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공원 조성과정을 통해 본 지방정부의 여가공간 생산 기제 : The mechanism of producing leisure spaces by local government through the urban parks creation process : based on the concept of dispositif for leisure-governmentality
여가통치성 장치 개념을 바탕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예린

Advisor
신혜란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여가통치성푸코의 장치도시공원 조성과정선유도공원마포문화비축기지여가공간 생산기제지방정부 여가공간 정책Leisure-governmentalityFoucault’s dispositifthe process of making urban parksSeonyudo ParkMapo Culturetankleisure space production mechanismlocal government’s policymaking of leisure space
Abstract
도시에 여가공간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각 지방정부는 여가공간 조성사업을 적극 추진 중이다. 이는 공공이 주로 개발 용도로 토지이용을 계획했던 근대 패러다임과 다른 점이다. 이 연구는 왜, 어떤 프로세스로 현대 지방정부가 여가공간을 조성하는가라는 두 가지 연구질문으로부터 시작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둘을 밝힘으로써 지방정부의 여가공간 생산기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지방정부가 여가공간을 생산하는 기제를 밝히기 위해서는 도시 내·외부 환경 및 행위자, 사회구조, 경관 간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틀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첫째, 지방정부의 공간생산 의도에 대해 푸코의 통치성(governmentality) 이론을 첫 번째 연구가설로 설정해 지방정부가 공간을 생산하는 의도는 통치성 수행이 전제되어 있다고 가정하였다. 특히 왜 여가공간을 생산하는지 그 의도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여가통치성(Leisure-governmentality)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다. 둘째, 첫 번째 가정을 전제로 지방정부의 공간생산 프로세스를 통치성 장치인 권력-지식, 담론, 경관의 형성과정으로 보았다. 이에 본 연구분석틀로 권력-지식, 담론, 경관 형성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두 연구질문을 규명하고자 했다.
분석대상은 서울시가 조성한 도시공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도시공원은 근대사회 이후 통치주체가 여가를 통해 통치성을 수행하는 수단(장치)으로 조성했음을 문헌고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지자체 실시 이후 조성된 서울시 도시공원인 선유도공원과 문화비축기지를 현대 지방정부의 여가공간 생산기제를 규명할 수 있는 대표사례로 선정했다. 분석방법 및 자료는 권력-지식은 반구조화 심층인터뷰로 전사한 구술채록, 담론분석은 언론기사 웹스크래핑 및 도시기본계획 자료의 정책내러티브 방법, 경관분석은 현장답사와 문헌분석을 통한 내러티브 방법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정부가 여가공간을 생산하는 의도는 여가통치성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었다. 첫 번째 여가통치성은 지방정부의 선출직 시장이 자신의 시정철학을 과시하여 국내외로부터 정치적 지지를 받기 위한 목적에서 여가(공간)을 생산한다는 것이다. 선유도공원의 경우 당시 선출직 시장과 고위관료는 환경보존을 중시하는 세계적 추세와 도시 내부적 위기에 직면했다. 이에 환경생태 철학을 시정가치로 내세움으로써 대내외적으로 정치적 지지를 받고자 하였다. 그래서 여가공간을 환경생태 담론의 표상으로 활용하였으며, 특히 도시공원을 통해 이를 표출하였다. 마포문화비축기지의 경우 선출직 시장은 서울시장 재선에서 당선되기 위해 그가 갖고 있는 시정철학을 대내외적으로 어필하고자 했다. 마포문화비축기지는 선출직 시장의 철학을 표상해 그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시키는 수단으로 기획된 것이었다.
두 번째 여가통치성은, 현대 신자유주의 지방정부가 처한 대내외적 환경을 수월히 통치하기 위한 의도에서 여가(공간)을 생산한다는 것이다. 지방정부는 근대국가의 통치목적보다 더 다양한 통치목적을 달성해야 했다. 지방정부는 도시영역 내 자원순환과 창출 뿐 아니라 대내외적으로 직면한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 문제를 해결해 도시를 유지시키며, 근대국가보다 불안한 재정 안정성을 극복하고자 도시민들의 이탈을 막고 세수를 확보해야 하고, 도시 간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외부에서 인구와 자본을 유입시켜 파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에 지방정부는 주권, 자율, 사목, 생산담론을 만들어 이를 여가(공간)에 투영시켜 통치성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주권, 자율, 사목, 생산 담론이란 각각 당대 지방정부 통치체제의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한, 시민들이 통치당하고 있다고 느끼지 않게 하는 진화된 규율방식을 수행하기 위한, 시민의 삶을 보살펴야 할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도시를 성장시켜 지방정부가 파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의도로 형성한 담론을 말한다. 현대 지방정부가 특히 여가를 통해 통치성을 수행하는 이유는 여가가 경쟁 원리 및 자기통치라는 신자유주의 주체화를 수행하는 데 용이한 전략이 되기 때문이다. 또 여가는 후기산업사회 및 세계시장에서 외부자본 및 인력 유치 등 도시 간 경쟁에 살아남는 데 좋은 전략이다. 한편 지방정부가 통치 정당성을 강화하고자 도시정체성을 주입하고 기존 통치체제를 비판하는 데 여가(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시민을 강압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둘째, 지방정부의 여가공간 생산 프로세스는 도시공원 조성 행위자의 권력-지식 연합이 담론이 되고 담론이 제시하는 규범이 경관에 재현, 실천되는 과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 권력-지식 형성과정에서는 행위자 간 연합과 권력역학(연합, 갈등, 배제)이 나타난다. 주요 행위주체인 선출직 시장은 자신의 권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행위자인 전문가 집단을 동원해 연합한다. 그리고 관료집단, 지식인 집단, 선출직 시장, 민간 시민사회 집단 등 주요 행위자 간 협상과정에서 권력-지식체계 간 연합을 통해 장소성 간 경합이 일어난다. 이는 권력역학에 의해 하나의 장소성이 여가공간 담론으로 선택된다. 한편 지방정부 차원에서 당대 도시사회 대내외적 상황을 통치하기 위해 주권, 자율, 사목, 생산담론을 만들어낸다. 두 방향의 작용이 합쳐져 여가공간 담론 키워드와 규범(주체화) 상이 정해진다. 그리고 담론이 드러나도록 가시적, 행위, 미디어 경관을 조형하고 통제, 감시, 제안, 명령하는 방식을 통해 피통치주체인 시민을 담론이 제시하는 모습으로 유도한다.
그간 여가공간 생산과 관련한 연구는 행위자, 구조, 경관 측면에서 별개로 논의되었다. 특히 여가공간에 대한 사회공간론적 논의는 부족하였고 주로 실용적 목적이나 방법 위주로 연구해왔다. 이 연구의 의의는, 여가공간 생산 기제를 권력, 지식- 담론- 경관의 관계를 통해 행위-구조-공간을 연계해 설명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또 통치성의 하위개념인 여가통치성 개념을 새롭게 제시하여, 시대를 관통하는 통치주체의 여가공간 생산의도를 설명할 수 있도록 학술적 지평을 열었다. 그리고 여가공간이 합리적 계획을 통해 조성된 가치중립적 공공재가 아니라, 지방정부와 같은 통치주체의 통치성 수단일 수 있음을 방증하였다. 특히 도시공원을 통치성 수단(장치)이라는 사회공간론 관점에서 설명함으로써 기존 도시공원 연구에 참신성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공간은 통치성 수단(장치)로서 통치성 수행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통치성 연구분야에서 지리학적 논의가 활성화되는 데 일조할 것이다. 향후 시장, 민간조직, 국가, 시민 등 다양한 행위자가 생산하는 여가공간 사례 후속연구를 통해, 본 연구가 제시한 여가통치성 장치로서 생산되는 여가공간 생산기제 모형을 실증할 수 있는 지리학적 연구가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 기대한다.
Space for leisure is rapidly increasing in cities, especially after
implementing local government systems. As a result, the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promoting the policy of making these leisure
spaces. This is different from the modern paradigm in which the
public decides to use the land mainly for development purposes.
Therefore, this study began with two questions: "Why?" and "by what
processes can the post-modern local governments creat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local governments' leisure space-producing
mechanisms by examining these two questions.
In order to find the mechanism by which local governments
construct leisure space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omprehensively
explain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and actors of the city, its social structures, and
landscapes were needed. First, Foucault's governmentality theory was
set as the first research hypothesis for the 'intention' of local
governments to create space, assuming the intent of producing these
spaces as conducting governmenta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coined
a concept of' leisure-governmentality' to clarify the purpose of
producing a 'leisure' space. Second, based on the first assumption, the
local government's 'space production' process was viewed as forming
power-knowledge, discourse, and landscape, the 'dispositif' (device) for
governmentality. Therefore, two questions were studied by analyzing
the process of power-knowledge, discourse, and landscape formation,
an analysis framework for this research.
The urban parks crea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ere the subject of analysis. The literature review confirmed that
urban parks were created as a dispositif for the governing people for
governmentality through post-modern leisure society. In addition,
Seonyudo Park, an urban park in Seoul creat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Mapo Culturetank
was created as a representative policy that can clarify the leisure
space production mechanism of current local governments. For
analysis and data, power-knowledge as an oral record transcrib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discourse analysis by web
scraping of media articles and policy narrative methods for urban
master planning documents, and landscape analysis by conducting a
narrative through field visits and literatur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ntion of the local government to produce leisure space was to
carry out leisure-governmentality. The first leisure-governmentality
exhibited by the elected mayor of the local government is creating
leisure (space) to gain political support at home and abroad by
exhibiting his political philosophy. Faced with a global trend to
emphasiz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an internal crisis within the
city, the elected mayor and officials close to the mayor collaborated
to shape Seonyudo Park. Accordingly, they put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hilosophy forward as representative policies to gain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support. This represented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discourse, which was especially expressed through Seonyudo
parks. In Mapo Culturetank, the elected mayor wanted to appeal his
philosophy through this park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o be
re-elected in the next election. Thus, the mayor designed Mapo
Culturetank to strengthen his political position by representing his
philosophy to this urban park.
The second leisure-governmentality is that leisure (space) is created
to conveniently gover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the
neoliberal loc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have to achieve more
diverse objectives to govern than those of the modern state. Local
governments must circulate and create resources within the urban
area and maintain the city by solving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problems. The economy is somewhat
insecure compared to the modern state; thus, the local government
must secure tax revenue and citizens from leaving. Moreover, to
survive intercity competition, it is crucial to ensure an influx of
population and capital increase from the outside, not going bankrupt.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local governments created discourses
by doing sovereignty, autonomy, pastoring, and production and
projected them into leisure (space) to execute governmentality.
Sovereignty, autonomy, pastoring, and production discourses have
been formed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of the time, to implement an evolved method of discipline that
makes citizens feel that they are not being governed, to fulfill their
duty to take care of the lives of the citizens to enlarge cities and
prevent local governments from going bankrupt. Local governments in
post-modern society especially exercise governmentality through
leisure because leisure is an easy strategy to carry out the subject of
neoliberalism of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and self-governing.
Furthermore, leisure is a good strategy for surviving competition
between cities, such as attracting external capital and human
resources in the post-industrial and global markets. Meanwhile, it is
effective for local governments to use leisure (space) to instill urban
identity,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governing, and criticize the
existing government system without coercing citizens.
Second, the local government's leisure space creation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a process in which the power-knowledge
association of the actors who make the urban park policies produce
discourses, and the norms suggested by the discourses are shaped and
practiced to the landscape. In associating between power and
knowledge, the negoti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alition between
actors and the power dynamics (collaboration, conflict, exclusion)
appears. The elected mayor, the leading actor, gathers and unites
specific experts who can strengthen the mayor's power. In the
meantime, in the negotiation process among main actors such as
bureaucracies, intellectuals, the elected mayor, and civil society
groups, arguments about what knowledge for placeness is acceptable
between them occur. This is because placeness for urban parks(leisure
space) is selected by power dynamics discourse. Meanwhile, it creates
sovereignty, autonomy, pastoring, and production discourses to govern
contemporary urban society's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hus, the two action directions are combined
to determine the keyword, leisure space discourses, and the social
norms(subjectivization). Furthermore, by shaping the hardware,
software, and media landscape to reveal the discourses, the landscape
conducts the citizens, the governed subjects, through the discourses
presented by how the landscape controls, monitors, proposes, and
commands the users of the leisure space.
Research related to producing leisure spaces has been discussed
separately from the actors, structures, and landscapes. In particular,
discussion on socio-spatial theory on leisure space was lacking, and
research has been mostly focused on practical purposes and method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can explain the mechanism of creating leisure space
by linking action-structure-spac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knowledge, discourse, landscape. In addition, the concept of
'leisure governmentality,' a sub-concept of governmentality, was newly
presented, opening an academic horizon to explain the intention of
the governing body to create leisure space throughout time.
Furthermore, it was proved that leisure space is not a value-neutral
public good created through rational planning but can be a means of
governmentality for governing people by a local government. In
particular, it provides novelty to existing urban park research from a
social space theory perspective as a dispositif of governmentality.
Finally, this study emphasized the influence of space as a dispositif
for conducting governmenta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vitalizing geographical discussions in governmentality research in
the future. Through follow-up studies on leisure space created by
various actors such as the business sector, civic organizations, the
state, and citizens, geographic research demonstrating the model of
leisure space creation mechanisms produced as a leisure
governmentality dispositif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further
developed and activat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44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4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