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영화적 도시와 미디어-공간 경험 : The Cinematic City and the Experience of Media-Space: A Study of Siegfried Kracauer's Theory of Film & City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의 영화와 도시론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재호-
dc.contributor.author김도연-
dc.date.accessioned2022-04-20T07:29:56Z-
dc.date.available2022-04-20T07:29:56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00000016712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8647-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122ko_KR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독일의 문화비평가이자 영화이론가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Siegfried Kracauer, 1889-1966)의 도시 문화 연구와 영화론을 미디어-공간 경험 이론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크라카우어의 저작은 주로 영화 연구에서 논의가 이루어진 반면, 초기의 도시 문화론은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에 본 논문은 두 주제를 그의 전체 저작의 맥락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해 분석한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크라카우어의 도시 문화 분석은 영화의 매체적 특수성과 친화성 논의와 연결되는 미디어-공간적 접근임을 규명한다. 둘째, 표층적 표현으로서의 시각적 매체인 영화가 도시 이미지와 도시 경험을 구성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셋째, 영화 관객 경험에 대한 크라카우어의 논의에서 영화관이 도시적 경험과 영화적 경험이 교차되는 미디어 공간으로 기능함을 밝힌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크라카우어의 미디어-공간 경험 이론이 영화의 존재론을 비판적으로 조망하고 있으며, 미디어와 공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도시적 경험을 구성하는지를 보여주고 있음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크라카우어의 영화와 도시론을 미디어 문화 연구와 도시 연구, 영화 연구의 맥락에서 체계적으로 확장하고, 미디어-공간 경험으로 재해석된 그의 주요 저술이 현대 문화 연구 발전을 위한 중요한 이론적 자원임을 확인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is primarily concerned with a critical analysis of the work of Siegfried Kracauer(1889-1966), a Jewish-German cultural critic and film theorist,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experience of media-space. While Kracauers writings have been mainly discussed in the fields of film studies, his earlier studies on the city and urban culture have received a good deal less attention. This dissertation synthetically approaches and analyzes the themes of film and city in the context of his major works.
First, the dissertation shows that Kracauers analysis of the city is developed along with his account of films specificity as a medium and its inherent affinities. Second, the dissertation explores the process of how film as a surface-level expression serves to construct not only the image of the city but also the cinematic experience of the city. Third, focusing on Kracauers analysis of the cinematic experience, the dissertation examines how cinema plays a role as a media space in articulating the combination of urban and cinematic experiences. In doing so, the dissertation argues that Kracauers theory of the experience of media-space critically revisits the ontology of film as a media text and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and discusses how the interaction between media and space constitutes the urban experience.
This dissertation contributes to a critical reception of Kracauers theory of film and city in the fields of media and cultural studies and shows that his works on the experience of media-space provide key theoretical motiv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ritical study of media-space toda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 문제 2
제 2 절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
1. 연구 대상 8
2. 연구 방법 13
제 3 절 논문의 구성 13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검토 16
제 1 절 도시 문화 연구의 공간적 전회 16
1. 공간 권력적 접근 17
2. 미디어-공간적 접근 19
제 2 절 비판적 도시 문화 연구에서의 미디어와 공간 24
1. 20세기 대도시와 현대 문화 24
1) 게오르크 짐멜: 시각적 도시와 현대 24
2) 발터 벤야민: 도시의 환등상과 영화 26
2. 비판적 도시 문화 연구의 현재 27
제 3 절 영화 이미지와 실재의 경험 29
제 4 절 크라카우어 국내외 수용 현황 34
1. 국외 크라카우어 연구 현황과 경향 34
2. 국내 크라카우어 연구 현황과 경향 37

제 3 장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의 삶과 저술 42
제 1 절 생애와 지성사적 맥락 42
1. 크라카우어의 외부자적 삶 43
2. 크라카우어와 도시: 비판 이론적 맥락 48
3. 크라카우어와 영화: 미학적 맥락 50
제 2 절 크라카우어의 주제별 저술 52
1. 공간의 가시화와 대중의 합리화: 『대중의 장식』, 『사무직 노동자들』 53
2. 환등상과 도시: 『자크 오펜바흐와 그의 시대의 파리』 55
3. 독일 영화와 심리적 실재: 『칼리가리에서 히틀러까지』 56
4. 물리적 실재와 영화 경험: 『영화 이론』 59
5. 역사와 거리두기: 『역사』 60

제 4 장 도시와 영화의 친화성 62
제 1 절 도시의 표층적 표현 62
1. 현대 도시의 표층적 표현들 63
2. 대중 장식의 가시화 69
제 2 절 내재적 친화성과 물리적 실재 72
1. 사진의 매체적 속성과 친화성 73
1) 역사 기록으로서의 사진 73
2) 사진적 접근과 친화성 76
2. 물리적 실재와 영화적 접근 79
1) 기록과 드러냄으로서의 영화 79
2) 도시에 대한 영화적 접근 82
제 3 절 소결: 영화적으로 도시 읽기 84

제 5 장 도시의 시각적 표현으로서의 영화 86
제 1 절 영화적 거리와 도시의 환등상 86
1. 삶의 흐름으로서의 영화적 거리 87
2. 현대 대중문화와 환등상: 파리의 오페레타 90
제 2 절 거리영화와 물리적-심리적 실재 92
1. 거리영화의 영화적 접근 93
1) 초기 영화의 흐름과 거리영화의 등장 93
2)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거리영화의 물질성 95
2. 물리적-심리적 실재의 재구성과 재발견 98
제 3 절 소결: 도시의 분해와 재조립 100

제 6 장 미디어-공간 경험의 대기실: 영화관 102
제 1 절 거리에서의 도시적 경험 102
1. 소외적 현대 경험과 거리의 안식처 103
2. 일상의 재발견으로서의 대기(待機) 106
제 2 절 영화관에서의 영화적 경험 110
1. 정신분산과 영화 111
2. 꿈꾸기를 통한 실재와의 접촉 113
3. 낯섦과 대기를 위한 영화관 117
제 3 절 소결: 거리에서 영화관, 그리고 다시 거리로 121

제 7 장 결론 123
제 1 절 논문의 요약 및 의의 123
제 2 절 논문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26

참고문헌 129

부록 151
부록 1. 국외(영어권) 크라카우어 번역·2차 문헌 목록 151
부록 2. 국내 크라카우어 2차 문헌 목록 166

Abstract 172
-
dc.format.extentvi, 173-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
dc.subject비판 이론-
dc.subject영화-
dc.subject도시-
dc.subject경험-
dc.subject미디어 공간-
dc.subject표층적 표현-
dc.subject물리적 실재-
dc.subjectSiegfried Kracauer-
dc.subjectCritical Theory-
dc.subjectFilm-
dc.subjectCity-
dc.subjectExperience-
dc.subjectMedia Space-
dc.subjectSurface-level Expressions-
dc.subjectPhysical Reality-
dc.subject.ddc070-
dc.title영화적 도시와 미디어-공간 경험-
dc.title.alternativeThe Cinematic City and the Experience of Media-Space: A Study of Siegfried Kracauer's Theory of Film & Cit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Doh Yeon Kim-
dc.contributor.department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1-08-
dc.title.subtitle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의 영화와 도시론 연구-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712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6▲000000000053▲00000016712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