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만문원당』에서 『만문노당』으로의 개수 : The Revision of Man-wen yuan-dang to Man-wen lao-dang: With Focus on Qing Taizong Era
청 태종조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현정

Advisor
김주원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만문원당만문노당개수홍타이지만주여진Man-wen yuan-dangMan-wen lao-dangrevisionHong TaijiManjuManchuJurche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revision of Man-wen yuan-dang into Man-wen lao-dang which covers the reign of Qing Taizu (Nurhaci) to the first year of the Chongde reign of Qing Taizong (Hong Taiji).
Specifically, this study intensivel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revisions in the Joseon-related texts. We first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 and phonological phenomena and secondly analyz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derived from it.
In particular, the revisions show the tendency of Hong Taiji to centralize power to rule the country and to rebuild Qings position in relation with neighbouring countries such as Ming and Joseon.
Linguistically, Man-wen yuan-dang is suitable for studying the changes in Manchu script because it is a mixture of old Manchu script, new Manchu script and transitional Manchu script. This study suggests the advanced principles of transcription of old Manchu scrip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Phonologically, Man-wen yuan-dang includes the vowel replacement, deletion and addition, monophthongization, mixture of b and f, palatalization, deletion of the final n, assimilation. The consonants of words borrowed from Chinese in Man-wen yuan-dang largely reflect pronunciations without retroflex and pronunciations in the process of palatalization. Regarding palatalization, Man-wen yuan-dang shows the completion or the ongoing process of palatalization, but Man-wen lao-dang shows non-palatalized form. Man-wen lao-dang seems to be more conservative about the notation of borrowing Chinese words. Morphologically, participle tense endings and negation marker in Man-wen lao-dang have been merged into single words. Syntactically, phrases in Man-wen lao-dang are grammatically more correct than those in Man-wen yuan-dang.
Man-wen yuan-dang adds peoples names and titles in dense small letter text that records official events so that it becomes identical to Man-wen lao-dang. It appears to have supplemented accurate and specific descriptions for the compilation of Man-wen lao-dang.
The historical implications found in other parts can be largely be summed up as the centralization of power, the reestablishment of relations with neighbouring countries, and the formation of Manchurian identity.
First of all, Hong Taiji attempts to express himself as bi(I) by correcting be(we) so that he centralizes his authority and avoids sharing power with the other three Beiles. Secondly, the term Solhoi Han is rewritten as Solhoi Wang which is the title used in the Chinese imperial system. While the title of emperor Han is given to the Qing emperor, the lower title of king Wang is given to the Joseon king. Thus showing the lower status of the Joseon king in relation to the Qing emperor.
Moreover, it is noteworthy that aisin gurun or wesihun gurun (Qing) starts to raise(擡頭: to change line and raise the word higher than usual beginning line for expressing respect) the word higher than coohiyan gurun (Joseon) in the 9th year of Tiancong, which was when Hong Taiji was about to become the emperor. While the raising by respect of Ming appears as early as 2nd year of Tiancong, the raising by respect of Joseon appears later. This kind of raising by respect is not found in Man-wen lao-dang.
By rewriting Aisin or Jušen to Manju, the concept of Manju develops from a political and military group based on Qings eight banners system to a national concept with a unique culture of its own.
To sum up, Man-wen yuan-dang is presumed to be preliminary work for the compilation of later chronicles including Man-wen lao-dang through a number of revisions, and it contains the Qings own perception of raising by respect related to Joseon and Ming, which is not found in Man-wen lao-dang.
본 연구는 청 태조 누르하치부터 청 태종 홍타이지의 숭덕 1년까지의 기록을 담은 『만문원당』과 이를 청 건륭제 때 중초해 편찬한 『만문노당』을 자료로 하여, 그중에서 홍타이지가 한에 즉위한 천총 원년(1627)부터 나라 이름을 청나라로 바꾸고 황제로 즉위한 숭덕 원년(1636)에 이르기까지의 청 태종조 부분에 대해 『만문원당』에서 『만문노당』으로 개수된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차적으로는 서지·표기적 측면의 변화와 음운·형태·통사·어휘 차원의 언어학적 현상을 살펴보고 이차적으로는 그 역사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만문원당』은 만주어 문자 연구에서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가진다. 『만문원당』은 문자적으로 무권점 만문과 유권점 만문, 과도기적 만문이 혼재되어 쓰이고 있어 만주 문자의 변천을 연구하기에 적합하다. 무권점 만문은 로마자 소문자로 전자하는 유권점 만문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기 위한 올바른 전자 방식이 필요하다. 본고는 기존 연구를 이어받아 무권점 만문의 전자 원칙을 세우고 이를 보완·발전시켰다.
해당 부분의 언어적 변화는 음운적, 형태·통사적, 어휘적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음운적 변화는 자음의 경우 만주어 고유어는 b와 f의 혼용, 구개음화, 어말 n 유동 현상이 나타난다. 『만문원당』에 반영된 중국어 차용어 자음은 당시 만주인이 접했던 중국어 방언의 영향을 나타내는데, 일부 자음은 구개음화가 완전히 완료됐거나 한창 진행 중인 상태를 보여준다. 『만문원당』의 모음의 경우, 모음의 교체와 탈락 및 첨가, 단모음화, 장모음화, 개입자음 g의 유동 등이 나타난다. 형태·통사적으로는 『만문노당』에서는 시제와 부정을 나타내는 어미가 합쳐져 축약되거나 두 형태소가 중첩을 통해 하나의 형태소로 통합되고 구·절의 어순이 차이를 보이는 등의 변화를 보인다.
『만문원당』에서 『만문노당』으로의 개수는 『만문원당』에서 사건의 주요 내용과 인명, 직위 등을 행간에 작은 글씨로 추가한 것이 눈에 띈다. 『만문노당』 등 후대 역사서 편찬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만문원당』의 기존 내용을 보완하면서 정확하고 구체적인 서술을 첨가한 것으로 보인다.
그외 개수에서 찾아볼 수 있는 역사적 의미는 크게 중앙집권화, 주변국과의 관계 재정립, 만주족 정체성 형성으로 분석할 수 있다. 먼저 홍타이지가 천총 원년에 출병한 버일러들에게 답신을 하면서 우리(be)라고 썼던 부분을 『만문원당』에서 지우고 나(bi)라고 고쳐 쓰고 있다. 이렇게 개수된 것이 『만문노당』에 그대로 반영됐다. 이는 사왕분권으로 세 버일러와 통치 권한을 공유하던 홍타이지가 차츰 장유의 서열을 극복하고 황권을 강화하려고 한 시도를 드러낸다.
또한 조선과의 관계를 재정립하려는 시도가 관찰된다. 먼저 조선의 한(solhoi han)이라는 표현을 조선의 왕(solhoi wang)으로 고쳐쓰고 있는데, 이는 황제―왕의 중국식 황제제도를 청의 한―버일러 관계에 적용한 것이다. 조선은 청과 동등하게 한이라고 표현할 수 없고 그보다 낮은 왕이라고 불러야 하는 것이다. 또한 개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홍타이지의 황제 등극을 앞둔 천총 9년에 이르러 후금(aisin gurun)을 조선국(coohiyan gurun)보다 높여 쓰거나, 자신들을 상국(wesihun gurun)으로 지칭하며 조선보다 높여쓰는 대두 관념이 나타나는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일찍이 명에 대해 적용했던 대두 관념이 조선에 대해서는 천총 말기에 이르러서 나타난 것이다. 한편 명에 대해서는 화친 등 글의 내용에 따라 대두의 상대적인 정도를 조율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만문노당』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만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시도가 드러난다. 금(aisin)과 여진(jušen)을 만주(manju)로 고쳐 씀으로써 청의 팔기 체제에 근간을 두고 정치·군사 집단으로 인식되던 만주인이라는 관념을 한족과는 다른 문화를 가진 민족 개념으로 발전시키려는 의도가 나타난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만문원당』은 개수를 통해 추후 편찬되는 역사기록의 사전작업을 수행한 것으로 보이며, 그중 하나가 『만문노당』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대두 등을 통해 볼 때 『만문원당』에는 『만문노당』에서 찾아볼 수 없는 청의 고유한 국제 정세 인식이 담겨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47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16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