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명주보월빙> 연작 연구 : A Study on the Series of Myeong-ju-bo-wol-bing : Focused on Characteristics of Transcendental World and Fatalism
운명관과 초월계의 성격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인선

Advisor
정병설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운명죽음초월계유교규범불안의식삼문록한글장편소설연작소설가문소설M yeong-ju-bo-wol-bing( 珠寶月聘)Yun-ha-je ong-sam-mun-chwi-rok(尹河鄭三門聚錄)FateDeathTranscendental worldConfucian normsConsciousness of unrestSam-mun-lok(三門錄stories of three families)Korean classical novelSeries novelFamily novel
Abstract
연작은 , (총 205권)으로 구성된 조선후기의 최장편 연작소설로서, 한글장편소설의 성취가 집약된 대표적인 작품이다. 연작은 윤・하・정 세 가문의 서사를 통해 현실의 유교적 규범이 개인과 가문의 운명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함으로써 삶과 운명의 문제를 부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연작을 대상으로 작품의 서사적 특징을 분석하고, 작품에 나타난 운명관과 초월계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Ⅱ장에서는 의 서사적 성격을 다음과 같이 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에서 윤・하・정 세 가문의 서사는 가문의 대외적 위상과 상징성 등 공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각각 충효라는 이념적 상징성이 부각되거나[윤부], 정치적 시련과 극복이 강조되며[하부], 신의를 중시함으로써 명문가를 실현하는[정부] 서사로 집약된다. 둘째, 은 규범적 인물과 탈규범적 인물을 대립적으로 부각시킴으로써 당대의 이념과 이에 반하는 욕망을 조명한다. 셋째, 에서 초월계는 인간의 삶과 운명을 주관하는 신성한 공간으로 제시되며, 초월적 존재는 운명의 인도자로서 부각되는 양상을 보인다.
제Ⅲ장에서 의 서사적 성격을 고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서 윤・하・정 세 가문의 서사는 종통계승과 원비의 문제, 효와 애정의 대립, 여성의 수난이라는 가문 내부의 문제에 주목하며, 가문의 지속과 번영에 관심을 기울인다. 둘째, 은 규범과 탈규범, 선과 악의 경계에 선 경계적(境界的) 인물을 부각시킴으로써, 어느 한쪽으로 정의할 수 없는 다면적인 인물 형상을 보여준다. 셋째, 에서 초월계는 중심인물들의 활약을 강조하기 위한 도구적 측면이 강화된 경향을 보이며, 초월계의 작용은 환생 등을 통해 서사에 개연성과 흥미를 부여하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제Ⅳ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연작의 운명관과 유교규범이 결합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이 개인의 운명과 가문의 운명, 사회적 규범과 초월계의 조응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연작은 개인의 운명이 유교적 이념과 강하게 결합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작중의 인물들은 대체로 운명을 인정하되, 수동적으로 운명에 순응하거나 회피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자신의 운명에 다가서는 모습을 보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당대의 유교이념을 추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연작은 윤・하・정 세 가문의 부상(浮上)과 시련, 재도약을 다룸으로써 각 가문이 국가와 사회집단 속에서 그 운명을 지속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인다. 가문의 운명은 가문구성원들의 화합을 통한 내부적 결속과 국가와 사회집단 속에서의 번영과 지속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가문의 존속이 그 구성원들의 노력 여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며, 자신의 운명을 적극적으로 만들어가고자 하는 태도와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연작에서 초월계는 현실 투사체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유교적 사회규범을 반영하고 수호하는 성격을 지닌다. 동시에 초월계는 환생 등과 같은 인간의 초현실적인 소망이 충족되도록 하는 서사적 장치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당대 향유층의 소망과 의식성향을 보여준다는 의의를 지닌다.
제Ⅴ장에서는 연작의 소설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연작은 조선후기 한글장편소설의 창작경향과 특징을 잘 반영하는 동시에 독자적인 변화를 모색한 작품으로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연작은 상호의존적인 연작 관계를 보임으로써 전편과 후편의 서사적 지속성이 강화된 경향을 보인다. 이것은 전편과 후편이 연작을 이루면서도 각각 독립적인 작품으로서 존재하는 다른 연작소설들과 대별되는 부분으로서, 연작의 특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연작은 삼문록과 삼대록의 복합 양식을 완성함으로써 형식과 내용의 측면에서 끊임없이 변화를 모색하던 조선후기 한글장편소설의 창작경향을 반영한다.
셋째, 연작은 삶과 운명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성찰을 드러낸다. 연작은 표면적으로 조화로운 세계 속에서 가문의 번영을 구가하던 전성기 소설들의 경향을 따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가문의 쇠락에 대한 불안감과 선량한 인물들의 삶이 보장되지 않는 현실에 대한 회의, 전염병과 자연재해 및 사회제도의 문란에서 야기된 좌절감과 불안의식이 드러난다. 연작은 이러한 사회적 제 현상 속에서 개인과 가문의 운명 및 삶과 죽음에 대한 고민을 드러낸 작품으로서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연작은 조선후기 한글장편소설의 성취를 계승하는 가운데 새로운 변화를 모색한 작품으로서, 한글장편소설의 저류에 흐르는 당대 향유층들의 삶과 운명에 대한 관심과 고민을 형상화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yeong-ju-bo-wol-bing(明珠寶月聘) series is the longest series novel(total of 205 volume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The series, consisting of Myeong-ju-bo-wol-bing(明珠寶月聘) and Yun-ha-jeong-sam-mun-chwi-rok(尹河鄭三門聚錄), is a representative work that shows the achievement Korean classical novels attained. Through the narratives of three families ― Yun, Ha, and Jeong family,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focuses on how the actual Confucian norms affect on the fate of individuals and families, and thereby highlights the issues of life and fate. This dissertation attempted to analyz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and investigate the view of fate and the nature of the transcendental world expressed in the works. The contents of this dissert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II,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Myeong-ju-bo-wol-bing are considered from three aspects as follows. First, in Myeong-ju-bo-wol-bing, the narratives of the three families tend to emphasize public aspects such as the external prestige and symbolic importance of the families. This tendency is intensely revealed in each narrative. The ideological symbol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re emphasized in the narrative of the Yun family. The narrative of the Ha family stresses political trials and overcoming. The narrative of the Jeong family displays this tendency in that the family remains to be a prestigious family by placing value on faithfulness. Second, Myeong-ju-bo-wol-bing shows the ideology of the era and the desires against it by highlighting the normative and non-normative figures in contrast. Third, Myeong-ju-bo-wol-bing presents the transcendental world as a sacred space where the fate of human beings is governed, and the transcendental being is highlighted as a guide of fate.
In Chapter III,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Yun-ha-jeong-sam-mun-chwi-rok are considered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s of the three families in Yun-ha-jeong-sam-mun-chwi-rok focus on continuation and prosperity of family, looking into the internal issues of the families such as succession issues, conflicts between filial piety and love, and suffering of women.
Second, Yun-ha-jeong-sam-mun-chwi-rok highlights liminal figures who stand on the boarder between conformity and deviance, between good and evil. Thereby it captures complex and subtle aspects of human beings in reality and formalizes multifaceted characters.
Third, in Yun-ha-jeong-sam-mun-chwi-rok, the transcendental world tends to function as a means of emphasizing the performance of the main characters, and the action of the transcendental world enhances probability and interest to the narrative through methods such as reincarnation.
Chapter IV examines how the view of fate and the Confucian norms are combined in Myeong-ju-bo-wol-bing series based on the previous analyzations. This can be viewed from three aspects: personal fate, destiny of family, and correspondence between social norms and the transcendental world. First, in terms of personal fate,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shows how fate of individual is strongly combined with Confucian ideology. Although the characters in the work generally accept their fate, they do not passively conform to or avoid but actively approach their own destiny, which results in following the Confucian ideology of the time.
Second,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deals with the rise, trials, and another leap forward of the three families to show how each family continues the destiny in the state and society. The destiny of the family can be understood from two aspects: the internal solidarity through the harmony of the family members, and the prosperity and continuity in the state and society. This shows that the destiny of a family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efforts of its members, and is related to the activeness to shape their own destiny.
Third, in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the transcendental world acts as a projection of reality, reflecting and protecting the social norms of Confucianism. Simultaneously, the transcendental world functions as a narrative device that fulfills the surreal desires of human beings such as 'reincarnation'. It therefore reflects the desires and consciousness of the readers of the time, which gives importance to this work.
Chapter V examin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While reflecting the tendency of cre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novel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pursues changes in its own way as well. This work has following significances. First,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shows a tendency to strengthen the narrative continuity through the series by establishing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work and its sequel. This interdependency distinguishes this series from other novel series in that a preceding work and its sequel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in most cases. This feature is meaningful as it reflects one aspect of the writing trends of Korean novel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Second,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shows the sophisticated lengthening method of Korean novels in late Choseon Dynas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Sam-mun-lok(三門錄, stories of three families) and Sam-dae-rok(三代錄, stories of three generations). This is meaningful as it shows that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constantly tried to change in order to find a new direction based on the richly accumulated tradit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Third,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reveals concerns and reflections about life and fate.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seemingly follows the trend of novels in their heyday when families prospered in a harmonious world. On the other side, however, it reveals the anxiety and frustration caused by the worries of decline of the family, the skepticism about the reality that good people are not rewarded, and the anxiety and frustration caused by epidemics, natural disasters, and disturbances in the social system.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is a significant work that reveals concerns about the fate of individuals and families, as well as life and death amidst these social phenomena.
To conclude, Myeong-ju-bo-wol-bing series is a remarkable work that attempts new changes while inheriting the achievements of Korean classical novel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and also represents the interests and concerns about lives and fates of the readers at the tim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50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5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