제 2 절 학교부적응에 대한 정책적 접근 11
1. 비행행위로서의 학교부적응 12
2. 학업중단 원인으로서의 학교부적응 13
3. 학업중단 예방정책 16

제 3 절 학교부적응 선행연구 현황 및 한계 20
1. 학교부적응 선행연구 유형 20
2. 학교부적응 문제에 대한 관점 24

제 3 장 연구방법 26
제 1 절 연구 참여자의 선정 27
1. 연구 사례 27
2. 연구 참여자 소개 30
제 2 절 자료 수집 및 분석 34
1. 면담 34
2. 면담자료 분석 36

제 4 장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또 다른 교육: 학교 내 대안교실 39
제 1 절 학교 내 대안교실의 목적 39
1. 졸업: 무사히 졸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거죠 39
2. 학교생활 유지: 잠시 숨 쉴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거죠 42
3. 학교 경험의 다양화 시도: 학교에서 또 다른 결들을 제시해주는 거죠 44
제 2 절 학교부적응으로 보이는 학생 선별 48
1.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부적응 학생의 특징 48
2. 대안교실 참여학생 선정과정 56

제 3 절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대안교실 활동 62
1. 교육의 주체성 회복: 뭐 하고 싶니?를 물어보는 것 62
2. 대안교실 활동구성의 유연성 64
3. 대안교실 활동 주제 68

제 4 절 대안교실에 대한 인식 75
1. 문제 있는 애들이 가는 곳: 대안교실에 가는 게 당연해 75
2. 학습결손에 대한 우려: 그래도 수업시간에 엎드려 있을 바에 77
3. 예산과 에너지 낭비: 굳이 이 돈을 쟤네한테? 왜 쟤네들만? 80
4. 역차별에 대한 우려: 선생님, 저도 부적응 할래요 82
5. 부적응학생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이해할 수 없는 존재들 84

제 5 장 학교부적응과 학교적응과정의 의미 87

제 1 절 학교생활 유지기제로서의 대안교실 87
1. 학교생활 적응: 태도가 조금씩 바뀌어요 87
2. 잠시 유예된 부적응: 그 환경으로 돌아가면 언젠가 부적응은 또 발생해요 91

제 2 절 학교부적응과 변하지 않은 학교 94
1. 학교가 요구하는 기준과 주변화된 부적응 95
2. 기존 틀을 유지하려는 교사 102
제 3 절 종합논의 105
1. 학교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대안교실의 모순 105
2. 부적응학생의 일시적인 학교생활 유지기제 110


제 6 장 요약 및 결론 113
제 1 절 요약 113
제 2 절 결론 115

참고문헌 117

Abstract 129
-
dc.format.extentⅵ, 131-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학교부적응-
dc.subject학교 내 대안교실-
dc.subject학업중단 예방정책-
dc.subject부적응학생-
dc.subject대안교실 담당교사-
dc.subjectSchool Maladjustment-
dc.subjectAlternative Classroom in School-
dc.subjectDropout Prevention Policy-
dc.subjectStudents who are maladjusted at schoo-
dc.subject.ddc370-
dc.title학교부적응 학생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dc.title.alternativeTeach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at School: Focusing on Alternative Classrooms in School-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Min Jung-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1-08-
dc.title.subtitle학교 내 대안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교육사회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841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6▲000000000053▲00000016841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