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온라인 공간에서의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과 친밀감의 의미 : Quasi-focused Interaction and the Meaning of Intimacy in Online Space: Focusing on the Fan-platform Bubble Users
팬플랫폼 '버블' 사용자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나은

Advisor
김홍중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상호작용친밀감‘버블’팬덤감정 사회학quasi-focused interactioninteraction‘Bubble’fandomintimacysociology of emotions
Abstract
This study is not about the fan-platform 'Bubble'. However, it is about what intimacy can consist of when either the actual relationship 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sides is eliminated. Bubble is a unique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receive private messages from subscribed K-pop idols in 1:1 chat rooms and send messages to them, but allows subscribers to form conversations without being able to read messages from other subscribers. This study examined how this type of interaction is possible, how intimacy fantasy works, and what the subscribtion of intimacy means. This aims to reflect on the possibility of quasi-focused interaction and the problem of everyday interaction and to look at the meaning of the intimacy it gives.
Following Thompson's discussion that new media will be a trigger for new interactions, this study borrowed Goffman's theory to discuss the new interaction methods triggered by new media and to explore the intimacy implemented by that new interaction through Hochschild's sociology of emotions. Goffman distinguished 'unfocused interaction' from 'focused interaction', but the Bubble's interaction does not apply to both. Therefore, in this study 'quasi-focused interaction' is coined as 'interaction that pretends that such a relationship or space exists in the absence of a relationship or face-to-face space', and eto explore the emotional management required by borrowing the discussion of Hochschild. This study can be seen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empirical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22 people.
Chapter 2 examines the possibility of quasi-focused interaction attempted by both ARTISTS and subscribers, and the relationships that are incarnated. By examining the subject of 'conversation' in Bubble, the flow of messages that makes them look like 'conversation', and the way of calling, I explored that how quasi-focused interaction can succeed and is prone to failure. Through this, I pointed out the features of fantasy, one-sidedness, and convenience that show the realized relationship.
In Chapter 3, I explored that how the intimate fantasy of quasi-focused interaction works. First of all, I examined how intimacy is realized while fantasy and reality are mixed. And I saw how the private information of the message creates an intimate fantasy that seem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network, and how relationships that were considered impossible in real life are implemented as alternative romantic relationship fantasy through quasi-focused interaction.
In Chapter 4, I looked at how feelings affected by the transaction which is concealed and revealed while emotions are traded. First, I pointed out how the purchase of exclusive relationships is possible and what kind of intimacy is constructed when this is in a form of subscription. In addition, I looked at the emotions that are implemented while recognizing that emotions are traded, and the intimacy that the emotion-purchasinf behavior makes.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process of virtual interaction dissecting relationships. What can be virtually manipulated for interaction, and what can replace the interaction? So what does the virtually implemented interaction mean, and what relationships have lacked so far? Is it possible to buy a relationship? If possible, is the purchased intimacy identical to the existing intimacy? Answering these questions, I question how face-to-face interaction works and how intimacy is constructed.
본 논문은 팬 플랫폼 버블에 대한 것이 아니다. 다만 실제 관계도, 쌍방의 소통도 소거했을 때 친밀감이 무엇으로 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버블은 1:1 채팅방에서 구독한 아이돌로부터 사적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아이돌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나, 구독자는 다른 구독자의 메시지를 읽을 수 없는 채로 대화를 구성하는 독특한 서비스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방식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가능하고, 이를 통해 어떻게 친밀환상이 작동하며, 친밀감의 판매가 어떤 의미를 만드는지를 살폈다. 이를 통해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의 가능성과 일상적 상호작용의 문제를 반추하고 이것이 주는 친밀감의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은 새로운 미디어가 새로운 상호작용의 촉발요소가 된다.는 톰슨의 논의를 따라, 뉴미디어가 촉발한 새로운 상호작용 방식을 고프먼의 이론을 빌려 논하고, 이로 구현되는 친밀감을 혹실드의 감정사회학을 통해 보고자 하였다. 고프먼은 초점이 맞추어진 상호작용과 초점이 맞추어지지 않은 상호작용을 구분하였으나 버블의 상호작용은 이에 적용되지 않는다. 다만 여기서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을 관계와 대면 공간이 부재한 상태에서 마치 그러한 관계나 공간이 존재하고 있음을 가장하는 상호작용으로 정의하고, 이에 요구되는 감정관리를 혹실드의 논의를 빌려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2명의 심층면접을 통한 실증적 자료수집과 분석 과정을 거친 질적 사례연구로 볼 수 있다.
2장에서는 아티스트와 구독자 두 행위자가 시도하는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의 가능성과 이로 구현되는 관계를 살폈다. 버블에서의 대화 주체, 주체 간의 관계, 대화처럼 보이도록 하는 메시지의 흐름, 호명의 방식을 살핌으로써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이 어떻게 성공할 수 있으며 또 실패하기 쉬운지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구현된 관계가 보이는 환상성, 일방성, 편리성 등의 특징을 짚어보았다.
3장에서는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의 친밀환상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되는지를 살폈다. 우선 환상과 실재가 뒤섞이는 중에 친밀감이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메시지의 사적 정보가 어떻게 관계망에 편입되는 것 같은 친밀환상을 만드는지,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던 연애가 유사-초점화된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대안연애 판타지로 구현되는지를 보았다.
4장에서는 감정이 거래될 때 그 거래의 은폐와 노출이 감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폈다. 우선 독점적 관계의 판매가 어떻게 가능한지, 그리고 이것이 구독의 형태일 때 어떤 친밀감이 구성되는지 지적하였다. 이에 더해 감정이 거래된다는 것을 인지하는 중에 구현되는 감정, 그리고 감정의 구입행위가 역으로 만드는 친밀감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적인 상호작용이 관계를 실험대에 올려 해부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상호작용에 가상적으로 꾸며질 수 있으며, 그래서 대체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가상적으로 구현된 상호작용이 그래서 어떤 의미를 만들며, 지금까지는 어떤 관계들이 결여되어 있었는가? 관계를 구입하는 것이 가능한가? 그것이 가능하다면, 구입된 친밀감은 기존의 친밀감과 동일한가? 이러한 질문들에 답을 하며, 기존 상호작용의 작동 방식과 친밀감의 구성 방식에 의문을 제기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65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7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