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법심사제도와 시민의 실천 : Judicial Review and Citizens' Political Practice: Political Vacuum and Constitutional Adjudication on the Crimes of Abortion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과 정치적 공백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현수

Advisor
김주형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낙태죄사법심사제도민주적 정당성정치적 실천헌정적 토의세계구축하기Abortion LawJudicial ReviewDemocratic LegitimacyCivic ParticipationConstitutional DebateWorld-building
Abstract
이 논문은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임신중지에 대해 어떤 입법안도 통과되지 못하는 교착상태를 단순히 법적 규제가 없는 상황을 일컫는 입법공백 혹은 법적 공백 대신 정치적 공백이란 개념을 통해 재조명할 것을 주장한다. 여기서 정치적 공백이란 임신중지와 관련한 시민사회의 논의가 정치제도를 통해 매개되지 못하는 상황과 낙태죄를 논쟁화한 시민들의 실천이 정치적으로 비가시화 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임신중지와 관련한 현 상황을 입법공백으로 재현하는 제도권의 논의는 사법심사제도와 정치과정을 분리하여, 전자에 초정치적 지위를 부여하는 사법중심적 시각을 전제하고 있었다. 이에 기반한 임신중지 논쟁과 문제 상황을 제도적으로 재현하는 양상은 시민사회와 제도권의 논의 사이 괴리를 지속하고, 시민들의 주장을 비가시화하는 자기폐쇄적 측면을 갖고 재생산되고 있었다. 이에 이 논문은 현재의 정치적 공백을 드러내고 마주하기 위해 사법심사제도와 정치과정의 관계에 대한 대안적 관점으로 총체론적 시각을 제시한다. 즉 사법심사제도를 민주주의 정치과정 내부로 포함하여 시민이 정치적 결정을 자신의 결정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제도 배열을 사고할 때 현 상황의 이면인 정치적 공백이 포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이 논문은 총체론적 시각이 시민들의 정치적 실천을 헌정적 토의로 개념화하는데 더하여 그 실천이 갖는 세계구축하기의 측면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시민들이 한국의 낙태죄 논쟁에 참여한 양상은 임신중지를 시민 개인의 기본권과 자유의 문제로 접근하는 측면 외에도 재생산을 사회적 문제로 이해하고, 재생산을 중심으로 한 공동체 구성원의 평등한 관계를 상상하는 지평을 여는 측면을 가졌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seeks to demonstrate that the deadlock after the decision of constitutional nonconformity on the criminalization of abortion in South Korea can be understood as a situation of "political vacuum." Unlike a "legal vacuum" which refers to the absence of any legal constraint, the concept of political vacuum clarifies the situation where political institutions overlook discursive contestation and obscure citizens' political practice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institutional representation of abortion laws in South Korea, portraying the current situation as a legal vacuum, has insulated judicial review from more democratic aspects of political processes such as civic participation and social movements. The "juricentric" interpretation of judicial review treats the judiciary, in this case the Constitutional Court, as an extra-political institution. In the context of the abortion law debate, this line of interpretation shaped how the debate has been institutionally represented, excluding or even distorting discourses expressed outside formal institutions. This article suggests, instead, a "holistic" interpretation of judicial review, to capture the existence of a political vacuum. This interpretation actively situates judicial review within the political process, and argues for an institutional arrangement which guarantees citizens the authorship of political decisions. Furthermore, it expands the concept of civic participation to include not only constitutional debates but also world-building practices. Taking into consideration citizens' actual participation in the abortion debate in South Korea, it is crucial to recognize how the citizens have synthesized their claims on fundamental rights and freedom with a new political imagination because it shows the relationship of equality among members of the political community regarding social reproduc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56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6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