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근대 신종교가사 연구 : A Study on Prose-poetry of New Religions in Modern Korea: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e of the periods and morality
시운과 도덕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병훈

Advisor
최종성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신종교가사동학가사비결가사정감록시운도덕: prose-poetry of new religions(新宗敎歌辭)prose-poetry of Eastern Learning(東學歌辭)divinatory prose-poetry(秘訣歌辭)Chŏng’s P redictions(鄭鑑錄)fate of the periods(時運)morality(道德)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종교학과, 2021.8. 최종성.
Abstract
New religions in Korea have been focused on the idea of ​​Gaebyeok(開闢), but this paper will show that views of the 'fate of the periods'(時運) of new religions, including Gaebyeok, have a close correlation with morality(道德). And to demonstrate this, the prose-poetry(gasa, 歌辭)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various texts of new religions. Prose-poetry of new religions are the best means of conveying the core content of each new religion to the people in the form of a song. This is derived from the Songs of Yongdam of Eastern Learning(『龍潭遺詞』). Eastern Learning wanted to make itself known not only through the Classical Chinese text, Bible of Eastern Learning Doctrine(『東經大全』), but also through the Songs of Yongdam, a scripture with Korean prose-poetry.
Prose-poetry were easily conveyed to people through rhythm and could be easily understood, and also had a comparative advantage in memorization. In addition, since the women who do not know classical Chinese were the main subjects of new religions, prose-poetry were more approachable to them. Afterwards, many Korean new religions followed this model and actively used Prose-poetry in addition to the classical Chinese texts.
These prose-poetry of new religions clearly showed their own thoughts, but they also showed the aspect of transforming the existing thoughts of Chŏngs Predictions(鄭鑑錄) into a new one.
The prose-poetry of new religions did not follow the existing model of dynasty change by the True Man-Messiah or a geographical movement to avoid the coming catastrophic end in Chŏngs Predictions. New religions in modern Korea read the apocalyptic situation in the harsh condition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difficult conditions such as famine, epidemics, and poverty, but they did not follow the Chŏngs Predictions' passive way of avoiding the times of catastrophe.
Although the new religions announced disasters caused by fate of the periods, they understood the disasters as the pain they had to go through in order to usher in a new era, and dreamed that those who overcame the bitter frost of ​Gaebyeok would welcome the spring of heaven on earth. In the midst of the fate of the periods that marked the end of the old world and the beginning of a new one, what the leaders of the new religions cried out was morality. The moral teachings of Confucianism, such as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三綱五倫), were given new meaning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fate of the periods. Morality was understood as an indicator of 'fate of the periods', a way to survive, and qualification to enter heaven on earth.
This relationship between 'fate of the periods' and 'morality' started with Eastern Learning and was accepted and transformed into many new religions. New religions' perceptions of fate of the periods and morality diversified after Eastern Learning. The future era was perceived in various ways such as Prior to Heavens(先天), Later Heavens(後天), Middle Heavens(中天).
And in relation to fate of the periods, various aspects such as recognition of established religions and their own denominations, recognition of saints, and criticism of the present age appeared.
In addition, the moral pattern in Eastern Learning is still revealed in the later new religions, and the object of morality is extended to the ancestors, including the relationship of the heavens(天) and the five relationships(五倫).
On the other hand, there is Divinatory prose-poetry(秘訣歌辭) in which a specific person who is thought to have the power of prophecy among the prose-poetry of new religions, is considered to be the author, and the content of the prophecy is accepted or changed, and furthermore, it becomes a prophecy by itself.
In order to attract the public's interest, these divinatory prose-poetry actively interpret the hidden 'secret' and raise a strong appeal. This is not a simple acceptance of the secret writings, but a process of appropriation, that is, a process of accepting the signifier and situation of the secret writings, but replacing its core meaning with the thoughts of new religions. The Song of Gathering Medicinal Herbs(採芝歌), The Song of Gung-Eul(弓乙歌), The Song of knowing to stop(知止歌), prose-poetry in Kyuckamyoorok(格菴遺錄) belong to this.
In the rapidly changing reality of Korea, new religions in Korea have been actively experimenting with the thoughts of the fate of the periods and morality through prose-poetry from modern times to the present.
The thoughts contained in the prose-poetry of the new religion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until now, but from now on, it will be a matter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new religion of Korea.
한국 신종교는 그동안 개벽사상(開闢思想)에 초점이 맞춰져 왔으나, 본고는 신종교의 개벽을 비롯한 시운관(時運觀)이 도덕(道德)과 밀접한 상관관계에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보이기 위한 자료로서 신종교의 여러 자료들 중 가사(歌辭)를 택하였다. 신종교가사는 각 신종교에서 핵심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노래에 담아 민중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가장 좋은 수단이었는데, 이는 동학(東學)의 《용담유사(龍潭遺詞)》로부터 비롯하였다. 곧 동학은 한문경전인 『동경대전(東經大全)』뿐 아니라 국문가사로 된 경전인 《용담유사》를 통해 자신을 알리고자 하였는데, 가사는 3·4조, 4·4조의 리듬을 통해 사람들에게 쉽게 전달되고 쉽게 이해될 수 있었으며, 또한 암기에 있어서도 비교우위를 차지하였다. 게다가 대부분 한문을 잘 알지 못하는 여성들이 신종교에 있어 주요한 대상이 되었기에 가사가 더욱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었다. 이후의 많은 한국 신종교들은 이러한 모델을 따라 한문경전 외에도 가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이들 신종교가사들은 한국의 역동적인 종교지형에서 각 교단의 사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면서도, 기존 정감록(鄭鑑錄)의 사유들을 활용하여 새로이 탈바꿈시키는 면모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신종교가사는 기존 정감록에서의 진인(眞人)-메시아를 통한 왕조교체 혹은 다가오는 파국적 결말과 그를 피하기 위한 지리적인 이동이라는 구조를 따르지 않았다. 근대기의 한국신종교들은 기근, 전염병, 가난 등의 어려운 여건과 일제강점기라는 혹독한 상황에서 묵시록적인 상황을 읽어내었지만, 파국의 때를 나열하고 소극적으로 회피하는 정감록적인 방식을 따르지 않았다.
신종교들은 시운에 따른 재난을 알리면서도 그 재난은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 겪어야 하는 진통으로 이해하고, 다시개벽의 된서리를 이겨낸 이들이 지상천국의 봄을 맞이하게 될 것을 꿈꾸었다. 과거의 세계의 종말과 새로운 세계의 시작을 알리는 시운의 한가운데에서 신종교의 지도자들이 부르짖었던 것은 바로 도덕이었다. 유교의 삼강오륜(三綱五倫) 등의 도덕적 가르침들은 시운이라는 요소의 도입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게 되는데 곧 시운의 표상, 살아남기 위한 방편, 지상천국에 들어가기 위한 자격으로서 도덕이 강조되고 이해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시운과 도덕의 결합은 동학에서부터 시작되어 많은 신종교에 수용 및 변용되었다. 곧 시운 및 도덕에 대한 신종교의 인식은 동학 이후 다각화되었다. 앞으로 올 시대를 선천(先天), 후천(後天), 중천(中天) 등으로 다양하게 인식하였는가 하면, 시운과 관련하여 기성종교 및 자신의 교단에 대한 인식, 성인(聖人)에 대한 인식, 현시대에 대한 비판 등 여러 모습이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동학에서의 도덕 유형은 이후의 신종교에서도 여전히 드러나며, 도덕을 행하는 대상은 기존 천, 오륜관계에 이어 조상으로까지 확대된다.
한편으로 신종교가사 중 예언(豫言)의 능력이 있다고 생각된 특정인물에게 가탁되어 비결의 내용을 수용 혹은 변용, 나아가 스스로 비결화되고 있는 비결가사(秘訣歌辭)가 있다. 이들 비결가사는 민중들의 흥미를 끌기 위해 비결과 관련하여, 널리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지만 그 내용은 감춰져 있는 비밀을 적극적으로 가사 내에서 해석하며, 강한 호소력을 보여준다. 이는 비결의 단순한 수용이 아닌 전유의 과정, 곧 비결의 기표와 상황을 수용하되, 그 핵심적인 의미를 신종교의 사유로 치환하는 과정이다. 《채지가(採芝歌)》, , , 『격암유록(格菴遺錄)』 내 가사들이 이에 속한다.
한국 신종교는 급격히 변화해 나가는 한국의 현실 속에서 시운과 도덕에 대한 사유를 근대부터 현재까지 계속 가사를 통해 왕성하게 실험해 나갔다. 신종교가사가 담고 있는 이러한 사유는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하였으나, 앞으로 한국신종교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40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59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