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생의 과학성취수준이 예비교사의 창의성장 마인드셋에 따라 창의적 아이디어 평가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tudent science achievement levels and preservice teacher creative growth mindsets on student idea creativity rating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부은주

Advisor
신종호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창의성장 마인드셋학생의 과학성취수준창의적 아이디어예비교사창의성 평가창의성장 마인드셋 개입growth creative mindsetstudents science achievement levelcreative ideapreservice teachercreativity ratinggrowth creative mindset intervention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21.8. 신종호.
Abstract
교실 내 창의적인 학생 응답에 대한 교사의 인정과 지지는 학생의 창의적 잠재성을 계발을 위한 발판이 될 수 있다. 교실 상황에서 교사는 자신의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학생 아이디어나 산출물의 창의성을 평가할 수 있다. 교실 내 학생의 창의적 아이디어에 대한 교사의 평가는 학생의 성취수준, 교사의 믿음, 산출물의 내적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가변적인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 아이디어에 대한 예비교사의 창의성 평가와 관련된 요인으로 학생의 과학성취수준과 예비교사의 창의성장 마인드셋을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 학생의 창의적 아이디어 유형별로 학생의 과학성취수준이 창의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인 간 관계에서 창의성장 마인드셋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교실 맥락을 고려하여 창의성장 마인드셋의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개입 방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생의 과학성취수준이 창의적 아이디어에 대한 예비교사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의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학생의 과학성취수준은 고성취와 저성취로, 예비교사의 창의성장 마인드셋은 창의적 마인드셋 척도의 성장 마인드셋 합산 점수로 설정하였다. 둘째, 학생의 과학성취수준과 창의성장 마인드셋 개입에 따라 학생 아이디어에 대한 예비교사의 창의성 평가가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수업 상황이라는 구체적인 맥락 안에서 실제 학생 응답을 예비교사에게 제시하여 보다 현실적인 예비교사의 반응을 이끌어내었다. 다음으로 학생 아이디어를 독창성 및 관련성 수준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하여 예비교사가 각 유형별 학생 응답의 창의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또, 이 연구에서는 창의성장 마인드셋 개입 방식을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교실 맥락에 맞게 초점화하였다. 창의성장 마인드셋을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창의적 능력과 관련된 능력 초점 개입과 교실 수업 상황의 창의적 산출물인 학생 아이디어와 관련된 아이디어 초점 개입으로 구분하였다. 그 다음 조작 과제를 통해 각 초점화된 개입이 창의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1의 온라인 설문에 예비교사 153명, 연구 2에서 온라인 실험에 예비교사 154명이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는 초등교사를 양성을 위하여 설립된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이었다. 연구 1에서는 학생의 과학성취수준이 창의적 아이디어에 대한 예비교사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아이디어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예비교사가 특성으로서 지닌 창의성장 마인드셋 수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2는 능력 초점과 아이디어 초점으로 구분된 창의성장 마인드셋 개입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 2에서 각 개입 방식이 예비교사가 고성취자 또는 저성취자의 창의성을 평가하는 데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1에서 학생의 과학성취수준이 창의적 아이디어에 대한 예비교사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간 관계에서 창의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가 일부 아이디어 유형에서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독창성이 높지만 관련성은 낮은 아이디어와 관련하여 학생의 과학성취수준의 주효과와 창의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저성취 학생이 이 유형의 아이디어를 제시하였을 때 예비교사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창의성 평가 점수를 부여하였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예비교사가 고정 마인드셋에 가까운 창의성장 마인드셋을 지녔을 때 심화되었다. 독창성과 관련성이 모두 높은 아이디어, 독창성은 낮지만 관련성이 높은 아이디어와 관련하여 학생 성취수준의 주효과와 창의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1의 가설과는 별도로 일부 아이디어 유형에서 창의성장 마인드셋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예비교사가 지닌 창의성장 마인드셋 수준이 높을수록 독창성과 관련성이 모두 높은 아이디어의 창의성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둘째, 연구 2에서 학생의 성취수준과 창의성장 마인드셋 개입에 따라 창의성 평가 점수에 차이가 나타났다. 독창성과 관련성이 모두 높은 아이디어의 경우 학생의 성취수준과 창의성장 마인드셋 개입 간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사후분석으로 확인한 결과, 아이디어 초점 조건에서 예비교사가 고성취 학생에게 저성취 학생보다 더 높은 창의성 평가 점수를 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독창성이 높지만 관련성은 낮은 아이디어의 경우 아이디어 초점 집단이 능력 초점 집단보다 이 유형의 아이디어에 더 높은 창의성 평가 점수를 부여하였다. 독창성은 낮지만 관련성이 높은 아이디어에서는 능력 초점과 아이디어 초점 간 창의성 평가 점수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교실 상황에서 교사의 창의성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조건과 요인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창의성장 마인드셋 연구를 교실 내로 확장하여 학생의 창의적 잠재성 계발과 관련하여 창의성장 마인드셋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교사 교육을 비롯한 창의성 계발 프로그램에서 개인이 창의성에 대한 유연한 인식론적 신념을 가질 수 있도록 창의성의 본질과 계발가능성과 관련된 내용을 다룰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해 창의성에 대한 단순한 초점 전환만으로도 창의적 아이디어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교실 내 변인이 창의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학생 아이디어 유형별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여, 앞으로 산출물의 유형을 고려한 창의성 연구와 개입이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교사가 창의성장 마인드셋을 교실 맥락에 맞추어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때, 학생의 창의적 잠재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교실 창의성 계발을 위한 노력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39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9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