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몽골 사회의 젠더 불평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Gender Inequality in Mongolian Society: From 2010 to 2020, Mongolia'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2010~2020년 몽골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양가

Advisor
은기수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성 평등젠더 불평등가부장제
Abstract
Despite women's high educational achievement in Mongolia, they still face domestic violence and discrimin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social problems, the Mongolian government introduced the Gender Equality Act and the Domestic Violence Act in 2011. However, unlike what is stated in the law, there are still many gender-based discrimination, damage, and domestic violence in Mongolian society, and more cases have not been received than those received. The majority of victims still have difficulty accessing protection, recognizing social and cultural norms criticizing women rather than men and violence as a domestic problem, which often prevents them from hiding or reporting the damage. Then why can't gender inequality be resolved even though discussions for gender equality continue in Mongolian society and policies to protect women's human rights continue? This paper developed a discussion with these problems. This paper tried to explain why gender inequality has not been resolved properly despite the ongoing efforts for gender equality in Mongolia based on six measures of Sylvia Walby's patriarchy theor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First, due to the influence of orthodox familyism and legal system problems, domestic production relations are still male-centered, which contributes to the current gender inequality. Second, in a family-oriented Mongolian society, women are more responsible for domestic labor than men, so the opportunity to access high-wage jobs such as management is very limited. Paid labor has also affected the labor market by separating the roles of men and women as it relates to domestic production relations. Third, in Mongolian society, Mongolian women have a higher educational level than men, but they experience discrimination and disadvantage even if they are in the same profession as men because they are maternal (or will be maternal in the future). Recently, the average age of Mongolian women's marriages has been delayed and the birth rate has also been lowered, which is also seen as a situation to address women's higher educational standards and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experiences in the labor market. Fourth, although many laws state that male violence against women is prohibited, organizations and members who solve violence and damage cases still do not effectively solve the case. In particular, he found that instead of criticizing and punishing his husband, or the perpetrator, he tends to criticize the wife/spouse of the victim. Fifth, in Mongolia, homosexual sexual orientation or non-traditional sexual orientation and sexual orientation have not been known for long, and law essentially prohibits same-sex marriage. This does not support other forms of non-traditional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as Mongolian cultures and traditions are generally not open to homosexuality. This situation leads homosexuals to hide their identity in public and private areas. This can be concluded that the efforts of the Mongolian government and social danchae on gender equality have not paid off and are hindering due to the strong male-centered patriarchal image in Mongolian society. Sixth, Mongolian television, newspapers and magazines found that women were more likely to represent in leisure and cultural programs, while men were more likely to represent in politics, economics, law and sports. It was also confirmed that male students chose science and technology more in Mongolia, and that female students chose humanities, humanities, and education.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we were able to understand why gender inequality could not be resolved fundamentally in Mongolia.
몽골에서 여성의 높은 학력 성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정 내 폭력, 차별에 직면해 있다. 몽골 정부에서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1년에 성 평등에 관한 법률, 가정폭력에 관한 법을 발의하면서 법제화를 거듭했다. 하지만 법에 명시되어 있는 것과 달리 몽골 사회 내의에 여전히 젠더에 기반한 차별과 피해 사건, 가정 폭력이 많이 일어나고 있으며 접수된 사건보다 접수되지 않은 사건이 더 많다. 피해자의 대다수는 보호에 대한 접근이 어렵고, 남성보다 여성을 비난하는 사회적, 문화적 규범, 폭력을 가정 내 문제로 인식하고 이 때문에 피해 사실을 숨기거나 신고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등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몽골 사회에서 젠더 평등을 위한 논의가 계속되고 여성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도 계속 실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젠더 불평등은 해결되지 못하는가?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갖고 논의를 전개했다.
본 논문은 실비아 월비의 가부장제 이론 가운데의 여섯 가지 척도에 근거하여 현재 몽골에서 젠더 평등을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젠더 불평등이 제대로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원인에 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정통적인 가족주의 영향과 법제도 문제점에 의해 가내 생산 관계는 여전히 남성 중심적이고 이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 젠더 불평등 형상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둘째, 가족 중심적인 몽골 사회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가사노동에 대한 책임이 커 관리직과 같은 높은 임금을 제공하는 직종에 접근 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제한적이다. 유급 노동은 가내에서의 생산 관계와 연관되면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을 분리해 노동 시장에도 영향을 주었다.
셋째, 몽골 사회에서 몽골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높은 학력 수준을 보유하고 있지만, 여성이 노동시장에 나가게 되면 모성(혹은 미래에 모성이 된다는)이라는 이유로 남성과 같은 직종에 있어도 차별과 불이익을 경험하고 있다. 최근 들어 몽골 여성의 결혼 평균 나이가 늦어지고 있으며 출산율 또한 낮아지고 있는 상황도 여성의 높아진 교육 수준과 노동시장에서의 차별과 불평등 경험을 해소 시키고자 나타나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다수 법률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 폭력을 금지하는 것으로 명시하고 있지만 폭력과 피해 사건이 일어났을 때 이를 해결하는 조직과 구성원들이 여전히 정통 가족주의적 경향이 사건을 많이 효율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아내를 폭력 한 남편 즉, 가해자를 비판하고 처벌하는 대신 피해자 아내/배우자를 비판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다섯째, 몽골에는 동성 성적 지향이나 비전통적인 성적 지향과 성적 지향이 알려진 지 얼마 안 됐고 법률에서는 본질적으로 동성결혼을 금지하고 있다. 이는 몽골 문화와 전통이 일반적으로 동성애에 대해 개방적이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비전통적인 성적 지향과 성 정체성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은 동성애자들이 공적과 사적 영역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게 된다. 이는 몽골 사회에서 남성 중심 가부장적 형상이 강해 젠더 평등에 대한 몽골 정부와 사회 단체들의 노력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방해가 되는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다.
여섯째, 몽골 텔레비전, 신문, 잡지는 여가 및 문화 프로그램에서 여성이 대표할 가능성이 더 큰 반면, 정치, 경제, 법률 및 스포츠에서는 남성이 대표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몽골에서 남학생은 과학, 기술을 더 택하고, 여학생들의 경우 인문, 의한, 교육 부문을 더 택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몽골에서 젠더 불평등이 근원적으로 해소되지 못하는 이유를 파악할 수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50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4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