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우간다 말라리아 통제프로그램과 신속진단검사결과의 연관성 : Association between Uganda Malaria Control Program and the result of rapid diagnostics test
2018-2019년 Uganda Malaria Indicator Survey 자료를 이용하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세영

Advisor
김선영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말라리아말라리아 통제프로그램우간다다수준 분석빈혈MISDHSMultilevel analysisMalariaUgandaMalaria control programmanemi
Abstract
연구배경: 우간다는 말라리아 발생률 전 세계 3위, 사망률 7위로 말라리아로 인한 질병부담이 높은 국가이다. 우간다 정부와 보건부는 말라리아 유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살충 모기장·방충망 이용, 실내 잔류 스프레이 사용과 같은 말라리아 통제프로그램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우간다의 기후와 지형이 지역별로 상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말라리아는 기후와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 질병이므로 우간다의 말라리아 정책은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기후환경과 같은 지역적 요인도 함께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구목표: 본 연구는 개인 수준과 지역 수준의 계층적 자료로 구분된 2018-2019 우간다 말라리아 지표조사자료(MIS)를 이용하여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고 말라리아 통제프로그램과 말라리아 신속진단검사결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우간다 57개 도시 집락(cluster)과 174개의 시골 집락에 거주하는 15-49세 여성 1,942명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단면연구이다. 결과변수는 말라리아 신속진단검사결과(양성, 음성)인 범주형 변수이며 개인수준과 지역수준의 위계적 자료라는 점을 고려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통계적 검증방법으로 기초통계분석, 카이제곱분석, 상관분석, 일반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말라리아 신속진단검사결과이며, 독립변수는 개인수준(연령, 종교, 문맹률, 말라리아 지식, 말라리아 메시지 노출여부, 12개월 이내 살충 스프레이 사용여부, 취침용 모기장 소유, LLIN 모기장 사용, 빈혈수준, 발열여부, 경제적 수준, 어머니의 교육수준, 가족수, 화장실 유형, 식수원, 거주지)과 지역수준(식생지수, 지표온도, 강우량, ITN 보급률, 인구밀도, 지역별 평균교육수준)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한 프로그램은 SAS 9.4이다.

연구결과: 말라리아 신속진단검사결과가 양성으로 나타난 사람은 전체 연구대상자 1942명 중 417명(16.98%)이었다. 그 결과, 주 변수인 말라리아 통제프로그램 변수인 12개월 이내 실내 살충 스프레이 사용여부와 LLIN 모기장 사용여부가 유의수준 95%에서 결과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갖는 변수로 나타났다[IRS= OR:0.23, 95%CI=0.12-0.46, LLIN: OR=0.68, 95%CI=0.47-0.99]. 그 외 개인 변수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개인 수준에서 경제적 수준 [낮음: OR=0.56, 95%CI=0.35-0.90, 높음: OR=0.33, 95%CI=0.17-0.68, 매우 높음: OR=0.12, 95%CI=0.03-0.44], 어머니의 교육수준 [중등교육 OR=0.48, 95%CI=0.24-0.96], 발열여부[OR=2.02 95%CI=1.37-2.97], 빈혈수준[경증: OR=1.70 95%CI=1.13-2.55, 보통: OR=3.85, 95%CI=2.58-5.75, 중증 OR=7.14, 95%CI=2.33-21.86]로 나타났으며, 지역 수준에서 지표온도 [OR=128, 95%CI=1.09-1.49], 강수량[OR=1.02, 95%CI=1.01-1.03], ITN 보급률[OR=1.77, 95%CI=1.19-2.64]이 결과변수인 말라리아 신속진단검사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갖는 변수로 나타났다.

연구결론: 분석에 포함되었던 주요 변수인 말라리아 통제 프로그램 중 실내 살충 스프레이와 LLIN 모기장 사용이 유의수준 95%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인 이유는 우간다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중재개입 성공이라고 여겨진다. PRECEDE 진단단계 중 역학적 진단요인인 빈혈수준과 발열여부가 매우 높은 연관성을 보였는데 그 중 빈혈이 심해질수록 말라리아 검사결과가 양성으로 나타날 오즈는 약 7배나 증가했다. 따라서, 정부는 우간다의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발열과 빈혈과 같은 대표적인 임상 증상에 대해 교육하고 감염 예방법으로 말라리아 통제프로그램 이용 확대를 위한 중재개입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Malaria infection is still a high burden of disease in Uganda and has remained a leading public health problem in the country. In this regar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examine associative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 result of a rapid diagnostics test in Uganda using 2018-2019 Malaria Indicator Survey(UMIS). This study, therefore,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RDT result o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level in Uganda.

Methods: This study used the Malaria Indicator Survey for 2018-2019 provided and collected by the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S). The outcome variable was malaria rapid diagnostic test survey results(negative or positive) and the main explanatory variable was as follows: Individual level includes age, literacy, mothers education, religion, malaria knowledge, heard/seen message about malaria, wealth, members of household, type of toilet facility, source of drinking water, residence, fever, anemia level, IRS, use LLIN, own mosquito net and Environmental level consists of rainfall, land surface temperature, enhanced vegetation index, population density, ITN coverage, average mothers education level.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conducted using SAS 9.4 and to identify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 determinants of RDT result during lactation.

Results: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vulnerability of an Ugandan woman to malaria infection decreased as Has dwelling been sprayed against mosquitoes in the last 12 months and Use LLIN. Other major significant factors were: the presence of anemia and fever history in women, wealth level, mothers education level. Also, land surface temperature, ITN coverage, rainfal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risk of malaria disease and infection.

Conclusion: Individuals with wealth conditions, education level, fever and anemia level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laria infection. Improving malaria control programs such as spraying anti-malaria to the house and LLIN are effective means of reducing the risk of malaria. Since Female household members are vulnerable groups to the risk of malaria,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and announcement of prevention methods against malaria has been essential to design improved strategic intervention for the reduction of malaria epidemic in Uganda.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65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6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