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스피노자의 덕의 토대로서 코나투스 학설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Spinoza's Conatus Doctrine as the foundation of virtu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상환-
dc.contributor.author류희철-
dc.date.accessioned2022-04-20T07:27:39Z-
dc.date.available2022-04-20T07:27:39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00000016645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8620-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455ko_KR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has three major objectives: the first is to
critically review and arrange all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natus Doctrine as a foundation of virtue; the second one is to
offer answers that will remove the suspicion of inconsistency and
ambiguity for the Conatus Doctrine and, at the same time, align
with Spinoza's philosophical system; and the last one is to find
the proper status of the Conatus Doctrine within the overall
structure of Spinoza's philosophy and promote a proper
understanding.

Spinoza's Conatus Doctrine holds a pivotal place in his
philosophical system. Conatus represents individual entities'
striving to preserve themselves. In his Ethics III, Proposition 6, Spinoza argued that "Each thing, as far as it can by its own
power(quantum in se est), strives to persevere in its being"(Geb
Ⅱ: 146). In Ethics III, Proposition 9, he demonstrated that such
self-preservation - striving were the actual essence of a thing
itself. For Spinoza, the essence is power, which is the force of
producing an effect. Therefore, self-preservation - striving
inevitably produces certain effect. Spinoza states that such
striving are manifested as an emotion called desire at the
conscious level. Human beings, for instance, have a desire for
many things, which leads to many acts and their effects. Spinoza
takes this Conatus Doctrine as the first and only foundation of
virtue(EⅣP22C). If we find that we like certain things and develop
a desire for them, it is not because of their certain nature, but
because of our judgment that we like them according to our
desire for them as part of our self-preservation - striving(EⅢ
P9S). Spinoza recognizes Conatus as the only norm to judge good
and evil and refuses to recognize any other external norms.

Spinoza's argument for the Conatus Doctrine as the
foundation of virtue has, however, received a lot of criticism,
which is divided into two types: one argues that the Conatus
Doctrine itself is inconsistent and ambiguous, and the other
argues that the Conatus Doctrine is not enough to serve as the
only foundation of ethics even though it might have no problems
itself. The Conatus Doctrine is not a secondary element that one
can choose to accept or refuse according to his or her
convenience or taste due to its importance in the system. It is
essential to deal with such criticisms in order to ensure a
consistent understanding of Spinoza's philosophical system.
Disputes over the Conatus Doctrine have, however, been rather sporadic. The investigator thus set out to shed clear light on
problems with the Conatus Doctrine by arranging previous
studies in a clearly organized way and propose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in an independent viewpoint to reveal the true
worth of the doctrine as the foundation of virtue. The Conatus
Doctrine is a criticism of alienation for the transcendent value
system to impose an external goal on individual essence. It posits
the internal essence of an individual as the only ethical ideal.
Based on this, Spinoza's ethics demands that all men should
optimize their mutual relations in a way that all of their
capabilities can be fully exerted. Based on a proper
understanding of Spinozas the Conatus Doctrine as foundation of
virtue, one can assess the contemporary values of his legacy.
-
dc.description.abstract이 학위 논문의 목표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덕의 토대로서
코나투스 학설을 둘러싸고 제기된 선행연구 전반을 비판적으로 검토
하고 정리한다. 둘째, 코나투스 학설에 제기된 비일관성과 모호성의
혐의를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스피노자의 철학 체계와 정합적인 답
변을 제출한다. 셋째. 스피노자 철학의 전체 구조 내에서 코나투스
학설의 적합한 위상을 찾아준 뒤 그것을 적합하게 이해한다.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학설은 그의 철학 체계 내에서 중추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코나투스는 각 개체가 스스로를 보존하려는
노력이다. 스피노자는 『윤리학』 3부 정리 6에서 각각의 실재는,
자신이 할 수 있는 한/자신 안에 있는 한(quantum in se est), 자
신의 존재 안에서 존속하려고 노력한다.(Geb Ⅱ: 146)라고 주장한
뒤에 3부 정리 9에서는 이러한 자기 보존의 노력이 개체의 현행적
본질 자체라고 증명한다. 스피노자에게 본질은 곧 역량이며 역량은
곧 결과를 산출하는 힘이다. 따라서 자기 보존의 노력으로부터 일정
한 결과가 필연적으로 도출된다. 스피노자는 이러한 노력이 의식의
차원에서는 욕망이라는 감정으로 나타난다고 말한다. 가령 인간은
많은 것들을 욕망하고 그러한 욕망으로부터 많은 행동과 그 결과가
따라 나온다. 스피노자는 이러한 코나투스 학설을 덕의 일차적이고
유일한 토대로 삼는다(EⅣP22C). 만약 우리가 어떤 대상을 좋다고
판단해서 그것을 갖기를 욕망한다면 이는 그것이 가지고 있는 특정
한 성질 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존재 보존의 노력으로서 그것을 욕망
하기 때문에 그 대상을 좋다고 판단하는 것이다(EⅢP9S). 이렇듯 스
피노자는 오직 코나투스만을 선과 악을 판단하는 유일한 규범으로
인정하며 그 밖의 어떠한 외재적인 규범도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덕의 토대로서 코나투스 학설을 제시하는 스피노자의 주
장은 여러 비판을 받아왔다. 비판의 유형은 두 종류로 분류된다. 하
나는 코나투스 학설 자체가 비일관적이고 모호하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코나투스 학설 자체에는 문제가 없을지라도 이를 윤리학의
유일한 토대로 삼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코나투스 학설은 체
계 상의 중요성 때문에 편의와 취향에 따라 받아들이거나 받아들
이지 않을 수 있는 부차적인 요소가 아니다. 따라서 스피노자 철
학 체계를 일관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는
작업이 필수불가결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코나투스 학설을 둘러싼
논쟁들은 다소 산발적인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따라서 나는 기존
의 선행연구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코나투스 학설과 관련된
문제점들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히고 각각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
을 독자적인 관점에서 제출하도록 하겠다. 나는 이러한 작업을 통
해 덕의 토대로서 코나투스 학설의 진면모를 드러낼 것이다. 코나
투스 학설은 개개인의 본질에 외적인 목적을 부과하는 초월적 가
치체계를 비판하는 소외 비판론이다. 코나투스 학설은 오직 개인
의 내적 본질만을 유일한 윤리적 이상으로 설정한다. 이를 바탕으
로 하는 스피노자의 윤리학은 모든 이의 역량이 온전히 발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호 간의 관계를 최적화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스피노자의 덕의 토대로서 코나투스 학설에 대한 적합한 이해를
토대로 우리는 스피노자가 남긴 유산의 현대적 가치를 감정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문제의식과 논문의 목표 1
제 2 절 연구방법론과 해석의 원칙 5
제 2 장 예비적 논의 13
제 1 절 conatus 용법에 관한 역사적 탐구 13
1. 고전 시대 이전의 conatus 용법 13
2. 고전 시대의 conatus 용법 15
3. 『윤리학』 이전 스피노자 저작에서 conatus 용법 24
제 2 절 『윤리학』의 체계 속에서의 코나투스 학설 44
1. 코나투스 학설의 논증 구조 44
2. 존재론의 귀결점으로서 코나투스 학설 56
3. 인간학의 출발점으로서 코나투스 학설 66
제 3 장 코나투스 학설에 얽힌 쟁점들 Ⅰ 74
제 1 절 코나투스 학설의 비일관성 문제 74
1. 베넷의 문제제기: 목적론과 반목적론의 혼용 74
2. 가렛의 반박: 일관된 목적론으로서 코나투스 학설 80
3. 나의 주장: 존재론적 반목적론으로서 코나투스 학설 87
제 2 절 코나투스의 다층성 문제 99
1. 알키에의 문제제기: 보존 경향과 확장 경향 사이의 모순 99
2. 들뢰즈의 반박: 코나투스의 상이한 측면들 사이의 조화 105
3. 나의 주장: 보존 경향의 귀결로서 확장 경향 113
제 3 절 코나투스 학설의 반직관성 문제 124
1. 자기 파괴의 불가능성 테제에 대한 문제제기들 124
2. 김은주의 반박: 부분의 과잉 긍정으로 인한 전체의 파괴 131
3. 나의 주장: 관계론적 해석의 정당화와 김은주 주장의 보충 140
제 4 장 코나투스 학설에 얽힌 쟁점들 Ⅱ 154
제 1 절 스피노자 윤리학의 성격 문제 154
1. 스피노자 윤리학에 대한 상이한 규정들과 그 근거 154
2. 기존의 규정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 164
3. 소외 비판론으로서 스피노자 윤리학 175
제 2 절 스피노자 윤리학의 메타 윤리학적 문제 182
1. 스피노자 윤리학의 규범적 적합성 문제 182
2. 스피노자 윤리학에서 규범적 이상과 행위 능력 190
3. 규범성의 물음에 대한 스피노자 윤리학의 답변 205
제 3 절 스피노자 윤리학의 실효성 문제 211
1. 스피노자 윤리학의 현실성 결여 문제 211
2. 이에 대한 반박: 스피노자 윤리학의 전투적 성격 216
3. 혼동의 뿌리를 제거하기 226
제 5 장 코나투스 학설과 스피노자의 현재성 236
제 1 절 덕의 토대로서 코나투스 학설의 의의 236
1. 존재론과 인간학의 경첩으로서 코나투스 학설 236
2. 코나투스 학설에 기초한 스피노자 윤리학의 전모 240
3. 스피노자의 교훈: 일관성 246
제 2 절 스피노자의 현재적 반향 249
1. 스피노자를 둘러싼 현대철학의 전선 249
2. 스피노자의 옹호자들 253
3. 스피노자의 반대자들 257
제 6 장 결론 263
제 1 절 요약 정리 263
제 2 절 논문의 의의와 후속 연구의 필요성 271
참고문헌 276
Abstract 288
-
dc.format.extentvi, 29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코나투스-
dc.subject역량-본질-
dc.subject목적론-
dc.subject내재성-
dc.subject일의성-
dc.subject규범성의 물음-
dc.subjectConatus-
dc.subjectPower-Essence-
dc.subjectTeleology-
dc.subjectImmanence-
dc.subjectUnivocity-
dc.subjectThe normative question-
dc.subject.ddc190-
dc.title스피노자의 덕의 토대로서 코나투스 학설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Spinoza's Conatus Doctrine as the foundation of virtue-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eecheol Ryu-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1-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645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6▲000000000053▲00000016645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