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온라인 공간 속 기후위기 인식과 태도 : Climate crisis perception and attitude in the online space: Focusing on Naver News and comments about extreme weather events in the summer of 2020
2020년 여름 이상기후현상을 다룬 네이버뉴스와 댓글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정현

Advisor
윤순진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후위기이상기후현상환경커뮤니케이션인터넷 뉴스댓글Climate CrisisExtreme weather eventEnvironmental communicationInternet NewsCommen
Abstract
The extreme weather event, which has been occurring steadily at all over the world, is an event in which individuals "feel" the climate crisi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cognizing the dangers of the climate crisis. However, recognizing the dangers of the climate crisis is not directly linked to individuals' actions to adapt to and mitigate climate change, requiring empirical research on climate crisis response consciousness.
Perception of climate crisis risk is influenced by what type of news and media individuals encounter, and this study examines the sense of climate crisis response formed and distributed online by analyzing Internet portal news and comments on the news. The time range of the study was in the summer of 2020, when a series of typhoons caused a lot of damage to the society, and the spatial scope was among the "Naver News" articles from (Korean portal site so-called) "Naver", and the corresponding articles and comments were collected through web crawling using the computer language Python.
In the case of articles, articles dealing with only phenomena itself, extreme climate event, and even climate cri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topic, media, and contents between the bundles of articles. Among them, 745 articles containing keywords from phenomenon to climate crisis were categorized into 26 types of small topic and 4 big topics through topic modeling. In addition, 26986 comments were classified into 10 categories through several coding by this researcher,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ich topics and "soluble responses" were related.
According to the study, 248 cases (34%) of "phenomenon topic", 231 cases (31%) of "diagnosis topic" and 236 cases (32%) of "solution topic" were found to be relatively equal in the case of articles. Among the comments related to the climate crisis, 6,342 cases (24%) were "solution-type responses", followed by 1,578 cases (6%) of "exclution-type response" and 499 cases (2%) of "lethargy-type response". In addition, there were 14,042 (52%) "political responses" unrelated to the climate crisis, more than the total number of comments related to the climate crisis. The correlation analysis found that both the phenomenon topic and the solution topic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ll the solution-type responses, and only less than half of the total small topic having significant positive/negative correlations. In particula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mall topics, this study found that Korean internet news users were more sensitive to extreme weather events abroad than to extreme weather events in Korea, and found some points that the media should pay attention to when it deals with information about climate crisis polic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at the consciousness of climate crisis response, which is formed during the experience of the actual event of abnormal weather phenomena as a result of the climate crisis, rather than a superficial response to the concept of climate crisis. However, this study is conducted in the field of climate crisis communication research for the first time and has limitations, requiring more diverse and precise follow-up studies in the future.
국내외로 꾸준히 일어나고 있는 이상기후현상은 개인이 기후위기를 몸소 체감하는 사건으로, 기후위기의 위험성을 인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기후위기의 위험성을 인지하는 것이 개인의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를 위한 행동으로 직결되지는 않아 기후위기 대응의식에 대한 실증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기후위기 위험에 대한 인식은 개인이 어떤 형태의 뉴스, 미디어를 접하는지에 따라 영향을 받는데, 이에 본 연구에서는 뉴스 전달의 주된 매체인 인터넷 포털 뉴스와 해당 뉴스에 달린 댓글들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온라인 공간상에서 형성·유통되는 기후위기 대응의식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긴 장마와 연속된 태풍으로 인해 피해가 많이 발생한 2020년 여름으로, 공간적 범위는 포털 네이버에서 검색되는 기사 중 네이버 뉴스로 하며, 컴퓨터언어 파이썬을 활용한 웹크롤링으로 이에 해당하는 기사와 댓글을 전수 수집하였다.
기사의 경우 검색 키워드에 차이를 두어 유난히 긴 장마와 잦은 태풍에 대해 어떤 해석 없이 현상 자체로만 다룬 기사부터 이를 이상기후현상으로 해석한 기사, 나아가 기후위기로 해석한 기사까지 각각 수집하여 해당 기사묶음 간 주제별, 언론사별, 내용별로 분석하였다. 그 중 현상부터 기후위기까지의 키워드가 모두 포함된 기사 745건을 토픽모델링을 통해 26개 유형의 소토픽, 4개 유형의 대토픽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26986개의 댓글을 연구자가 수 차례 코딩을 통해 10개 유목으로 분류하였고, 어떤 토픽과 해결형 반응과 관계가 있는지를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기사의 경우 현상 토픽, 진단 토픽, 해법 토픽이 각각 전체의 248건(34%), 231건(31%), 236건(32%)으로 비교적 균등하게 발견되었고, 댓글의 경우 기후위기와 관련있는 댓글 중에는 해결형 반응이 6342건(24%)으로 가장 많았으며 배제형 반응이 1578건(6%), 무기력 반응이 499건(2%)으로 그 뒤를 이었다. 아울러, 기후위기와 관련이 없는 정치적 반응이 14042건(52%)으로 기후위기 관련 댓글(무기력 반응, 배제형 반응 포함)의 총합보다도 많았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대토픽 중 현상 토픽과 해법 토픽 모두 모든 해결형 반응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전체 소토픽 중 절반 이하만이 유의미한 양적/음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소토픽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이상기후현상보다 해외의 이상기후현상에 민감히 여기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기후위기 정책 보도와 관련하여 언론이 유의해야 할 지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후위기가 구체적 사건으로 드러난 2020년의 이상기후현상에 대한 보도기사만이 아니라 그에 대한 시민 반응인 댓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후위기라는 개념에 대한 피상적 반응이 아니라 기후위기의 결과인 이상기후현상이라는 실제 사건 체험을 통해 형성되는 기후위기 대응의식을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다만, 이 연구 방법은 기후위기 커뮤니케이션 연구분야에서 처음 시도해보는 것이기 때문에, 추후 보다 다양하고 정밀한 후속 연구를 필요로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64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57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