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협력적 노사관계에 대한 직원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Recognition on Job satisfaction of Public Work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훈

Advisor
전영한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협력적 노사관계직무만족의사소통경영참여재직기간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job satisfactioncommunicationparticipation in managementcomplaints handlingtenu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1.8. 전영한.
Abstract
노사 간 협력관계의 구축은 조직 내 갈등을 완화하고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기업경쟁력의 핵심 전략으로 강조되는 협력적 노사관계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인식수준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협력적 노사관계의 성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주로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상대적으로 연공주의적 전통이 강조되고 고용안정성이 매우 높은 공공조직에서도 협력적 노사관계가 조직효과성의 대표지표인 직무만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효율적인 제도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재직기간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재직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협력적 노사관계와 직무만족간의 영향력 차이분석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왔던 협력적 노사관계 세부 구성요인인 의사소통 및 정보공유, 경영(의사결정) 참여, 고충처리에서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사관계에 대해 조직구성원들이 협력적이라 인식할수록, 조직에 헌신하는 조직몰입이나 직무수행을 통한 긍정적 상태를 경험할 확률이 높다는 기존 민간부문 선행연구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는 것임을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한편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의사소통 및 정보공유, 교육훈련, 사회적 책임 요인에서 재직기간은 상호작용 항에서도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 앞서 언급한 협력적 노사관계의 세부요인 이외에도 조절변수인 재직기간에 따른 차별적이고 세심한 관리 역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공기업의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을 위해서는 정보접근에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기능직을 포함한 구성원들의 사내소통 활성화와 경영정보의 확산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 의사결정 참여를 제고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재직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직원들을 배려하여 의사결정에 대한 실질적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과 고충처리 제도 활성화에 필요한 물리적 접근성과 비밀보장 장치 등의 노력도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주로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존연구와 달리 공공부문에서 협력적 노사관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이고 실증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연구대상을 단일 공공기관의 내부적 요소에 제한하였고 설문지법만을 사용한 횡단적 분석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를 지닌다. 향후 연구진행 시 그 대상을 전체 공공부문으로 확대하고 외부 정치적 역학관계 요소를 추가하여 다년도에 걸친 시계열 분석을 실시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alleviating conflicts within the organization and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members' level of awaren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which is emphasized as a key strategy for corporate competitiveness. Prior studies on the performance of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have been mainly aimed at private companie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whether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job satisfaction, a representative indicator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influence between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and job satisfaction as the period of employment increases by selecting the period of employment as an adjustment variable.
Research and analysis have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a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in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management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and grievance handling, which have traditionally been emphasized. This has been empirically verified to be largely consistent with previous private sector prior studies, which show that the more cooperative organizational members perce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experience a positive state through organizational immersion or job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control effects in terms of interaction in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education and training, and social responsibility factors. The study found that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detailed factors of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discriminatory and careful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eriod of office, which is a control variable, is also necessary.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hip of state-run companies requires efforts to promote in-house communication, spread of management information, and enhance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efforts should be made to expand practical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in consideration of employees with relatively short tenure, as well as physical accessibility and confidentiality device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grievance system.
Unlike previous studies mainly on private compan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nsively and empirically studied the impact of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on job satisfaction in the public sector. However, the study is limited to the internal elements of a single public institution and is limited in that it is a cross-sectional analysis using only questionnaire methods. Further research could suggest more meaningful implications if a multi-year time series analysis was conducted by expanding the target to the entire public sector and adding elements of external political dynamic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43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61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