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여성 노동자의 시선으로 도시공간의 기억 재현하기 : Representing the Memories of Urban Space from the View of Women Workers: Focusing on the Criticism of Selective Representation of Daegu Textile Industry
대구 섬유산업에 대한 선택적 재현 비판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그린

Advisor
정현주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여성 노동자도시 아카이브섬유산업선택적 재현기억의 정치대구시Women WorkerUrban ArchivesTextile IndustrySelective RepresentationPolitics of MemoryDaegu
Abstract
This study aims at criticizing the male-centered representation of Daegu as a textile city and suggests an alternative method of calling women workers as the subject of urban space through the methods of urban archi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Daegu as a 'textile city' represented women workers who were the main subjects of the textile industry fragmentarily. The various processes in the textile industry and the various tasks performed by women workers have not been fully displayed in such representation. In particular, the figure of women working in office jobs was excluded in the simplified representation of the women as low-skilled laborers.

Second, the representation of the city with a monolithic aspect of the economic value tends to conceal the multiple identities of female workers. Women workers were simultaneously technicians, daughters, mothers, the heads of households, and/or students. They were also economic agents who earned money not only to support their families, but also to help their own livelihoods, and to finance their marriage.

Third, for women workers, labor was just a means, not a purpose. They chose the labor to support their families, earning a living, or continuing their studies. Also, all five women workers who interviewed had an aspiration for education.

Fourth, selective representation of the textile industry did not contain the story of small enterprises. The facilities of factories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women workers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companies. Although the working environment is still lacking in small business nowadays, they often regarded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merely as a 'small inconvenience' to make a living, the more urgent object to the women. In other words, many women considered even the dangerous and poor working environments as an opportunity cost. Such agency has rarely drawn the attentions of mainstream criticisms which have mostly focused on how the poor environments further exploited the women, regarding them simply as victims.

Fifth, while the women workers daily routines were tailored to the ways the machine operated, they were not entirely subordinated to the factory. At that time, the factories were suffering from the job shortages of technicians. The managers often overlooked the deviations of women workers and even listened to their demands to prevent labor outflow.

Suppose women are called the subject of space, instead of the passive victims in the production of such space. It would avoid the misinterpretation of women workers as the victims of labor exploitation or simple representation of them as the mobilized by the developmentalist state for national development. When women are called the subject of space, 'textile city' Daegu becomes the place of opportunity for them. What is a point that has rarely been highlighted in urban studies so far is the stories of various subjects, rather than the economic value, that really constitute the dynamics of urban spaces.

This study reversed the male-centered perspective taken for granted in urban studies through the daily lives of women workers excluded from the representation of cities. Women workers in the current representation of 'textile city' have merely served as a supplement to the success story of the companies, the hero of the growth of the great city. It means that the mainstream view adopts a male-centered bia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lements in which the memory of a city 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ve representation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method of calling women workers as the active subjects of space through urban archives.

In addition, the alternative way to look at space not only appropriates the women as the subjects of urban history but also suggests a counter-discourse to the politics of memory and selective representation. That would avoid hegemonic identification in which space is intentionally edited and has a single character while the value of the city being reduced solely economically.

Finally, this study has two limitations. First, sinc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interviewees could not be guaranteed, there was a limit to restoring the lives of all women workers in the Daegu textile industry as it was. Second, although the alternative method of calling women subjects to the center of urban narratives has been suggested, it is just a discourse of counter-character rather than a theory. If there is a follow-up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proceed to further specify the alternative method to the selective representation of the city.
본 논문은 섬유 도시 대구의 남성 중심적인 재현을 비판하고, 도시 아카이빙을 통해 여성 노동자를 공간의 주체로 호명하는 대안적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표를 둔다. 도시의 다층적인 역사와 다양한 이미지를 경제적 가치로 환원산하는 주류적 재현은공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단일한 잣대로 획일화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 활동의 주체였던 남성의 시선으로 도시를 재구성한다는 젠더편향적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공간 주체의 이야기를 수집하는 도시 아카이빙을 통해 여성 노동자라는 잊혀진 공간 주체들을 이야기의 중심으로 호명하면서 섬유 도시 대구라는 획일화된 공간재현 대신 섬유 도시 대구를 구성하고 있었던 다양한 노동의 이야기를 일부나마 복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역사에서 잊혀진 여성 노동자들을 가시화할 뿐만 아니라 그녀들을 국가발전에 동원된 희생양으로 획일화하는 담론 또한 비판적으로 재해석하고자 한다. 즉 섬유 도시 대구의 여성 노동자들은 때로는 탈주하고 개인의 욕망과 타협하면서 도시발전의 당당한 주체로 살아온 다면적인 노동생애사를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제한적이나마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여성 노동과 도시공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포착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섬유 도시 대구의 정체성은 노동의 주체였던 여성 노동자의 공간을 단편적으로 재현했다. 섬유산업의 다양한 공정과 여성 노동자들이 맡았던 다양한 업무가 드러나지 못했으며, 특히 사무직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의 모습이 배제되었다.

둘째, 도시를 경제적 가치로만 환산한 재현은 여성 노동자들이 지닌 다중정체성을 은폐했다. 여성 노동자들은 기술자, 딸 혹은 맏이, 어머니 혹은 가장, 학생의 정체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스스로 돈을 벌어 가족부양 및 생계유지 그리고 결혼자금을 마련했던 경제주체였다.

셋째, 여성 노동자들에게 노동은 목적이 아닌 수단에 불과했다. 이들은 가족부양과 생계유지 혹은 학업을 이어가기 위한 수단으로 노동을 택했으며, 인터뷰를 진행한 다섯 명의 여성 노동자 모두 교육에 대한 열망이 있었다.

넷째, 섬유산업의 선택적 재현은 영세기업의 이야기를 담지 못했다. 공장의 시설과 여성 노동자들의 근무환경은 기업의 규모에 따라 편차가 달랐다. 영세기업의 경우 현재까지도 근무환경이 열악하지만, 이들은 생계유지를 위해 열악한 근무환경을 그저 작은 불편함으로 여기기도 했다.

다섯째, 여성 노동자들의 일상은 기계에 맞춰졌지만, 이들은 공장에 종속된 을이 아니었다. 당시 공장은 기술자 구인난을 겪고 있었기에 기술자였던 여성 노동자들의 일탈을 눈감아주기도 했으며, 노동력 유출을 막기 위해 여성 노동자들의 요구를 들어주기도 했다.

여성을 공간의 주체로 호명하게 된다면, 여성 노동자를 노동 착취의 피해자로 해석하거나 혹은 국가 권력에 의해 공적 노동에 진출하게 된 노동자로 단순 재현하게 되는 오류를 피할 수 있다. 여성을 공간의 주체로 호명했을 때 섬유 도시 대구는 여성 노동자에게 삶의 터전이자 기회의 공간이 되기도 했다. 이는 그동안 도시연구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지점으로, 숫자로 환원된 기업의 성과만이 아닌 다양한 주체의 이야기를 통해 도시의 정체성이 다층적으로 구성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도시에서 배제된 여성 노동자의 일상을 통해 그동안 도시연구에서 당연하게 여겨져 왔던 남성중심적 시각을 역으로 포착했다. 기존 섬유 도시 정체성에서 여성 노동자는 기업의 성과와 국가의 성장을 설명하는 보충적 역할을 할 뿐이었다는 것은 기존 도시를 바라보는 시각이 남성 중심적이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택적 재현의 과정으로 탄생한 도시의 기억이 간과했던 요소들을 파악하고, 도시 아카이빙을 통해 여성 노동자를 공간의 행위자로 호명하는 대안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더불어 공간을 바라보는 대안적 방법은 비단 여성을 주체로 호명할 때에만 적합한 것은 아니며, 기억의 정치와 선택적 재현의 대항 담론으로서 제안된 것임을 상기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시의 가치가 경제적으로 환원되는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공간이 의도적으로 편집되어 하나의 성격을 가지게 되는 헤게모니적 동일화를 지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 아카이빙을 제시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두 가지 한계를 지닌다. 첫째, 인터뷰 대상자의 대표성을 보장할 수 없기에 대구 섬유산업에 종사한 모든 여성 노동자의 삶을 있는 그대로 복원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둘째, 여성을 공간의 주체로 호명하는 대안적 방법을 제시했지만, 이는 하나의 이론이기보다 대항적 성격의 담론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음을 밝혀둔다. 후속 연구가 있다면 도시의 선택적 재현에 대한 대안적 방법을 구체화하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64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96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