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방글라데시 의료기관의 만성질환 의료서비스 준비상태 영향 요인 분석 : Service readiness for non-communicable diseases of health facilities in Bangladesh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영애

Advisor
김선영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방글라데시보건의료 시스템서비스 준비상태서비스 이용가능성의료 기관 조사Bangladeshhealth systemservice readinessavailabilityfacility assessment
Abstract
Non-communicable diseases account for 70% of the world's deaths, and the burden of disease is increas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service readiness for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of health facilities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service provision for non-communicable disease in Bangladesh. The Service Provision Assessment (SPA) data which was surveyed in 2017 was used. Service readiness indicators were based on the service availability and service readiness assessment presen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ervice readiness was evaluated for each of 'guidelines and trained staffs', 'diagnostics and equipment' and 'essential medicines'. The survey was completed at 1524 of the 1600 health facilities surveyed. Among them, 813 facilities (53.3%) provided service for diabetes. The service readiness score for diabetes was low at 34.65 points, especially for guidelines and trained staffs (3.98), and essential medicines (1.22). Among the health facilities, urban locations, hospitals, and institutions that carry out quality assurance programs showed high level of service readiness. The proportion of facilities with high service readiness score for diabetes was highest in Dhaka division. 643 institutions (42.2%) provided service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e cardiovascular disease service readiness score was as low as 30.33 points and in particular, the scores for guidelines and trained staffs (3.87), and essential medicines (2.43)were low. Among the health facilities, institutions located in urban area, hospitals, and managed by non-governmental institutions showed high level of service readiness. The proportion of facilities with high service readiness score for cardiovascular disease was highest in Dhaka division. There were 944 institutions (61.9%) that provided service for chronic respiratory disease. Chronic respiratory disease service readiness score was very low at 15.02 points, and the scores were low in all domains, guidelines and trained staffs (4.47), diagnostic equipment (9.27) and essential medicines (1.30). Among health facilities, hospitals and facilities managed by non-governmental institutions have high service readiness. The proportion of facilities with high service readiness score for chronic respiratory disease was highest in Dhaka division. The readiness for non-communicable diseases in health facilities of Bangladesh was low.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lack of guidelines and trained staffs, a lack of essential medicines and a lack of diagnostic equipment. Service readines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ivision, region, the type of health facilities, and the operating authority. For the strengthening service delivery for non-communicable diseases in Bangladesh health facilities, a regional-based primary care-oriented policy which considers the weak service readiness identified in this study is necessary.
만성질환은 전세계 사망 원인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질병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보건의료 시스템이 취약한 중·저소득 국가의 만성질환 의료 서비스 준비상태는 열악하다고 알려졌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방글라데시 의료기관의 당뇨, 심혈관 질환, 만성 호흡기질환에 대한 의료 서비스 준비상태를 확인하고, 서비스 준비상태와 연관된 의료기관 요인을 확인하여 방글라데시의 의료 서비스 제공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자료원은 2017년 방글라데시 의료기관 조사 (The Service Provision Assessment, SPA)를 이용하였다. 서비스 준비상태는 SPA의Inventory Questionnaire에 포함된,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개발된) 서비스 이용가능성과 서비스 준비상태 평가 (Service availability and readiness assessment, SARA) 세부 지표들을 이용하였고, 의료인 훈련 상태는 SPA의의료인 인터뷰자료를 사용하였다. SARA 서비스 준비상태 지표는 진료 지침과 훈련된 의료인, 진단 기구 및 시설 필수 치료 약제로 구분하여, 모든 기준을 만족하였을 때 100점으로 점수화 하였다. 서비스 준비상태와 연관된 의료기관 특성 파악을 위해, 의료기관의 위치, 의료기관 유형, 의료기관 운영 주체, 서비스 이용자 비용 부담 여부, 서비스 질 관리 활동 여부, 외부 감독 여부를 확인하였고, 연관 요인 확인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방글라데시 8 division에 따른 서비스 준비상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지역별로도 서비스 준비상태 점수를 분석하였다. 방글라데시 보건가족부에 등재된 총 19,811개의 의료기관 중 1600개소가 조사대상으로 선정되었고, 이 중 1524개소에서 조사가 완료되었다. 당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은 813개소 (53.3%) 였다. 당뇨의 서비스 준비상태 점수는 100점 대비 34.65로 낮았으며, 특히 지침과 훈련된 의료인 (3.98), 치료 약제 (1.22) 점수가 낮았다. 의료기관 중 도시 소재, 병원, 서비스 질 향상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기관에서 서비스 준비상태가 높았다. 8개의 division 별로도 준비상태 점수 차이가 유의했으며, Dhaka division에서 준비상태 높은 기관이 가장 많았다(21.7%). 심혈관 질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은 643 개소 (42.2%) 였다. 심혈관 질환 서비스 준비상태 점수는 100점 대비 30.33으로 낮았으며, 특히 지침과 훈련된 의료인 (3.87), 치료 약제 (2.43) 점수가 낮았다. 의료기관 중 도시 소재, 병원, 비정부기관에서 운영하는 의료기관에서 서비스 준비상태가 높았다. 심혈관 질환 서비스 준비상태도 division 별 차이가 있었으며 Dhaka division에서 준비상태 높은 기관이 많았다(19.9%). 만성 호흡기 질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은 944개소 (61.9%) 였다. 만성 호흡기 질환 서비스 준비상태 점수는 100점 대비 15.02로 매우 낮았으며, 지침과 훈련된 의료인 (4.47), 진단 기구(9.27), 치료 약제 (1.30) 모두 점수가 낮았다. 의료기관 중 병원, 비정부기관에서 운영하는 의료기관에서 서비스 준비상태가 높았다. 만성 호흡기 질환 서비스 준비상태가 높은 기관이 많은 division 은 Dhaka였다(5.9%). 보건의료인의 만성질환에 대한 신규 훈련 및 재교육율은 소아 질환 (49.3%), 산전 산후 관리(37.5%), 신생아 관리(38.4%)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결과를 종합하면, 방글라데시 의료기관의 만성 질환 서비스 준비상태는 50점 이하로 저조했으며, 특히 지침과 훈련된 의료인의 부족, 필수 치료 약제의 부족, 일회용 진단 기구의 부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비스 준비상태는 지역과 의료기관 형태, 운영 주체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저중소득 국가인 방글라데시 의료기관의 만성질환 서비스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의 필요성 및 초점 분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 연구에서 확인된 만성질환에 대한 저조한 서비스 준비상태와 의료인 훈련, 지역적 취약성, 의료기관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지역에 기반을 둔 만성 질환의 일차 진료 활성화에 대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겠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52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70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