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반추방식에 따른 미래 예측의 긍정성 차이 : Difference in positive future predictions based on abstract and concrete rumination: With a focus on positive rumination on positive events.
긍정적 사건에 대한 추상적-구체적 반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대원

Advisor
김창대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긍정적 미래 예측긍정 반추반추방식추상적 반추구체적 반추Positive Future PredictionPositive RuminationProcessing Mode TheoryAbstract RuminationConcrete Rumin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추상적 반추 집단과 구체적 반추 집단에서 심리적 웰빙의 중요한 지표인 긍정적인 미래 예측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성인 26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스크리닝 과정을 거쳐 우울하지 않은 상태로 판별된 83명을 대상으로 ZOOM프로그램을 이용해 비대면 실험을 진행하였다.
온라인 사전 측정을 마친 참여자는 추상적 반추 집단과 구체적 반추 집단에 무선 배정된 후 연구자와 일대일로 반추 조작 면담을 실시하였다. 조작 면담이 완료된 후 사후 반추 검사를 실시해 반추의 조작이 유의하게 일어났는지 확인하였다. 반추검사 완료 후 참가자는 긍정적 미래 예측 수준을 평정하였다.
불성실한 응답을 한 6명을 제외한 77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집단 간 동질 성 검사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긍정반추 성향이 긍정적 미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성별, 집단, 긍정정서 변화량, 긍정반추를 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긍정적 미래 예측이 집단 간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먼저 긍정반추가 긍정적 미래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긍정반추가 긍정적 미래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변인임이 검증되었다. 이를 통해 우울하지 않은 일반인들은 긍정적인 자기 자질 혹은 긍정정서 경험에 대해 반복적으로 사고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미래가 올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추상적 반추 집단과 구체적 반추 집단의 긍정적 미래 예측을 비교한 결과 추상적 반추 집단에서 긍정적 미래 예측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이 밝혀졌다. 두 집단이 서로 독립적이고 동질적으로 구성되어있다는 것 또한 확인되어 다른 요인들이 아닌 집단 간 반추방식의 차이가 긍정적 미래 예측에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어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크게 관심을 받지 못했던 긍정정서 반응양식, 특히 긍정 반추의 개인차와 긍정적인 미래 예측을 실험적으로 연구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반추의 처리방식이론을 부정적 상황에 대한 반추가 아닌, 긍정적 반추에서 확인했다는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실제 상담 장면에서 긍정정서 경험을 활용해 내담자의 심리적 웰빙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상담 실제적 의의가 있다.


주요어: 긍정적 미래 예측, 긍정 반추, 반추방식, 추상적 반추, 구체적 반추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positive future prediction, an important indica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abstract and concrete rumination group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68 adults aged 18 and older, and a non-face-to-fac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83 people who were determined not depressed through the screening process.
After completing online pre-measurement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abstract rumination group or the concrete rumination group, which the researcher then conducted a one-on-one rumination manipulation interview. After the manipulation interview was completed, a posterior rumination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rumination manipula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umination test, participants rated the level of positive future prediction.
Data from 77 people, excluding six who responded insincerely,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for homogeneity tests between group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gender, group, positive affect, and positive ruminatio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also conducted to determine how positive future predictions differ between groups.
First of all, a multi-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positive reflection on positive future prediction confirmed that positive reflection is the only variable that affects positive future prediction. Thi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tendency of ordinary people to think repeatedly about positive self-qualities or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predicting a positive future. Furthermore, a comparison of the positive future predictions of the abstract rumination group and the concrete rumination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ositive future prediction in the abstract rumination group.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the two groups are independent and homogeneous from each other, indicating that difference in rumination methods between groups, rather than other factors, have cre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future predi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eds light on the difference between positive rumination and positive future prediction, twon important factors which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so far. There is also an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the processing-mode theory of rumination was identified in positive rumination, not in reflection on negative situation. This study also presented a method of promo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lients by utilizing positive affect experience in actual counseling scenes.

Keywords: Positive Future Prediction, Positive Rumination, Processing Mode Theory, Abstract Rumination, Concrete Rumin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52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4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