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연장반 교사의 일과와 역할에 대한 질적 연구 : The Task and Role of Extension Class Teacher in Childcare Center: Based on interviews with extension class teachers
연장반 교사와의 면담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지현

Advisor
박혜준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연장반 교사의 역할연장반 교사의 일과연장보육Extended Class TeacherTeacher in Charge of Extended ChildcareTask of the Extended Class TeacherRole of the Extended Teacher
Abstra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which explore the schedule of extension class teachers experience and how they recall themselves. This study seek for the task and role of extension class in childcare center. To clarify thi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is the task of extension class teacher in childcare center?

Second, what is the gap between the extension class teachers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their own rol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interviewed the teachers in the extension class individually. Participants and questions in the interview were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five teachers in charge of the extension class by snowball sampling. Each interview was implemented for hour and a half. The interview was carried out for twice per teacher. Additional data collection was communicated through telephone and e-mai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emicoding and structural coding.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eacher in the extension class felt differently about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in the extension class depending on the what kind of work they did before the extension class. Prior to extended childcare, the teacher who worked related to children in the extended childcare class considered his work positively. It is said to be helpful for the wholeful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extension class. However, the teacher, who felt their prior work was unrelated to their class thought negatively about it. Furthermore, the teacher felt that was simply making up for the lack of human resources at the childcare center.
Next,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nsion teachers and others came to think as my space. The thought about space on this paper was viewed by physical and psychological. Physical space that could be seen with our eyes and psychological space that we sense with our minds. For teachers in the extension class, the physical space was the teaching materials, teaching aids and human resources included in the classroom they used and the space they operated. Extension teachers thought of physical space as their own, mainly depending on their relationship with homeroom teachers. The psychological space is the view that they felt in their mind, such as belonging, respect, and understanding toward them. This was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room teacher and the principal and even by the administrative system.
The extension teacher expressed their role as a connector of the relationship. They saw themselves as the one and only connector who could communicate face-to-face with children, homeroom teachers and guardians. It is impossible for children in the extension class to have their homeroom teachers and guardians to meet directly. Therefore, the extension class teacher could appear as representatives of homeroom teacher to guardian and guardian to homeroom teacher. The extension class teacher could exchange details and specialties on behalf of one another. The participants also express the needs of more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homeroom teacher and guardian. As such, the extension class teacher would proceeded in a two-way manner.
Finally, the teacher in charge of extended childcare was more concerned about the arrangement of breaks than basic childcare time. The children who use childcare centers for a long time have accumulated fatigue. The exhaustion of children was expressed to teachers in the extension class as dozing off or falling asleep. Teachers in the extension class supported childrens' rest by providing more space to relax and play statically. So that children would live harmoniously in childcare cent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at the tasks and roles of teachers in the extension class with the eyes of teachers in the extension class.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extension class teacher was explored as just extension, rather than being between a homeroom teacher and an assistant teacher, or a variation of the time extended teacher. This research wanted to look a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extension class teachers, not comparisons with existing or past position in the center. By borrowing the voice of the teacher in the extension class, the study wanted to reveal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in the extension class and how they view themselves.
이 연구는 어린이집 연장반 교사가 어떠한 일과를 경험하고, 어떠한 기대를 받으며 그 모습 속에서 연장반 교사의 역할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본 질적 연구이다. 연장반 교사는 어떠한 일을 하며, 자신의 존재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다음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전제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연장반 교사가 경험하는 어린이집의 일과는 어떠한가?

둘째, 연장반 교사에 대한 기대와 스스로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 면에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연장반 교사를 개별 면담하였다. 면담의 참여자와 질문은 사전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정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연장반을 맡은 교사 5명을 눈덩이 표집하여 조사하였다. 참여자의 개별 면담은 교사 당 2회기 씩 총 10회 진행되었다. 추가적인 자료수집은 전화 및 이메일을 통하여 소통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에믹코딩과 구조코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연장반 교사는 연장반 전담 여부보다 연장보육 전(前), 어떠한 업무를 하느냐에 따라 연장반과 연장반 영유아에 대한 이해도를 다르게 느끼고 있었다. 연장 전담 교사를 포함한 어린이집 내 모든 연장반 교사는 연장보육 외 다양한 일을 맡고 있었다. 연장보육 전, 연장반에 속한 영유아와 관련된 일을 한 연장반 교사는 자신의 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연장반에 도움이 되며 연장반 교사로서 할 필요가 있는 일이라고 표현하였다. 그러나 연장반과 무관한 업무를 했다고 느낀 연장반 교사는 자신의 일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생각하였다.
다음으로 연장반 교사의 관계가 어떠하냐에 따라 어린이집을 나의 공간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연장반 교사가 생각하는 나의 공간은 우리 눈에 보이는 물리적인 공간과 마음으로 느끼는 심리적인 공간이 있었다. 연장반 교사에게 물리적 공간은 자신이 사용하는 교실, 그리고 자신이 영위하는 공간에 포함된 교재 및 교구와 인적자원이었다. 연장반 교사는 주로 담임교사와의 관계를 가까운 협력관계로 표현할수록 물리적 공간을 자신의 공간으로 생각하였다. 심리적 공간은 연장반 교사가 느끼는 소속감, 존중감, 이해도 등으로 만들어진, 이곳이 자신을 위한 공간이라 믿게 하는 생각들이다. 이는 담임교사와 원장과 그리고 나아가 행정 시스템을 자신과 긴밀한 협력관계로 느낄수록 나의 공간이라고 느꼈다.
연장반 교사는 자신을 연결자로 표현하였다. 그들은 자신을 영유아, 담임교사, 보호자 모두와 면대면 소통이 가능한 유일한 대상으로 보았다. 연장반의 영유아는 담임교사가 직접 하원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하기에 연장반 교사가 담임을 대신하여 전달사항 및 특이사항 등을 보호자에게 이야기하였다. 또한 보호자의 요구 및 질문을 담임에게 전달하거나 영유아 보육에 적용하였다. 이렇듯 연장반 교사의 관계 연결자로서의 면모는 양방향적인 흐름으로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연장보육을 담당한 연장반 교사는 기본보육보다 휴식 시간의 안배에 신경을 쓰고 있었다. 긴 시간 동안 어린이집 생활을 하는 연장반 영유아는 피로감이 쌓여있다. 연장반 교사에게 영유아의 고단함은 연장반에서 졸거나 잠들어버리는 영유아 등으로 표현되었다. 연장반 교사는 정적인 놀이를 제공하거나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더욱 제공해줌으로써 영유아의 쉼을 지원하였다.
이 연구는 연장반 교사의 일과와 역할을 연장반 교사의 눈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장반 교사의 모습을 담임과 보조교사 사이의 존재로 보거나 시간연장교사의 변형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연장반 교사를 탐구하고자한 점이 주목할만하다. 기존 또는 과거 직무와의 비교가 아닌 연장반 교사의 고유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장반 교사의 목소리를 빌려 연장반 교사가 가지는 본연의 특수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64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82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