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행복지수의 영향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happiness index : The Case of Seoul Citizen
서울시를 대상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고길곤-
dc.contributor.author박세진-
dc.date.accessioned2022-04-20T07:13:36Z-
dc.date.available2022-04-20T07:13:36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00000016741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8426-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415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1.8. 고길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행복지수의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시간적 범위는 2019년이다. 인간은 욕구의 충족을 통해 행복감을 느낀다고 하는 Alderfer의 욕구이론(존재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 및 개별 하위 영역들에 대한 만족이 축적되어 상위 개념인 행복이 결정된다는 행복의 상향 확산이론의 관점에서 세부 독립변수를 선정하였다. 이를 근거로 가구특성, 주거특성, 경제적 특성, 사회적 특성이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의 연령대별로 영향요인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독립변수는 가구특성, 주거특성, 경제적 특성, 사회적 특성이며 종속변수는 행복지수이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행복지수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특성 중 기부를 제외한 모든 독립변수가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가구특성 중 가구원수는 행복지수에 부(-)의 영향, 배우자는 정(+)의 영향, 주거특성 중 아파트, 자가, 근린생활만족도(녹지, 운동적합성, 공공시설 편의성)는 정(+)의 영향, 거주기간은 부(-)의 영향, 경제적 특성 중 소득은 정(+)의 영향, 부채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특성 중 학력, 직장, 이웃관계, 계층 상향 가능성은 정(+)의 영향을 나타냈고, 기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Alderfer의 3가지 욕구가 모두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상위욕구인 성장욕구 및 관계욕구가 큰 영향을 미쳤다.
한편 국가의 역할과 연관지어 행복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행정학적 의미가 있으며, 서울시민 2만 가구의 대규모 표본을 모집단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표본의 대표성과 일반화 확보 측면에서 이전 연구와 차별화된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happiness index.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is Seoul, and the temporal range is 2019. By adopting the Alderfer's desire theory (existence, relationship, growth desire) which is said to feel happy through the fulfillment of needs, and the bottom-up spillover theory of happiness which leads to happiness in fullfillment with individual sub-regions of satisfactory, the specific independent variables were chosed. Based on this, the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at household characteristics, residential characteristics,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happiness index. In add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by establishing a hypothesis that influencing factors would vary by age group of young, middle-aged, and older people.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are household characteristics, residential characteristics,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 is the happiness index.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happiness index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ll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donation, which is one element of soci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happiness index. In detail, household members among household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happiness index, and spouses had a positive(+) effec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apartment, owner, neighborhood living satisfaction(green land, workout suitability, convenience of public facilities) were influenced by positive(+) and residential period by negative(-). Among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income has a positive(+) effect and liabilities have a negative(-) effect. Lastly, amo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educational background, work, neighborhood relationships, and hierarchical upward possibilities indicated positive(+) effects, and donatio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derfer's three needs were all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happiness index, among which the top needs, the desire for growth and the desire for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ther hand, it is administratively significant in that it studied happiness in relation to the role of the state, and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securing representation and generalization of samples by conducting a study of 20,000 large-scale Seoul resident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제 2 장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7
제 1 절 이론적 논의 7
1. 행복의 개념과 의미 7
2. 행복의 확산에 관한 이론 9
3. 욕구이론 12
제 2 절 선행연구 14
1.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논의 14
2. 국민의 행복증진을 위한 국가의 역할에 대한 논의 18
제 3 절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0
제 3 장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 22
제 1 절 연구모형과 가설 22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28
제 3 절 분석자료 및 방법 32
제 4 장 분석결과 34
제 1 절 기술통계분석 34
제 2 절 변수간의 상관분석 39
제 3 절 다중회귀분석 42
제 4 절 가설의 기각 및 채택 63
제 5 장 결론 65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65
제 2 절 연구의 함의 및 정책 제언 66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68
참고문헌 70
-
dc.format.extentiv, 77-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행복지수-
dc.subject가구특성-
dc.subject주거특성-
dc.subject경제적 특성-
dc.subject사회적 특성-
dc.subjecthappiness index-
dc.subjecthousehold characteristics-
dc.subjecthousing characteristics-
dc.subjecteconomic characteristics-
dc.subjectsocial characteristics-
dc.subject.ddc352.266-
dc.title행복지수의 영향요인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happiness index : The Case of Seoul Citize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eJin Park-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1-08-
dc.title.subtitle서울시를 대상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741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6▲000000000053▲00000016741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