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국 거주 중·노년 한인 이민자의 노쇠 경로모형 : Path Model of Frailty Among Middle-aged and Older Korean Immigrants in the U.S.: Focusing on Health Literacy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사공혜

Advisor
윤주영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쇠건강정보이해능력사회적 지지문화적응FrailtyHealth LiteracySocial SupportAcculturation
Abstract
Background: Immigrants are generally considered a population with low health literacy, at increased risk of negative health outcomes, such as frailty.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play important roles in the health of immigrants. Therefore, comprehensive research is needed to confirm their relationship and their effects on frailty.
Purpose: Based on the Integrated Health Literacy Model, this study aimed to 1) examine the prevalence of frailty among middle-aged and older Korean immigrants living in the U.S.; 2) identify the effects of health
literacy,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on frailty, and comprehensively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based on the Integrated Health Literacy Model; 3)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literacy on frailty; and 4) explore factors influencing frailty by age groups.
Methods: A total of 244 Korean immigrants, age 50 years and older, residing in the southern U.S. (Alabama and Georgia) participated. The study used path analysis to examine the pathways among variables and the indirect effects of health literacy.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frailty by age group.
Results: Health literacy (β=−0.14, p=.032) and social support (β=−0.19, p=.009) directly influence frailty, while acculturation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frailty (β=−0.09, p=.253); social support (β=0.22, p<.001) and acculturation (β=0.40, p<.001)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Health literacy (β=−0.03, p=.045)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frailty, and it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and frailty (β=−0.06, p=.048). The path model demonstrated reasonable model fit.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frailty were found to differ by age group.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and manage immigrantsfrailty, their health literacy needs to be enhanced by increasing their acculturation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migrant group.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as factors affecting frailty may vary by age group.
중·노년 성인들은 젊은 성인들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가지며, 노쇠의 위험성이 높다. 특히 이민자들은 새로운 이주 국가의 문화와 언어에 평생 동안 적응하며 살아가는 낮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을 가지는 취약 집단으로 여겨진다. 낮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좋지 않은 건강결과를 초래하기에 중·노년 이민자들에게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중요한 요소이다. 이주 국가에서의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은 이민자들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전반적인 건강수준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를 종합적으로 확인한 연구는 찾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1) 미국으로 이주한 중·노년 한인 이민자들의 노쇠,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정도를 확인하고, 2) 통합적 건강정보이해능력 모델을 바탕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이 노쇠에 미치는 영향과 변수들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탐색하고, 3) 건강정보이해능력의 매개효과와, 4) 연령군별 노쇠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탐색적 횡단조사연구이다. 2020년 6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미국 남부 지역의 앨라배마 주와 조지아 주에 거주하는 50세 이상 이민자 244명을 편의표집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노쇠,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7.0과 Mplus 8.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경로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4.05±9.46세였으며, 5.7%가 노쇠, 35.7%가 전노쇠, 58.6%가 비노쇠로 나타났다. 경로분석 결과, 건강정보이해능력(β=−0.14, p=.032)과 사회적 지지(β=−0.19, p=.009)는 노쇠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문화적응(β=−0.09, p=.253)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β=0.22, p<.001)와 문화적응(β=0.40, p<.001)은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사회적 지지와 노쇠 간에 부분 매개효과(β=−0.03, p=.045)를 보였으며, 문화적응과 노쇠와의 경로에서는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β=−0.06, p=.048). 본 연구의 경로모델은 χ2/df=2.144(p=.342), CFI=.999, TLI=.991, RMSEA=.017, SRMR=.020의 적합한 모형 적합도를 보였으며, 건강정보이해능력과 노쇠의 분산을 각각 약 32%, 13%로 설명하였다. 연구모형을 토대로 연령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년 성인 이민자의 경우, 사회적 지지(β=−0.21, p=.030)가 노쇠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이민자의 경우, 건강정보이해능력(β=−0.24, p=.028)과 사회적 지지(β=−0.21, p=.042)가 노쇠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노년 이민자들의 노쇠는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받으며,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을 매개로 하여 노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연령군에 따라 노쇠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나, 이민자 집단의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추후 중·노년 이민자들의 노쇠 예방을 위한 연구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51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3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