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혁신학교 철학에 기반한 혁신고등학교 효과분석 : The Effect of Innovative High School Based on Innovative School Philosoph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Cooperation
교사협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새론

Advisor
엄문영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혁신학교혁신학교 철학정책평가교사협력전문적 자본전문적 학습공동체경향점수매칭이중강건성 추정Innovative schoolsInnovative school philosophypolicy evaluationteacher cooperationProfessional Capital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ropensity Score Matching(PSM)doubly robust estim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2021.8. 엄문영.
Abstract
Based on the philosophy of innovative school polic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ffective innovative school policy operation by verifying innovative school policy and empirically analyzing the factors that drive policy success and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that promote it.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Korea's educational reform created by teachers' dedication and passion, and unlike previous education policies that have been implemented top-down, it is an ideal education policy that spreads best practices at school sites from below. Since the beginning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the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hav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nd the academic community has been steadily conducting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However, research results on the contents of the policy and its effectiveness do not show consistency even at this point, which is 12 years since the policy was implemented and one year before the 2022 local elections. This is because the meaning of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has been tarnished in the process of expanding and implementing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and many cases of Un-functional innovative schools are being f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fine the purpose of the policy to verify the pur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and to identify and support the effects of the factors that led to the success of the policy. Accordingly, this study identified the achievement of policy objectives derived from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 school policies and verified the impact of teacher cooperation on policy performance, which is considered the driving force of successful innovative schools. Afterwards,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differential effect of teacher cooperation on the current school years and participation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LC) to derive implications for policy operation to support teachers' cooperation.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has the purpose of innovative school policy based on the four philosophies of innovative schools been achieved in innovative high schools?
Second, how will the effectiveness of innovative high schools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teacher cooperation?
Third, how does teacher cooperation affect school effectiveness in innovative high schools depending on teachers' current school years and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6th (third grade middle school panel in 2017) and 7th (first grade high school panel in 2018) data of the Gyeonggi Education End Study (GEP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problems, and Ordinary Least Square(OL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A summary of the major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innovative school policy based on the four philosophies of innovative schools has been partially achieved in innovative high schools. Among the four philosophies, in the case of democracy, ethics and creativity, both OLS and PSM results showed higher at innovative school than regular schools. On the other hand, for professionalism, the difference between innovative and general schoo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n analysis of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eacher cooperation on innovative school policie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innovative schools on academic achievement varie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teacher cooperation. In other words, when teacher cooperation was higher, innovative school policies had more effect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eacher cooperation on the current school years and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t innovative schools, the longer teachers worked at innovative schools, the more effective teacher cooperation was, but there was no differential effect from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Based on this, the proposal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policy design and sophisticated policy verification should continue based on more fundamental consideration of the philosophy pursued by innovative schools, and policy management should take place focusing on the factors that make successful schools.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degree of teacher cooperation in innovative schools, the higher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so successful operation of innovative school policies requires policy support to promote teacher coope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policies such as the Teacher Invitation Scheme, which supports teachers to stay in a school for a long time, can create synergy effects when implemented along with innovative school policies,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On the other h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y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cooperation in innovative schools, requiring a review of policies and qualitative enhancement of policy operations.
본 연구는 혁신학교 정책의 철학을 바탕으로 혁신학교 정책을 검증하고 정책의 성공을 이끄는 요인과 이를 촉진하는 제도적 여건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혁신학교 정책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혁신학교 정책은 교사들의 헌신과 열정이 만들어낸 우리나라 교육개혁의 대표적인 사례인 만큼, 하향식(Top-down)으로 시행되어 온 이전의 교육정책들과는 달리 학교 현장의 모범사례를 아래로부터 확산하는 이상적인 교육정책이다. 정책 시행 초기부터 사회 전체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시도교육청에선 재정적 지원을 학계에선 정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다방면의 연구를 꾸준히 수행해 왔다. 그러나 정책이 시행된 지 만으로 12년째이자 2022년 지방선거를 1년 앞둔 현시점에 와서도 정책의 내용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일관성을 보여주지 않는다. 이는 혁신학교 정책이 확대 시행되는 과정에서 혁신학교 정책의 의미가 퇴색되었고 무늬만 혁신학교인 사례가 다수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책의 목적을 명확히 정의하여 정책의 순수한 효과를 검증하고, 정책의 성공을 이끈 요인의 차별적 효과를 밝혀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혁신학교 정책의 철학적 특성에서 도출한 정책 목표의 달성 여부를 확인하고, 성공적인 혁신학교의 동력으로 여겨지는 교사의 협력이 정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후 교사의 현 학교 근무기간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에 따른 교사협력의 차별적 효과를 분석하여 교사의 협력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의 네 가지 철학에 따른 혁신학교 정책의 목적이 혁신고등학교에서 달성되었는가?
둘째, 교사협력정도에 따라 혁신고등학교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가?
셋째, 혁신고등학교에서 교사의 현 학교 근무기간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여부에 따라 교사협력이 학교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6, 7차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통상최소자승회귀모형과 경향점수매칭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의 네 가지 철학에 따른 혁신학교 정책의 목적이 혁신고등학교에서 일부 달성되었다. 네 가지 철학 중 민주성, 윤리성, 창의성의 경우 OLS와 PSM 결과 모두 일반학교 보다 혁신학교 학생들이 더 높았다. 반면, 전문성의 경우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교사협력의 차별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혁신학교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교사협력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즉, 교사협력정도가 더 높을 때 혁신학교 정책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혁신학교에서 교사의 현 학교 근무기간과 전문적습공동체 참여 여부에 따른 교사협력의 차별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혁신학교에 더 오래 근무한 교사일수록 교사협력의 효과가 존재했지만,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에 따른 차별적 효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혁신학교가 지향하는 철학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정책 디자인과 이를 검증하고자 하는 정교한 정책검증을 통한 정책의 수정 및 보완이 지속되어야 하며, 성공적인 학교를 만드는 요인에 주목한 정책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혁신학교의 교사협력정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증가하므로 혁신학교 정책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교사의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교사가 한 한 학교에 오래 머물도록 지원하는 초빙교사제와 같은 정책은 혁신학교 정책과 함께 시행되었을 때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해당정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반면, 전문적 학습공동체 정책은 혁신학교에서 교사협력의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 정책에 대한 검토와 정책 운영에 대한 질적인 제고가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42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17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