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적 추의 관점에서 살펴본 패션 필름 : Fashion film from the perspectives of modern ugliness: Focused on SHOWstudio's works
SHOWstudio의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준영

Advisor
전재훈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미학복식패션 필름SHOWstudioUglinessAestheticsDressFashion film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1.8. 전재훈.
Abstract
Ugliness, which had long been a negative form of beauty, has become an independent aesthetic category today. Such ugliness is expressed in many ways in contemporary art, not only in formative art but also in literature, film, and fashion.
Runway was a key media offering a designer's seasonal concept, but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and increased aesthetic taste of public, the fashion industry became interested in the new media called fashion film. Unlike the early fashion films that replaced runway, fashion films since the 2000s have been recognized for their own aesthetic value through various experiments and collaboration with artists in various fields to create innovative images. In particular, Nick Knight, a fashion image maker who explores the extremes of beauty along with active collaboration with various emerging artists, plays a leading role in fashion films through SHOWstudio.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derived the perspectives of modern ugliness based on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ugliness, and analyzed the fashion film of SHOWstudio based on this.
The research topic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ugliness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the changes in the era of ugliness are examined, and by synthesizing the discussion of ugliness after the 20th century, ugliness from a modern perspective to derive.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ugliness, fashion films of SHOWstudio are analyzed.
Based on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ugliness, this study derived 'ugliness as a violation of taboo', 'ugliness as an unpleasant emotion', 'ugliness as a vulgar taste', and 'ugliness as an ethical flaw' as a perspectives of modern ugliness. Later, the definition and types of fashion film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ajor projects of SHOWstudio were analyzed. The cas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example of 145 films that matched the perspectives of this study after watching all videos tagged 'fashion film' from 2000 to the presen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ses of SHOWstudio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uglines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SHOWstudio, works that violated the death and sexual taboos appeared. Fashion films expressing the violation of death taboos appeared as image expressing direct death and visualizing abjects. On the other hand, fashion films that violate sexual taboos include works that explicitly expose sexual body parts and images with various types of fetishism, including homosexuality.
Second, fashion films that induce unpleasant emotions appeared as works dealing with supernatural phenomena and fear caused by objects, works that induce the uncanny valley effect, and works that assumed irrational situations.
Third, fashion films expressing ugliness as a vulgar taste appeared as works that undermined the authority of the subject or contained satirical messages, and works that expressed flamboyant queer.
Fourth, in SHOWstudio, fashion films dealing with ethical flaws were found as political problems and war, discrimination against minorities, awareness of the natural environment, women's issues, and materialism's problems.
As a result of the above cas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ole of dress in SHOWstudio's fashion film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s of ugliness. In the works dealing with the violation of taboos, dress was used as a means to reinforce the theme of the fashion film through formative forms related to death. In particular, in works dealing with violations of sexual taboos, dress were shown to be objects of sexual fetishes such as stockings, and latex. On the other hand, in the works in which ugliness as an unpleasant emotion appeared, the role of dress was not significant. Although costumes such as bizarre headpieces and masks contributed to the atmosphere of the fashion films, the cause of unpleasant emotions is mostly from surreal objects or situations itself, so dress could not play a key role in inducing feelings of ugliness. In a fashion film expressing a vulgar taste, dress played a core role in enhancing the formativeness of the work or conveying the theme of the work through its symbolic meaning. Similarly, in fashion films in which ugliness as an ethical flaw appeared, dress itself became a subject or function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fashion films. In the works, corsets with strong symbolic meaning, people wearing the same clothes, and clothes in the form of restraints on the body clearly expressed the ethical flaws of modern society.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formative analysis of ugliness, this study analyzed SHOWstudio's fashion films from the perspectives of various ugliness, such as taboo violations, unpleasant emotions, vulgar tastes, and ethical flaws. Due to the nature of SHOWstudio, which is free from censorship and regulation compared to mainstream media, ugliness has been associated with socially sensitive topics along with provocative images, and dress in fashion films has been used as tools to enhance visual effects of images or deliver themes. In particular, in the works of ugliness as an ethical flaw, dress itself emerged as a key element of the fashion films.
This study expands the discussion of ugliness, which was limited to fashion collections, by analyzing the ugliness that appears in fashion films, which are emerging as major media in modern fashion. In addition, unlike most previous studies that were limited to Rosenkrantz's theory of ugliness, it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synthesizing viewpoints on ugliness discussed in the academic fields of philosophy, aesthetics, and psychoanalysis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and suggesting the perspectives of modern ugliness.
오랜 기간 미의 부정형으로서 부차적 기능만을 담당했던 추는 오늘날 독자적인 미적 범주로서의 위상을 지니게 되었다. 이처럼 미로부터 완전히 독립한 추는 조형 예술뿐만 아니라 문학이나 영화, 그리고 패션에 이르기까지 현대 예술에서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런웨이는 디자이너의 시즌 콘셉트를 제시하는 핵심적인 미디어였지만,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대중들의 미적 소양이 높아짐에 따라 패션업계는 패션 필름이라는 새로운 미디어에 주목하게 되었다. 런웨이의 기능을 대신했던 초창기의 패션 필름과는 달리, 2000년대 이후 패션 필름은 혁신적인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실험과 여러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독자적인 미적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특히나, 다양한 신진 아티스트와의 적극적인 콜라보레이션으로 미의 극단을 탐구하는 패션 이미지 메이커 닉 나이트는 SHOWstudio를 통해 패션 필름의 선두주자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추 개념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여 현대적 관점의 추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SHOWstudio의 패션 필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추 개념의 사적 고찰을 통해 추의 시대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20세기 이후 추에 대한 논의를 종합하여 현대적 관점의 추를 도출한다. 둘째, 현대적 추의 관점에서 SHOWstudio의 패션 필름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한 추 개념의 사적 고찰을 바탕으로 현대적 추의 관점으로 금기의 위반으로서의 추, 불쾌한 감정으로서의 추, 천박한 취향으로서의 추, 윤리적 결함으로서의 추를 도출했다. 이후, 패션 필름의 정의와 유형을 살펴보고 SHOWstudio의 특징과 주요 프로젝트를 분석했다. 사례는 SHOWstudio의 설립 시점인 2000년부터 현재까지 fashion film이란 태그를 달고 있는 SHOWstudio의 모든 영상을 시청한 후, 본 연구의 관점에 부합하는 145편을 최종 사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추에 대한 관점으로 SHOWstudio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HOWstudio의 작품에서는 죽음과 성 금기를 위반한 작품이 나타났다. 죽음 금기의 위반을 표현한 패션 필름은 마카브르를 표현한 작품과 애브젝트를 가시화한 작품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 금기를 위반한 작품으로는 성적 부위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작품과 동성애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성도착증을 주제로 한 작품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불쾌한 감정으로서의 추를 표현한 패션 필름은 초자연적 현상과 대상에서 기인한 공포를 다룬 작품, 불쾌한 골짜기 효과를 다룬 작품, 비이성적인 상황을 상정한 작품으로 나타났다.
셋째, 천박한 취향으로서의 추를 표현한 패션 필름은 조야한 감성의 이미지로 권위의 격하 및 풍자적 메시지를 내포한 작품과 대담하고 이색적인 퀴어를 표현한 작품으로 나타났다.
넷째, SHOWstudio의 패션 필름에서 윤리적 결함을 다룬 작품은 정치적 문제와 전쟁을 주제로 한 작품, 소수자에 대한 차별을 다룬 작품, 자연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표현한 작품, 여성 문제를 내포한 작품, 그리고 물질주의의 문제점을 비판한 작품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사례 연구 결과 SHOWstudio의 패션 필름 속에서 복식의 역할이 추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금기의 위반을 다룬 작품에서 복식은 죽음과 관련된 조형적 형태를 통해 패션 필름의 주제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특히나 성 금기의 위반을 다룬 작품에서 복식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속옷이나 스타킹, 라텍스와 같이 성적 페티시의 대상물로 나타났다. 한편, 불쾌한 감정으로서의 추가 나타난 작품에서는 복식의 역할이 미미했다. 기괴한 헤드피스나 마스크 등의 복식이 작품의 분위기에 일조하기도 했지만, 불쾌한 감정의 원인은 초현실적 대상이나 상황 자체에서 기인한 경우가 대다수로 복식이 추의 감정을 유발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행하지 못했다. 천박한 취향을 표현한 패션 필름에서 복식은 작품의 조형성을 강화하거나, 복식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작품의 주제 전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유사하게 윤리적 결함으로서의 추가 나타난 작품에서도 복식은 그 자체가 주제가 되거나 패션 필름의 서사구조에서 중요한 요소로 기능하였다. 작품 속에서 상징적 의미가 강한 코르셋, 똑같은 옷을 착용한 사람들, 신체를 속박한 형태의 옷 등을 통해 현대 사회의 윤리적 결함을 단적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추의 조형성 분석에 집중되었던 선행연구와 달리 금기의 위반, 불쾌한 감정, 천박한 취향, 윤리적 결함과 같이 다양한 추의 관점에서 SHOWstudio의 패션 필름을 분석했다. 주류 미디어보다 검열과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SHOWstudio의 특성상 작품 속에서 추는 자극적 이미지와 함께 사회적으로 민감한 주제들과 관련되어 나타났으며, 패션 필름 속의 복식은 영상의 시각효과를 강화하거나 주제 전달의 도구로 활용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윤리적 결함으로서의 추를 주제로 한 작품 속에서 복식은 그 자체가 주제로서 영상의 핵심적인 요소로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서 주요 미디어로 부상하고 있는 패션 필름에서 나타나는 추를 분석하여, 런웨이에 제한되었던 기존의 추 논의를 확장했다. 또한, 본 연구는 로젠크란츠의 추 이론에 한정되었던 기존의 연구와 달리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철학, 미학, 그리고 정신분석학의 학문 분야에서 논의된 추에 대한 관점을 종합하여 현대적 관점의 추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42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48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