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영조대 義禁府都事의 직제와 구성 : The Organization and Composition of Uigeumbu Dosa(義禁府都事)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g-jo(英祖)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바다

Advisor
오수창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영조의금부도사경력경술국옥추국수령직Young-jo(英祖)Uigeumbu Dosa(義禁府都事)Gyeongneok (經歷)Gyeongsul Gukok(庚戌鞫獄)Chuguk(推鞫interrogation)Prefect(守令Su’ryeong)
Abstract
This article investigates causes of the change in position related to Uigeumbu Dosa(義禁府都事)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g-jo(英祖),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reign of King Young-jo, the role and actual appointment cases of Uigeumbu Dosa to find out the changes of Uigeumbu Dosa.
As working-level staff, Uigeumbu dosa was one of the public posts that Eumguan(蔭官) had to go through in order to receive the Prefect(Suryeong, 守令) position while performing various duties within Uigeumbu. Uigeumbu Dosa was in charge of Chuguk(推鞫; interrogation) and transporting criminals and prepared the basis for the judgment of criminals.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g-jo, Gyeongneok(經歷) which was prescribed in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was abolished and unified into the Dosa(都事) position. In addition to the unification of the name, there was also a change in the official rank. The composition of ten Gyeongneok and Dosa, as defined in the Gyeongguk-daejeon, had changed since then.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Geumo Gyecheop(金吾契帖), it consisted of 5 people for Gyeongneok and 5 people for Dosa. In the 29th year (1703) of King Suk-jong(肅宗)'s reign, three out of five Dosa went up to Gyeongneok, resulting in a total of eight becoming Gyeongneok and two becoming Dosa. This composition continued to be maintained, And the six-year reorganization of King Young-jo took place.
The background of the change in official rank is as follows: Not long after the military official rebellion(戊申亂) which occurred in the fourth year of King young-jo's reign, eunuch Choi Pilwoong(崔必雄) planned an arson in the sixth year of King young-jo. But, the plan fell through as it was caught during the inspection. There was a Gyeongsul Gukok(庚戌鞫獄) about Choi Pil-woong and related participants, but Park Jang-woon(朴長運), the South man who plotted a palace arson incident with Choi Pil-woong, committed suicide by poison during the investigation. This behavior was intended to undermine the king and Uigeumbu's intention to thoroughly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incident.
This incident led to discussions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position of Uigeumbu Dosa. As a result, Gyeongneok(經歷) position was abolished in Sokdaejeon(續大典) and reorganized the system with 5 people for Chamsangdosa(參上都事) and 5 people for Chamhadosa (參下都事). Among 5 people of Chamsangdosa(參上都事), one was assigned to the military officer(武官).
Before the reorganization, All Chamhadosa had a history of passing the test Sama(司馬), and about 30% of the Chamsangdosa had a sama history. So, Chamsangdosa who was Chamhadosa before had the history of passing the test Sam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Uigeumbu Dosa's later path, the Prefect(守令) position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Since Uigeumbu Dosa was one of the government offices that Eumguan(蔭官) had to go through in order to get the prefect position, the portion of the receiving prefect was high.
The intentions of reforming Uigeumbu Dosa system can be summarized in two ways. The first intention was to overhaul the internal system of Uigeumbu. Secondly, it seems that the king young-jo's intention was to show his willingness to deal sternly with the future insurgency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Uigeumbu Dosa system which was the central criminal court of the Joseon era. In order for criminals to be confirmed, it was required to go through the interrogation and the mediation process after Hyungshin(刑訊). But, there were some cases in which King Young-jo immediately confirmed the sentence without coordination. This shows King Young-jo's intention to suppress the insurgents at the beginning of King Young-jo reign.
본 논문은 義禁府都事職과 관련하여 영조대 직제 변화가 나타나게 된 원인, 영조대 전후의 변화, 의금부도사의 역할, 실제 임명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영조대 의금부도사의 변화상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의금부도사는 의금부의 실무진으로서 의금부 내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함과 동시에 蔭官이 수령직에 제수받기 위해서 거쳐야하는 관직 중 하나였다. 의금부도사는 추국 과정에서 죄인의 심문 및 압송 등을 담당하며 죄인 판결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특히 영조대에는 《經國大典》에 규정되어 있는 經歷(종4품)을 혁파하여 그 인원을 도사라는 관직으로 일원화하였다. 영조대는 명칭의 일원화에 더해 품계의 변화도 있었다.
영조대 의금부도사의 직제개편은 영조 6년 발생한 사건에 의해 촉발되었다. 영조 4년 戊申亂이 있은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영조 6년 4월 14일 환관 최필웅이 궁궐 담장을 넘어 방화 사건을 계획하였으나 시찰 중에 적발됨으로써 계획이 무산되었다. 최필웅과 관련 가담자들에 대한 경술국옥이 진행되었으나, 최필웅과 함께 궁궐 방화 사건을 모의한 남인 박장운이 사건 조사 중에 음독자살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는 사건의 배후를 철저하게 조사하려던 국왕과 의금부의 의도를 저해하려는 행동이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의금부도사 직제 개편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續大典》(1746)에서 경력을 혁파하고, 종6품의 참상도사 5원, 종9품의 참하도사 5원으로 체제를 정비하였다. 의금부도사 체제 정비를 위해서 참하도사에 생원, 진사 중 명망과 세도가 있는 자제를 가려서 차출해야 한다고 보았다. 참상도사 5원 중 1원에는 무관을 차출하도록 하였는데, 이렇게 변화된 직제는 1750년 이후 계속 유지되었다.
영조대 참하도사는 영조 6년 직제 개편 논의 이전부터 전원 사마 이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참상도사는 대략 30%에 해당하는 인물들이 사마이력을 가지고 있었다. 참상도사 중 전력이 참하도사인 참상도사는 사마시 이력을 가지고 있었다. 영조대 의금부도사의 이후 관로를 분석한 결과 수령직에 해당하는 관직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의금부도사직이 음관이 수령직에 제수받기 위해서 거쳐야 하는 관서 중 하나였으므로 이후 관로에서 수령직의 비중이 높았던 것이다.
의금부도사 체제 정비의 의도는 크게 2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의도는 의금부 내부 시스템 정비에 있었다. 두 번째로는 의금부가 처리하는 주요 업무가 반역사건의 재판이었으므로 그 실무를 담당하는 의금부도사의 직제 개편을 통해서 앞으로 있을 반란 사건을 엄중히 처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려는 국왕의 의도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실제 죄인의 형이 확정되기 위해서는 죄인의 심문을 거치고 형신이 이루어진 후 조율 과정을 거치도록 하였으나, 영조대는 조율을 거치지 않고 바로 형을 확정하는 사례들도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영조 초반 반란 세력을 진압하고자 하는 영조의 의도 때문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64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89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