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세조대 刊經都監 설치와 佛書 간행 : The Installation of GanGyeong-Dogam(刊經都監) and Publication of Buddhist Scriptures during King Sejos Reig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남동신-
dc.contributor.author최경환-
dc.date.accessioned2022-04-20T07:25:05Z-
dc.date.available2022-04-20T07:25:05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00000016804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8594-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041ko_KR
dc.description.abstractThe Goryeo Dynasty is a society where Confucianism and Buddhism coexisted and their roles were separated to complement each other, and which led to a country controlled and harmonized. However, things were changed since social and economic issues had arised in earnest such as expansion of a Buddhist temple economy, the unproductivity problem resulting from overpopulated monks and failure of national finance at the end of the era. Under the circumstances, the Joseon Dynasty, established by leading scholar-gentry class, adopted its official ruling idea with Neo-Confucianism, in which the king was a ideal monarch pursuing a bureaucratic government and the scholar-gentry class who eagerly supported a new system was also involved in monarchy. As the Joseon Dynasty started, it was evitable for Buddhism to be oppressed and its official role and social part diminished, and the situation got worse in an overall and a drastic way after the dynastic revolution. Nontheless, Buddhism had kept its long stance as a major religion for the royal family, the scholar-gentry class, and general people. Its power was not lessen at all during the periods of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because Buddhism had lasted long time with people as a thought and religion in history. In other words, the Joseon Dynasty could not form a new Confusion world in a day as Buddhism still had been with people for a long time taking its role as religion and custom, even though a new dynasty wanted to start its official system of Confucianism as a political and social way.
This study aims for examining historical consideration of GanGyeong-Dogam in the early stage of the Joseon Dynasty. In three chapters, we will see the meaning of GanGyeong-Doga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y reflecting the political circumstances and the political way managed by the King Sejo, and the publication on Buddhist scriptures succeeded from the previous dynasty as well.

In the first chapter, we will find out King Sejos strategy to manage the country and his policy on Buddhism. King Sejo was a new leader who seized power in a different way from former Kings. With a belief on Buddhism in personal and a willingness to inherit the former kings work, he introduced a new way in political management ,and also utilized Buddhism politically to make a country centralized. He knew that he had to pursue a political way with different fields of studies specially like Buddhism to maintain the strength in ruling the country, considering the power and appeal of Buddhism to the general public. Compared with other kings, King Sejo had a strong political power enough to handle resistance of the scholar-gentry class and this helped him out to carry a policy to make Buddhism prosperous. A Buddhist service led by King Sejo, mainly involved in two parts, was to sponsor Buddhist temples and to publish Buddhist scriptures. Moreover, a Buddhist service which would build a foundation for advanced Buddhism to the next level, contributed to install GanGyeond-Dogam as a national organization not as a personal one since Buddhism scriptures had been published. That was a wise strategy of King Sejo who hoped to last his strong power for a long time.

In the second one, we can see how GanGyeong-Dogam was installed and managed. In the era of the Goryeo Dynasty, there were three times of publication on a large scale sponsored by the nation. As the Joseon Dynasty started, the country stopped publishing Buddhist scriptures, but King Sejo wanted to set a condition to continue to publish them consistently and systemically. As a result, GanGyeong-Dogam was established in 1461 and lasted for the next 11 years until its abolition in 1471. At the early stage of its introduction, it focused on works of publishing Buddhist scriptures but at its final stage, Buddhist service was a main business. Also, business of the publication should involve cooperation among a lot of people because it was a national undertaking. Under the circumstances, a couple of people took an important role in publishing and translating works such as Kim Su-On, a Buddhism-friendly scholar-gentry class, and Hyoryong-Daegun, a royal, and Sin-mi, a monk.

And finally the last chapter suggests a historical meaning and feature of Buddhist scriptures published by GanGyeong-Dogam. The publication on Buddhist scriptures led by King Sejo had been promoting long before GanGyeong-Dogam was installed. Especially after publication on Tripitaka Koreana in 1458, many of Tripitaka Koreana could be stored separately in the noted temples set in the national mountains, which made people see and study Tripitaka Koreana nationwide. Also, the publishing business could be conducted in a systemic way, not a fragmentary work after the installation of GanGyeong-Dogam. Among its published scriptures, only 49 of them can be found today, and most of them are reprinted and renovated ones of the Sinpyeon-jejong-gyojang-chongrok. We can say that King Sejo published the Buddhist scriptures translated in Chinese language to restore and reconstruct the Sinpyeon-jejong-gyojang-chongrok inheriting the project of Buddhist services like the installation of Dogam and the publication of Sinpyeon-jejong-gyojang-chongrok conducted by Uicheon. Besides, not satisfied with the publication translated in Chinese, he published a Korean version as well. The Korean version we can see now has its 11 kinds mostly involving in the Mahayana Sutras and Zen Buddhism. Considering its kinds and features, the Chinese version is for the intellectuals like monks and scholars and the Korean one is for the general public who could not read Chinese. Nevertheless, we can find that the aim to publish a Korean version was to make people not just to recite it but also to understand the right contents of Buddhist scriptures. It involved all the details in translation work including footnotes and tried to help people understand the scriptures easily by translating literally and correctly, and also these process are made by a lot of people systemically. In this sense, we can conclude that through all these works, King Sejo opened the way for his people to read and chant the Buddhist scriptures in their daily life.


Keywords : King Sejo(世祖), GanGyeong-Dogam(刊經都監), Buddhist scriptures(佛書), Korean translation(諺解), Tripitaka Koreana(大藏經), Buddhist policy(佛敎政策), Hyoneong Daegun(孝寧大君), Kim Su-On(金守溫), Sin-mi(信眉)
-
dc.description.abstract고려사회는 유교와 불교가 공존하면서 정치와 종교 영역을 분담하여 국가통치와 통합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호 보완 관계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고려말기 사원경제의 팽창, 승도과잉의 비생산성, 국가재정의 파탄 등과 같은 불교의 사회경제적 문제가 본격적으로 제기되면서 상황은 변화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대부들이 주체가 되어 건국한 조선왕조에서는 공적인 지배이념으로 성리학을 채택하고 성리학의 이상정치를 추구한 사대부들이 왕정에 참여하고 국왕이 유교적 이상군주가 되며 유교이념에 맞는 관료정치를 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조선이 건국한 이후 억불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고 공적인 영역에서의 불교의 역할 및 지분은 점차 상실되어 갔으며 이러한 변화는 역성혁명과 맞물려 전면적이고 급진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오랜 기간 동안 불교는 이전부터 왕실, 사대부, 민에게 오랫동안 종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고 여말선초에도 불교의 영향력은 지속하였기 때문에 사상과 신앙의 두 축에서 내려온 유구한 불교 전통이 하루아침에 사라질 수는 없었다. 즉 유교국가를 건립하려 했던 조선이 초기에 있어서는 정치, 사회 등 공식적인 입장에서는 유교이념을 내세웠지만, 종교와 관습의 영역에서 불교가 가진 지속성은 한순간에 사라질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조선초기 간경도감의 역사적 의미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첫째, 조선초기 정치적 상황 및 세조의 정치운영에서의 간경도감의 의의를 검토했으며 둘째, 고려로부터 이어지는 국가적 차원의 불서간행 흐름에서의 간경도감의 위치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3장의 구성 체제를 취했으며 각 장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밝혔다.

제1장에서는 세조의 국정운영과 불교정책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조는 이전의 왕들과 다른 집권과정과 정치운영형태를 보여주었고 불교에 대한 개인적 신앙심, 先王의 사업에 대한 계승 강조, 그리고 국가의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면서 필요에 따라 정책적으로 불교를 활용하였다. 그는 국왕의 입장에서 왕권 강화를 모색하려고 할 때 다양한 학문의 활용성, 그 중에서도 불교의 영향력과 불교에 대한 매력을 쉽게 버릴 수 없으며, 불교가 지배체제의 유지에 기여하는 측면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비교적 강력한 왕권을 행사했던 세조의 정국 운영 방식은 사대부들의 반발을 힘으로 제압할 수 있었고 이러한 조건이 흥불정책을 실행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세조가 주도한 불사는 크게 사찰의 후원과 불서의 간행으로 시행되었다. 특히 불서 간행사업은 불교의 수준을 끌어올림으로서 불교가 발전할 수 있는 근본적 토대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서 세조는 사적인 왕실 기구가 아닌 국가의 공적인 기구로써 간경도감 설치에까지 이르게 되었고 이는 즉 정변을 통해 즉위한 세조의 강력한 왕권의 의지와 직결되는 문제였다.

제2장에서는 간경도감의 설치 배경과 간경도감의 구성 및 운영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려왕조에서는 총 세 차례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대규모의 불서간행이 추진되었다. 조선이 건국된 후 국가적 차원에서의 불서 간행이 중지되지만 세조는 이를 바탕으로 국가적 사업으로서 체계적·지속적으로 불서를 간행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1461년 간경도감이 설치되었으며 1471년까지 폐지될 때까지 11년간 유지되었다. 간경도감이 설치된 초기에는 불서의 간행에 대한 사업이 주로 진행되다가 말기에는 불서의 간행은 줄어들고 佛事 활동이 활발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간경도감에서 이루어지는 불서 간행사업은 대규모 국가사업인 만큼 많은 인원의 협력이 필요하였다. 김수온 등의 호불적인 성향을 지닌 사대부 이외에도 효령대군과 같은 왕실측 인물, 신미 등의 승려들이 불서를 간행하거나 국역하는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제3장에서는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불서의 특징 및 사상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조가 주도한 불서 간행은 간경도감이 설치되기 이전부터 이미 추진되었는데 특히 주목되는 불사는 1458년 재조대장경 간행으로 전국의 명산 대찰에 나누어 보관함으로서 불교계에서 대장경을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게 하였다. 그리고 간경도감을 설치한 뒤에는 그때까지 단편적으로 추진되던 불서 간행 사업을 체계적으로 시행케 하였다.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한문불서 가운데 오늘날 확인되는 것은 49종으로, 대부분은 의천의 교장을 번각하거나 중수한 불서들이었다. 이는 즉 세조에 의한 간경도감의 한문불서 간행은 의천의 교장을 복원하는 것이 주목적이었고, 대각국사 의천의 교장도감 설치와 교장 간행의 불사를 계승하여 재현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세조는 한문불서의 간행에 만족하지 않고 훈민정음으로 번역한 국역불서를 동시 간행하였는데, 오늘날 확인되는 국역불서는 모두 11종으로 대승경전과 선불교에 관한 저술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불서의 종류와 성격으로 볼 때 한문불서는 지식인 승려나 전문적인 학자를 대상으로 한 불서였던 반면에 국역불서는 한문을 읽지 못하는 승도나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한 불서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국역불서는 경전의 본문뿐만 아니라, 그 주석 부분까지도 번역하여 포함시켰으며, 직역 위주의 정확한 번역을 기하였던 점에서, 그리고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공동 적업으로서 번역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단순한 독송용이 아니고 불경의 내용을 정확히 이해시키려는 의도였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세조는 대량의 대장경을 간행하여 전국의 명산대찰에 보관케 하는 한편, 대장경을 보완하는 작업으로서 간경도감을 설치하여 의천의 교장을 복원하려는 불사를 추진하고, 나아가 중요한 대승경전과 선수행에 관한 불서들을 훈민정음으로 번역하여 한문을 읽지 못하는 일반 대중들도 불경을 직접 읽고 이해하는 길을 열어주고 한 것이다.

keywords : 世祖, 刊經都監, 佛書, 언해, 국역, 大藏經, 불교정책, 孝寧大君, 金守溫, 信眉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목적 4

一. 세조의 국정운영과 불교 12
1. 세조대 왕권 강화책과 정치적 변화 12
1) 세조의 집권과 정국 운영 12
2) 세조대 정치세력의 변화 20
2. 조선 초기 배불론과 세조의 불교정책 26
1) 조선초기 억불정책의 추이 26
2) 세조의 불교관과 흥불사업 41

三. 간경도감의 설치와 운영 61
1. 불서 간행의 전통과 간경도감 설치 61
1) 고려시대 불서 간행의 흐름 61
2) 조선초기 인쇄 출판기관의 변천 65
2. 간경도감의 구성과 운영 75
1) 간경도감의 체제 및 운영양상 75
2) 간경도감의 재정기반 78
3) 간경도감의 여러 기능 87
3. 간경도감의 인적 구성 93
1) 왕실 측 인물 93
2) 사대부 관료 103
3) 승려 111

四. 간경도감의 불서간행 116
1. 간경도감 설치 이전의 불서간행 116
2. 간경도감의 한문불서 간행 127
1) 한문불서의 종류와 판본의 현존 상태 127
2) 한문불서 간행의 특징 147
3. 간경도감의 국역불서 간행 157
1) 국역불서의 종류와 판본의 현존 상태 157
2) 국역불서 간행의 특징 165
4. 간경도감 혁파 이후의 불서 간행 169

결론 176

참고문헌 182
Abstract 201
-
dc.format.extentvi, 204-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世祖-
dc.subject刊經都監-
dc.subject佛書-
dc.subject언해-
dc.subject국역-
dc.subject大藏經-
dc.subject불교정책-
dc.subject孝寧大君-
dc.subject金守溫-
dc.subject信眉-
dc.subjectKing Sejo(世祖)-
dc.subjectGanGyeong-Dogam(刊經都監)-
dc.subjectBuddhist scriptures(佛書)-
dc.subjectKorean translation(諺解)-
dc.subjectTripitaka Koreana(大藏經)-
dc.subjectBuddhist policy(佛敎政策)-
dc.subjectHyoneong Daegun(孝寧大君)-
dc.subjectKim Su-On(金守溫)-
dc.subjectSin-mi(信眉)-
dc.subject.ddc951-
dc.title세조대 刊經都監 설치와 佛書 간행-
dc.title.alternativeThe Installation of GanGyeong-Dogam(刊經都監) and Publication of Buddhist Scriptures during King Sejos Reig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I Kyong Hwan-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국사학과-
dc.description.degree박사-
dc.date.awarded2021-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8041-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6▲000000000053▲00000016804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