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돈과 행복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oney and Happiness: How Income, Assets, and Consumption Expenditure Affect Consumers' Happiness
소득, 자산, 소비지출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현진

Advisor
최현자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행복소득소비지출자산포화점행동학적 생애주기 가설happinessincomeconsumption expenditureassetssatiation pointbehavioral life cycle theory
Abstract
Shefrin & Thaler(1988)의 행동학적 생애주기 가설에서는 경제적 자원의 종류와 소비자 특성에 따라 소비자가 경험하는 효용이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돈과 행복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돈을 경제적 자원으로 정의하고,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자원의 종류와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보았다. 이에 경제적 자원을 소득, 자산(금융자산, 실물자산, 순자산), 소비지출로 구분하고 각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 소비자와 연령대별로 살펴보았다. 또한 각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 지점, 즉 포화점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종합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 상대적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소득, 금융자산, 실물자산, 순자산, 소비지출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OLS 회귀분석, 독립변수의 2차항을 추가한 비선형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여 두 변수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 경제적 자원의 포화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chow 검정과 이원분산분석 등을 통해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OLS 회귀분석을 통해 각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종합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 상대적 영향을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와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소득, 금융자산, 실물자산, 순자산, 소비지출은 행복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경제적 자원마다 포화점이 도출되었다. 2019년을 기준으로 경제적 자원의 포화점은 소득 약 1억4천만원(연소득), 금융자산 약 4억5천만원, 실물자산 약 30억원, 순자산 약 27억원, 소비지출 약 950만원(월지출)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포화점을 연도별 평균값 대비 비율로 나타내면 소득 3.2∼4.2배, 소비지출 3.3∼3.7배, 금융자산 8.4∼16.8배, 실물자산 10.1∼16.1배, 순자산 5.5∼9.8배에 해당하였다.
또한 연령대별로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다. 소득은 40대>50대>60대 이상>20-30대 순으로 영향력 차이가 나타났다. 금융자산은 20-30대에서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연령대보다 낮게 나타났다. 실물자산과 순자산은 50대에서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주는 영향이 가장 높았고, 20-30대에서 가장 낮았다. 소비지출은 20-30대가 다른 연령대보다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낮았다. 전체적으로 20-30대가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연령대보다 낮게 나타났다.
소득, 자산, 소비지출이 행복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전체 소비자를 대상으로 할 때 소득>금융자산>실물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 대신 소비지출을 투입할 경우 소비지출>금융자산>실물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유량 개념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저량 개념의 금융자산, 실물자산에 비해 행복에 주는 상대적 영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은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20-30대는 소득>금융자산 순으로 나타나고, 실물자산은 유의하지 않았다. 소득 대신 소비지출을 투입할 경우 금융자산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40대는 소득>금융자산 순으로 나타나고, 소득 대신 소비지출을 투입할 경우 금융자산>소비지출 순으로 나타났다. 실물자산은 유의하지 않았다. 50대는 소득>금융자산>실물자산 순으로 나타나고, 소득 대신 소비지출을 투입할 경우 금융자산>소비지출>실물자산 순으로 행복에 영향을 주었다. 60대 이상은 50대와 마찬가지로 소득>금융자산>실물자산, 소비지출을 투입할 경우 금융자산>소비지출>실물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50대부터 실물자산의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나, 이들 연령대부터 실물 자산 축적이 행복에 주는 영향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한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 금융자산, 실물자산 순자산, 소비지출에 대해 행복의 포화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도출된 포화점은 각 경제적 자원의 상위 1∼2%에 해당하는 매우 높은 금액으로, 경제적 자원 수준이 매우 높은 일부 소비자를 제외하고는 자원의 증가가 행복을 증진시키는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개인 차원의 돈과 행복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있어, 소득 뿐 아니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본 경제적 자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소득은 행복에 있어 가장 영향력이 크고 중요한 경제적 자원이지만, 버는 돈이 많으면 행복하다고 바로 단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현재의 욕구 충족뿐 아니라 미래에 대한 대비 또한 행복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며, 경제적 자원을 통해 이러한 욕구를 충족하는 것이 행복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셋째, 행복에 대한 경제적 자원의 영향은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으며, 여기에는 연령대가 지니는 여러 특징들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20-30대는 행복 수준이 높고,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낮으며, 행복에 대한 경제적 자원의 포화점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20-30대가 생애주기 상 필수적으로 지출해야 할 욕구는 상대적으로 적은데 가용한 경제적 자원은 적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이들 연령대는 소비지출보다 미래에 대비하는 금융자산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MZ세대, 에코세대 등 젊은 연령대가 소비 성향이 강하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다. 이는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을 가구주로 한정한 영향도 있을 것이나, 우리나라 소비자들에게 주택 보유는 전세대적으로 여전히 중요한 이슈임을 반증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40대, 50대는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 생애주기 상
이들 연령대는 소비지출을 통해 충족시켜야 하는 요구가 가장 큰 세대이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50대는 실물자산이 절대적 영향과 상대적 영향이 높아지는 것이 40대와 차별된다. 이는 생애주기 상 은퇴가 임박하고, 일정 수준의 자산이 구축된 안정기에 접어드는 시기이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60대 이상은 필수적인 지출에 대한 요구가 줄어들고,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40대, 50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경제적 자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40대, 50대와 큰 차이가 없었고, 경제적 자원의 포화점도 높게 나타났다. 여기에는 소비자들이 이전에 형성된 생활 기준을 유지하려는 습성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60대 이상은, 욕구가 줄어드는 소극적인 고령층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새로운 세대적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behavioral life cycle hypothesis of Shefrin & Thaler (1988), consumer utilities ca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financial resources and consumer preferences. This study defines money as financial resources, and assumes that financial resources affect happines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resources and consumers preferences. On this assumption, the research classifies the financial resources into income, assets(financial assets, real assets, net assets), and consumption expenditure, and examine the effect of each financial resource on happiness by overall consumers and by age groups. In addition, the research detects a satiation point of happiness, where each financial resource no longer has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happiness. To this end, the research conducted OLS regression, nonlinear regression using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from 2017 to 2019. The chow test and two-way ANOVA were conducted as wel, to examine the difference by age group.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appiness h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each financial resource; income, financial assets, real assets, net assets, and consumption expenditure. Satiation points were detected for each economic resource; As of 2019 data, the satiation point was c.a. KRW 140 million in income(annual term), KRW 450 million in financial assets, KRW 3 billion in real assets, KRW 2.7 billion in net assets and KRW 9.5million in consumption expenditure(monthly term). When expressed as a ratio of the derived saturation point to the annual average, it corresponds to income 3.2 to 4.2 times, consumption expenditure 3.3 to 3.7 times, financial assets 8.4 to 16.8 times, real assets 10.1 to 16.1 times, and net assets 5.5 to 9.8 times. Converting to a ratio to the mean of the corresponding year, income was 3.2 to 4.2 times, consumption expenditure 3.3 to 3.7 times, financial assets 8.4 to 16.8 times, real assets 10.1 to 16.1 times, and net assets 5.5 to 9.8 tim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economic resources on happiness by age group. Income differed in influence in the order of those aged 40s > 50s > 60s or more > 20s and 30s. Financial assets had a lower effect on happiness in those in their 20s and 30s than in other age groups. Real assets and net assets had the highest impact in those in their 50s, and the lowest in those in their 20s and 30s. Consumer spending had a lower effect on happiness in their 20s and 30s than other age groups. Overall, the effects of economic resources on happiness in their 20s and 30s were lower than in other age groups.
Compar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financial resource. it was found that income > financial assets > real assets for all consumers. When consumption expenditure is input instead of income, consumption expenditure > financial assets > real assets are shown in the order. That means flow-type financial resources such as income and consumption expenditure have a higher relative effect on happiness compared to stock-type resources such as financial assets and real assets.
The relative influence of financial resources on happiness differed by age group. Those in their 20s and 30s appeared in the order of income > financial assets. Real assets were not significant. When consumption expenditure instead of income was invested, only financial asse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ir 40s, income>financial assets were shown in the order, and if consumption expenditure was input instead of income, financial assets>consumption expenditure appeared in the order. Real assets were not significant.
People in their 50s appeared in the order of income > financial assets > real assets, and when consumption expenditures were put in instead of income, they had an effect on happiness in the order of financial assets > consumption expenditures > real assets. For those in their 60s or older, income > financial assets > real assets, as in those in their 50s, financial assets > consumption expenditure > real assets when consumption expenditure is input. The effect of real assets was significant from the 50s, indicating that the effect of real asset accumulation on happiness is increasing from these age group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drawn fro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atiation point of happiness with respect to income, financial assets, net assets of real assets, and consumption expenditure. However, the saturation point is a very high level corresponding to the top 1-2% of each economic resource. Therefore, the increase in resources has the effect of enhancing happiness, except for some consumers with very high levels of economic resources.
Second, speaking of money and happiness at the individual consumer leve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inancial resources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well as income. Income is the most influential and important financial resource for happiness, but it is hard to conclude that you are happy if you have a lot of 'money'.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not only satisfying current needs but also preparing for the future are important factors in happiness, and satisfying these needs through financial resourc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appiness.
Third, the influence of economic resources on happiness differs by age group, and it seems various characteristics that each age group has influence the results. Overall, those in their 20s and 30s showed a high level of happiness, a low effect of financial resources on happiness, and a low satiation point of economic resources for happiness. This might result from the reason that the 20s and 30s have relatively few needs to spend in their life cycle, but the available financial resources and the burden of using them are small.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inancial assets prepared for the future had a stronger effect on happiness than consumption expenditures in this age group. It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results that show that the materialism and consumption tendencies of younger age groups such as the MZ generation and the eco- generation are strong. This may be partly because the analysis target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household heads, but it also indicates that housing ownership is still an important issue for all generations of Korean consumers.
In their 40s and 50s, economic resources have a high impact on happiness. life cycle phase. In these age groups, needs to be satisfied rise to peak such as education fees retirement funding. People in their 50s differ from those in their 40s in that the absolute and relative influence of real assets increases. This may be because retirement is imminent in 50s in their life cycle, and it is a time when the life cycle of assets enters a stable period.
It can be predicted that those in their 60s or older will have less demand for essential expenditures, and the impact of financial resources on happiness will b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ose in their 40s and 50s. However, the effect of financial resources on happi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ir 40s and 50s, and the satiation points of financial resources on happiness were also high. This may result from consumers' habit of maintaining previously established standards of living. In addition, it may res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 new generation that actively pursues self-realization, rather than the passive elderly people in their 60s or older.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44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8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