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여성 성소수자의 자궁경부암 예방 행위와 건강 관련 삶의 질 : Cervical Cancer Prevention Behavio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Sexual Minority Wome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씨래

Advisor
최스미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여성 성소수자자궁경부암 검진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건강 관련 삶의 질정신건강신체건강Sexual minority womenCervical cancer screeningHPV vaccinationHealth-related quality of lifeMental healthPhysical health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1.8. 최스미.
Abstract
Sexual minority women (SMW) may experience unique health problems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minority groups as their identity as woman and their identity as a sexual minority intersect. Compared to non-SMW, SMW reported lower cervical cancer screening rates and low Human Papilloma Virus (HPV) vaccination rates. Also, those rat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x of their sexual partner. In addition, SMW also showed a poor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than heterosexuals. Minority stress is a risk factor for the health level of SMW, while perceived social support is a protective factor. Due to the hostile social climate for sexual minorities in Korea, Korean SMW reported higher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nd more health-risk behaviors than the general population, suggesting that cervical cancer prevention behavio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ll also be low. However,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ervical cancer prevention behavior or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SMW.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ervical cancer prevention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MW in Korea.
First, the Korean Sexual Minority Women's Health Study was conducted in Korea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7 online, targeting Korean SMW over the age of 19. A total of 801 people completed the survey.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ults, two research topics - cervical cancer prevention behavio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were derived and analyzed individually. Second,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cervical cancer prevention among Korean SMW, we analyzed the responses of 671 lesbians and bisexual women over the age of 20 living in Korea who were eligible age for national cervical cancer screening.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MW with more than one male sexual partner (male only/both), SMW with only female sexual partners (female-only), or SMW with no sexual partner (no partner). Cervical cancer screening rate and HPV vaccination rate within two years according to the sex of the subject's sexual partner were calcula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stimate the adjusted odds ratio (A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fo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udy outcomes and the sex of the sexual partners after adjusting demographic variables, partner presence, sexual orientation, and medical experience. For subjects who did not receive cervical cancer screening and HPV vaccination, the reasons were investigated. Lastly, mental and physical HRQoLs were measured with SF-36v2®.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minority stress (Daily Heterosexism Experience Questionnaire), perceived social support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exual orientation, physical activity(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and health behavior was performe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creening rate for cervical cancer within the past two years for SMW was 22.4%, lower than that of general Korean women. The screening rate for those who had at least one male sexual partner during their lifetime was 38.3%, which was higher than the screening rate for those who had never had sex (5.4%) or those who had sex with only women (14.3%) within the past two years. In addition, the HPV vaccination rate of subjects in this study was 25.3%. The vaccination rate in the group with a male sexual partner was 31.2%, which was higher than 20.4% of the group who had sexual intercourse only with women or 24.3% of those who had never had sex.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asons for not receiving cervical cancer screening or HPV vaccination, it was found that knowledge about the necessity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and HPV vaccination was insufficient among Korean SMW.
In this study, the mental HRQoL of SMW in Korea was 38.33±12.64, which was lower than the 47 points indicating that their health status was below the average range. The higher minority stress and the lower perceived social support can lower the mental HRQoL of participants. Also, compared to lesbians, bisexual women had a lower mental HRQoL. Physical HRQoL of praticipants was 52.38±7.65 points, indicating the average level of physical health. The higher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was related to the higher physical HRQoL. The higher minority stress and the lower perceived social support can lower the physical HRQoL of participants. Bisexuals showed lower physical HRQoL than lesbi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prevent cervical cancer among SMW in Korea, a customized cervical cancer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sex of the sexual partner is needed. Furthermore, it will also be essential to lower minority stress and increase social support to improve their mental HRQoL. In addition, a mental health care program for bisexual women needs to be highlighted.
여성 성소수자는 여성으로서의 정체성과 성소수자로서의 정체성이 교차하면서 다른 집단과는 다른 독특한 건강 문제나 상황을 겪을 수 있다. 여성 성소수자는 비성소수자 여성에 비해 정기적 자궁경부암 검진율과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예방접종률이 낮았다. 이러한 자궁경부암 예방행위는 여성 성소수자 집단 내에서 성 파트너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여성 성소수자들은 건강 관련 삶의 질도 이성애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성소수자 건강 수준의 위험요인으로는 소수자스트레스가, 보호요인으로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한국 여성 성소수자들은 부정적인 한국 사회 분위기로 인해 일반 인구에 비해 우울과 자살 사고가 높았고 건강 위험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그들의 자궁경부암 예방 행위와 건강 관련 삶의 질 또한 저조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여성 성소수자의 자궁경부암 예방 행위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시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여성 성소수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자궁경부암 예방 행위와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7년 9월 ~ 11월 기간 동안 만 19세 이상 한국 여성 성소수자를 대상으로 한국 여성 성소수자 건강 연구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고 총 801명이 설문을 완료하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2가지 연구 주제 -자궁경부암 예방 행위와 건강 관련 삶의 질-를 도출하여 개별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궁경부암 예방 행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가 자궁경부암 검진 대상자인 만 20세 이상 국내 거주 여성 동성애자, 양성애자 67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성 파트너 성별에 따른 2년 내 자궁경부암 검진 여부와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 파트너 유무, 성적지향, 의료이용경험을 보정 변수로 투입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궁경부암 검진을 받지 않은 대상자에게는 미검진 사유를,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대상자에게는 미접종 사유를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은 SF-36v2®으로 측정하였으며,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소수자스트레스(Daily Heterosexism Experience Questionnaire), 지각된 사회적 지지(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성적 지향, 신체활동(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건강 행위를 포함하여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지난 2년 내 자궁경부암 검진율은 22.4%로 한국 일반 여성의 검진율 보다 낮았다. 일생 동안 한 명 이상의 남성 성 파트너가 있었던 경우 2년 내 자궁경부암 검진율은 38.3%로 성관계 경험이 없었던 경우의 검진율인 5.4%, 여성과만 성관계 경험이 있었던 경우의14.3%보다 더 높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률은25.3%였다. 남성 성 파트너가 있었던 그룹의 접종률은 31.2%로 여성과만 성관계 경험이 있는 그룹의 20.4%나 성관계 경험이 없는 경우의 24.3%보다 높았다. 자궁경부암 검진이나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사유를 조사한 결과 자궁경부암 검진과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의 필요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한국 여성 성소수자의 정신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는 38.33±12.64로 건강 상태가 평균 범위 미만임을 나타내는 47 점 보다 낮았다. 소수자스트레스가 높을 수록,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여성 성소수자의 정신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낮았다. 또한 동성애자 여성에 비해 양성애자 여성이 정신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낮았다. 신체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는 52.38±7.65로 평균 수준의 신체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나타내는 점수였다. 신체활동 수준이 높을 수록 신체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높았고 소수자스트레스가 높을 수록,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낮을 수록 신체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낮았다. 신체 건강 관련 삶의 질 또한 양성애자가 동성애자 보다 낮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 여성 성소수자의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하여 성 파트너의 성별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소수자 스트레스를 낮추고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특히 향후 여성 성소수자의 정신 건강 향상 프로그램이나 양성애자 여성 건강에 대한 중재가 개발된다면 그들의 건강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41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0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