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문헌소재 귀신담 연구 : A Study of Guishin Tales in Premodern Korean Literatur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희병-
dc.contributor.author정솔미-
dc.date.accessioned2022-04-20T07:12:24Z-
dc.date.available2022-04-20T07:12:24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00000016859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8406-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596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1.8. 박희병.-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ull aspects of guishin (ghost) tales in Korean literature from the Shilla-Goryeo dynasty to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o unfold the historical changes of guishin tales, the structuralization according to gen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ignificant guishin tales. The full aspects of guishin tales in premodern Korean society will be thereby revealed in variety.
Before going into a full discussion, chapter II establishes the notion of guishin and guishin tales and presents selected data. Guishin is defined as a being that should notionally stay in the other world but appears and disappears in the mortal world and stirs up people by bringing a sense of incongruity. The types of ghosts that fall under such notion are the spirit of nature, dokkaebi, ghost, marvelous ghost, and strange ghost, and the aspects of their existence are examined in this chapter. A guishin tale is defined as a tale in which the appearance of ghosts is the main instrument that drives the narrative. As such, approximately 30 tales from the Shilla-Goryeo dynasty, 30 tale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200 tale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that fit this definition are selected and presented in a table.
Based on the preliminary contemplation in the previous chapter, chapter IIIinvestigates the changes of guishin tales from the Shilla-Goryeo dynasty to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e Shilla and Goryeo dynasty, shamanism and Buddhism coexisted,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notional the other world was not concrete. While ghosts appeared in strange or horrific appearances in guishin tales, they gave shape to that strangeness by stimulating sense of smell, sense of hearing, and sense of touch. Accordingly, the guishin tales in this period induced an esthetic sense of wonder. With such cultural background, various spirits with strong forces and the marvelous ghosts predominantly existed in guishin tales in this period. In the early Joseon period, Confucian orders were being established based on Confucianism as the foundation of the state. Consequently, guishin was perceived to be controlled and restricted one, so became a threatening existence to people on both conscious and unconscious levels. Guishin came to have a negative and hostile shape and guishin tales created fear and panic. While the rational and anthropocentric way of thinking was dominant in this period, the various spirits from the previous period lost power, and the most of the marvelous ghosts vanished. Instead, strange ghosts arose. In addition, gushin tended to be feminized in compliance with the Confucian theory of yin and yang. The number of female guishin increased rapidly and the previously-male guishin became feminized. The late Joseon period faced dynamic changes, but the ruling class tried to dispel the social unrest by intensifying the Confucian ideology. The ruling class also strengthened courtesy education or exhibited the values including loyalty, filial piety, and virtuousness through guishin tales. They even embraced the vengeful spirits who had lost their lives by war, famine, and social injustice. As a result, guishin became quite familiar by coexisting with people in the corner of reality. Meanwhile, some started to pay greater attention to Taoism.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appearance of guishin created by Taoistic imagination gave more color to guishin tales. However, it was the ghost of ancestors that appeared the most during this period following the spread of Jujagarye and the reinforcement of clan rules. Furthermore, the starved ghost emerged as people got tired of the frequent ancestral rites and experienced post-war famine while dokkaebi, through which the worldly desire of the people at the time was expressed, spread across the nation.
As referring to the course of time of guishin tales contemplated in the previous chapter, chapter IV sheds light on how guishin tales are differently strcutured as they are put in the formats of zhi-guai (志怪), chuanqi (傳奇), biji (筆記), and yadam (野談). Zhi-guai was a dominant genre in the Shilla-Goryeo period when people flexibly perceived the world and existence. Since the main point in building the narrative of zhi-guai lies in the expansive perception of the world, when a guishin tale is written in zhi-guai format, the author suggests restricted information and weakens the relevance between the guishin tale and the real world. In turn, a mysterious and metaphoric guishin tale is written. As a genre that raises a question about the life, reality, and desire of human beings, chuanqi uses guishin as a literary measure. Authors in the Shilla-Gorye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brought guishin in to enhance the fantastic atmosphere in terms of aesthetics and to emphasize the overwhelmingness of unjust reality in terms of theme. On that account, the ghosts in chuanqi are described beautifully and ideally in a delicate writing style and resonate deeply with human beings as ideologically and morally good beings. In other words, guishin tales in tend to be sophisticated by getting colored gracefully and ideologically in chuanqi format. Meanwhile, biji inconsistently writes Confucian scholars experience and knowledge in respect of the authors interests and consciousness, a format that continued from the late Goryeo period to the late Joseon period. Since Confucian scholarly consciousness was strongly reflected in the writings of this time, a consciousness to educate the readers with Confucian teachings was also witnessed in building guishin tales. It is to say that a consciousness to otherize guishin, a consciousness to emphasize Confucian lessons, and a consciousness to weaken the bizarreness of guishin tales are seen during this time. Nevertheless, when appearances of guishin are recorded as a manifestation of Confucian scholars criticism about reality, guishin tales come to have a function to allegorically criticize reality. Yadam was a popular gen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identically reflected the reality and desire of the street world. Because guinshin tales were also driven by realistic desires, the shape and desire of guishin were quite realistic and the people who encountered guishin achieved worldly desire in yadam. For that reason, guishin tales written in yadam format tend to be vulgarized with optimistic, interesting, and secular features. Nonetheless, those who were determined to reflect the social conditions at the time wrote guishin tales in yadam format to satirically but sharply reflect the social aspects of the time in a cheerful atmosphere.
Chapter V analyzes guishin tales in depth by separating them into three categories, namely guishin-dominant, human-dominant, and guishin-and-human-dominant, and aggregates the discussions made in the previous chapter. In the guishin-dominant guishin tales, guishins power overwhelms human beings. The message of guishin-dominant tales is delivered the most clearly when a guishin tale adopts a narrative style that expands the strangeness derived from guishin, human characters function as conflict inducers, and the resentment-revenge structure is applied. In such structure, guishin tales could evoke fear and induce self-reflection within human beings or create an imagination in which the dynamics of powers are flipped in the orders of the real world. The prime examples of such guishin-dominant guishin tales reached a peak in the Shilla-Goryeo period and were passed on to the Joseon writing style. In human-dominant guishin tales, human beings overpower guishin. Such guishin tales usually have an exorcist storyline with ghosts in grotesque shapes and the dispensation-repayment of gratitude structure. Subsequently, this type of guishin tale tends to otherize marginalized people, enhance the ruling ideology, or put more value on human desires. Human-dominant guishin tales were set forth centering around the early-Joseon writings that advocated Confucian orders as the main discourse. Some guishin tales in yadam format after the 18th century also tended to have embodied this type of guishin-tale. Lastly, guishin-and-human-dominant guishin tales tend to have vague relationship of superiority between humans and ghosts. This type of guishin tale is prominently adopted in works that expand the scale of the narrative. The relationship of superiority between ghosts and human beings is established as ghosts and human beings have a communicative relationship, as ghosts are ridiculously described, and as the narrative adopts a complex structure. As such, human society is satirized or a new sense of topic that has never been written before can emerge. The prime examples of such guishin-and-human-dominant guishin tales are found in the early works that expand the narrative scale and in some yadam works in which the authors creative intervention is enhanced, which means that this type of guishin tale has fictional inclinations.
Through these discussions, it is estimated that the various types and aspects of Korean ghosts in the premodern era along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guishin tales, features of each genr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individual work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re revealed.
-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나려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의 문헌소재 한국 귀신담의 전모(全貌)를 파악하고, 그 통시적 전개 과정과 특성을 역사문화적 제 요소 및 장르와 서사 구조와의 교호(交互) 작용 속에서 구명한 것이다.
이 같은 연구목적과 방법을 밝힌 제Ⅰ장 서론에 이어 제II장에서는 귀신과 귀신담의 개념을 정립한 뒤 자료를 선별하여 제시하였다. 귀신은 관념상의 이계에 머물러야 하나 인간세계에 출몰함으로써 인간에게 현실과의 위화감을 일깨워 혼란을 일으키는 존재로 규정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에 해당하는 귀신의 종류로는 자연물의 정령·도깨비·망자의 혼령·신귀(神鬼)·괴귀(怪鬼)가 있어 종류별로 그 존재 양상을 개관하였다. 귀신담은 귀신 출몰 사건이 서사를 추동하는 핵심적인 계기가 되는 이야기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에 부합하는 나려시대 이야기 약 30화, 조선전기 이야기 약 30화, 조선후기 이야기 약 200화를 선별하여 주요 작품 자료를 표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예비적 고찰을 바탕으로 제III장에서는 나려시대·조선전기·조선후기까지 귀신담의 전개 과정을 살폈다. 나려시대는 무(巫)·불(佛)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로서 현실 세계와 관념상 이계의 경계가 확연히 구분되지 않았다. 귀신은 괴기스럽거나 끔찍한 모습으로 출현하지 않고 향기나 바람, 소리 등을 일으켜 후각·촉각·청각과 같은 감각을 자극하여 그 기이함을 형상화하므로 이 시기 귀신담은 경이로움의 미감을 자아낸다. 이러한 문화적 토대 속에서 다양한 정령들이 강력한 힘을 갖고 존재하며, 신귀(神鬼)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조선전기는 유교를 국본(國本)으로 삼아 유교적 질서를 확립해 나가는 시기로서 귀신을 통제와 제어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귀신은 의식‧무의식적인 차원에서 위협적인 존재로 자리하게 되어 부정적이고 적대적인 형상을 갖게 되며, 귀신담은 공포와 두려움을 자아낸다. 또한, 유가적 음양론(陰陽論)에 따라 귀신이 여성화되는 경향도 보인다. 여성 귀신의 수가 대폭 늘어나고, 종전에는 남성형이었던 귀신이 여성화되는 것이다. 조선후기 사회는 역동적인 변화를 맞이하였으나 지배층은 유교 이념을 강화함으로써 사회적 동요를 불식시키고자 하였다. 귀신을 통해 예교(禮敎)를 강화하거나 충·효·열과 같은 가치를 현창(顯彰)하기도 하고, 전란과 기근, 사회·역사적 부조리의 희생자 원혼들의 해원(解冤)을 통해 체제 내에 포섭하고자 하기도 했다. 그 결과, 귀신은 현실 한 켠에 인간과 비슷한 양태로 공존하여 다분히 친숙화된다. 한편, 일각에서는 도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양상이 포착된다. 이에 조선후기에는 도교적 상상이 빚어낸 신들이 출현하여 귀신담에 이채를 더한다. 그러나 이 무렵 가장 빈번하게 출몰하는 귀신은 󰡔주자가례󰡕의 확산과 종법 질서의 강화를 계기로 나타난 조상귀신이다. 그 외 잦은 제사에 대한 염증과 전란 이후 기아(飢餓) 체험이 빚어낸 걸귀(乞鬼)도 부각되는 한편, 당대인의 세속적 욕구를 표출한 도깨비도 전면화되는 양상이 포착된다.
제IV장에서는 앞 장에서 고찰한 시대적 흐름을 참조하면서, 귀신담이 지괴·전기·필기·야담이라는 양식에 담기면서 각이하게 축조되는 방식을 조명하였다. 지괴(志怪)는 세계와 존재를 유연하게 인식했던 나려시대에 우세했던 장르다. 지괴 서사 축조의 핵심은 세계에 대한 개방적 인식과 유연한 존재인식이므로 귀신담이 지괴로 기록될 경우, 저자는 구체적 정보를 제약적으로 제시하고 현실 세계와의 관련성을 약화시킨다. 그리하여 신비화되고 은유적인 귀신담이 기록된다. 전기(傳奇)는 본격적으로 인간 삶과 현실, 그리고 욕망을 문제 삼는 장르로서 귀신을 문학적 장치로 활용한다. 나려시대와 조선전기 전기의 저자는 미학적으로는 환상적 분위기 고조를 위해, 주제적으로는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초극을 강조하고자 귀신을 등장시켰다. 그리하여 전기의 귀신은 섬세한 문체로 아름답고 이상화되어 묘사되며, 그 내면도 이념적·도덕적 성격을 지녀 그를 조우하는 인간과 깊이 공명(共鳴)한다. 전기로 기록되면서 귀신담은 우아하고 이념적으로 채색되어 아화(雅化)되는 것이다. 한편, 필기(筆記)는 사대부 또는 사(士)의 관심과 의식에 따라 그 견문을 잡박하게 기록한 것으로 고려후기~조선후기까지 지속된 양식이다. 필기에는 사(士) 의식이 강력하게 작동하므로 귀신담 축조에도 다분히 유학적으로 교화하고자 하는 의식, 즉 유화(儒化)하고자 하는 의식이 포착된다. 곧, 귀신을 타자화하는 의식, 귀신을 통해 유학적 교훈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식, 이야기의 기괴성을 약화하려는 의식이 나타나는 것이다. 단, 사(士)의 현실 비판의식의 발로로 귀신 출몰 사건이 기록될 경우, 귀신담은 현실을 우의적으로 비판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야담(野談)은 조선후기 성행한 장르로서 시정(市井) 세계 현실과 욕구를 핍진하게 반영한다. 귀신담도 현실적 욕구에 견인되어 축조되기 때문에, 귀신의 형상과 욕구는 다분히 현실적 성격을 띠며 귀신을 조우한 인간 역시 세속적 욕망을 성취하는 구조를 취한다. 그리하여 귀신담이 야담으로 기술될 때 낙관성, 흥미성, 세속성과 같은 특징을 띠어 속화(俗化)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당대 세태를 반영하고자 하는 욕구가 우세한 이야기의 경우, 유쾌한 정조 속에서도 당대 사회의 현실이 날카롭게 풍자적으로 반영되는 경향을 보인다.
제V장에서는 귀신담을 귀신 우위·인간 우위·귀신과 인간 우위의 세 유형으로 나누어 작품의 실상을 분석하고 앞 장의 논의를 종합하는 작업을 하였다. 귀신 우위의 귀신담은 귀신의 위력이 인간을 압도하는 유형으로서, 귀이(鬼異)가 확장되는 서술방식・갈등 유발자로 상정되는 인물의 기능・결원(結怨)-복수(復讎)의 구조를 활용할 때 그 메시지가 가장 선명하게 구현된다. 이를 통해 귀신담은 인간의 공포감을 환기하기도, 인간에게 반성적 고찰을 유도하기도, 현실 질서 속 힘의 역학 관계를 전복하는 상상을 빚어내기도 한다. 이러한 유형에 속하는 귀신담의 주요 사례로 보건대 귀신 우위 귀신담은 나려시대에 가장 우세했다가 조선시대 필기 양식을 중심으로 계승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인간 우위의 귀신담은 인간이 귀신을 압도하는 유형으로서 귀신의 괴기적 형상화와 축귀 지향적 서사, 시혜(施惠)-보은(報恩)의 구조를 통해 잘 구현된다. 그 결과 이 유형의 귀신담에는 주변적 존재를 타자화하거나 지배 이념을 강화하거나 인간 욕망을 중시하는 경향이 발견된다. 인간 우위의 귀신담은 유학적 질서를 주류담론으로 내세우는 조선전기 필기를 중심으로 개진되었고 18세기 이후 일부 야담에도 이를 잘 구현하는 양상이 발견된다. 끝으로, 귀신과 인간 상호 우위의 귀신담은 인·귀 양자 우위 관계가 모호하게 처리된 귀신담들로서 서사 편폭의 확대가 이루어진 작품 가운데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난다. 귀신과 인간의 대화적 관계가 이루어지고, 귀신이 세속화되기도 하며, 서사가 복합적 구조를 취함으로써 귀신과 인간 상호 우위의 관계가 정립된다. 이를 통해 인간 사회가 풍자되거나 기존의 귀신담에 담기지 않았던 새로운 주제의식이 대두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대표적 사례는 서사 편폭이 확대된 전기(傳奇) 작품 그리고 야담 가운데 저자의 창작적 개입이 강화된 작품에서 찾을 수 있어 소설적 성향과 관련이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전근대 시기 한국 귀신의 다채로운 종류와 양상, 귀신담의 역사적 전개 과정, 장르별 특질, 유형론적 특징 및 개별 작품의 문학사적 위상이 대체로 규명되었다고 생각한다. 개별 작품에 대한 분석적 연구들을 통해 이러한 논의 내용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문제의 제기 1
2.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 방향 6
II. 예비적 고찰 16
1. 귀신의 개념범주종류 16
1) 귀신의 개념 16
2) 귀신의 범주 29
3) 귀신의 종류 36
2. 귀신담의 개념 68
3. 자료 개관 73
III. 귀신담의 역사적 전개 88
1. 나려시대 88
1) 무(巫)불(佛) 문화와 귀신담 89
2) 다양한 정령들 95
3) 신귀(神鬼)의 우세 98
2. 조선전기 103
1) 유교적 이념과 귀신담 103
2) 괴귀(怪鬼)의 부상(浮上) 107
3) 귀신의 여성화 112
3. 조선후기 117
1) 유교 이념의 강화와 귀신담 117
2) 도교 관련 귀신담 120
3) 조상귀신의 빈출 124
4) 걸귀(乞鬼)의 부각 127
3) 도깨비의 전면화(前面化) 129
IV. 귀신담의 제 장르 136
1. 지괴: 유연한 존재 인식과 신비화된 귀신담 136
2. 전기: 현실 초극의 태도와 아화(雅化)된 귀신담 150
3. 필기: 사(士) 의식의 발로와 유화(儒化)된 귀신담 170
4. 야담: 현실적 욕망의 추구와 속화(俗化)된 귀신담 184

V. 귀신담의 유형과 그 특질 198
1. 귀신 우위의 귀신담 201
1) 귀이(鬼異) 서술의 확대와 공포감의 환기 201
2) '갈등 유발자' 인간과 반성적 성찰의 유도 211
3) 결원(結怨)-복수(復讐)' 구조와 권력 관계의 전복 216
2. 인간 우위의 귀신담 225
1) 귀신의 괴기적 형상화를 통한 주변적 존재의 타자화 225
2) 축귀 지향적 서사와 지배 이념의 강화 234
3) '시혜(施惠)-보은(報恩)'의 구조와 인간 욕망의 실현 247
3. 귀신과 인간 상호 우위의 귀신담 253
1) 인귀(人鬼)의 대화적 관계 맺기 253
2) 귀신의 세속화와 인간 사회의 풍자 260
3) 귀신담의 복합적 구조와 주제의식의 다변화 269

VI. 결론 279
참고문헌 283
Abstract 298
-
dc.format.extentxi, 303-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귀신-
dc.subject귀신담-
dc.subject정령-
dc.subject도깨비-
dc.subject원혼-
dc.subject야담-
dc.subjectGuishin(鬼神)-
dc.subjectGuishin tales-
dc.subjectSpirit-
dc.subjectdokkaebi-
dc.subjectGhost-
dc.subjectYadam-
dc.subject.ddc810-
dc.title한국 문헌소재 귀신담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Guishin Tales in Premodern Korean Literature-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ung Solmi-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escription.degree박사-
dc.date.awarded2021-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8596-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6▲000000000053▲00000016859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