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Impact of Motivation on Career Success in the Philippine Foreign Service : 필리핀 외무공무원의 동기가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카라

Advisor
이수영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intrinsic motivationextrinsic motivationcareer successgenderForeign ServicePhilippines내재적 동기외재적 동기경력 성공젠더외무필리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글로벌행정전공, 2021.8. 이수영.
Abstract
The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to determine whether motivational factors for career success can vary across men and women in the Foreign Service.

The study utilized a survey research design using primary data collected from Foreign Service Officers (FSOs) in the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Philippines. A total of 163 FSOs participated during data gathering. Aside from the variables of primary intere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uch as age, civil status, rank, and total number of years in government were also taken into account.

After conduct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is affecting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study revealed that, although both facets of motivation are high among FSOs, they are more intrinsically rather than extrinsically-motivated.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in the case of Philippine FSOs, both women and men have the same motivational factors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findings imply that FSOs are generally more motivated by ethical values and drive for achievement more than material incentives. Peer recognition and colleagues esteem a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Therefore, it was recommended that job enrichment, encouraging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enhanc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achieve higher levels of perceived career satisfaction. It was also recommended that organizational support for conducive and safe working conditions be enhanced as an extrinsic motivator, since this is considered critical for employees career success.

The findings contribute to the larger body of knowledge on work motivation and career development. It also augments the Departments efforts in ensuring that there is gender equality in the workplace. The findings would allow the organization to design career development programs, reward systems, and motivational programs knowing that the response of men and women to these packages of motivational rewards and benefits would be similar.
본 연구는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가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외교부의 공무원의 성별에 따라 경력 성공에 대한 동기가 차이를 보이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필리핀 외교부의 외무공무원(FSO)으로부터 수집한 1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163명의 외무공무원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주요 관심 변수 이외에도 연령, 지위, 계급, 근속연수 등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기술통계분석, 상관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주관적 경력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가지 유형의 동기가 높게 나타났으나 내재적 동기 부여가 외재적 동기 부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필리핀 외무공무원의 경우 여성과 남성 모두 주관적 경력 성공에 대한 동기 부여 요인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외무공무원은 일반적으로 물질적 유인보다 윤리적 가치에 의하여 더 많은 동기 부여를 받고 성취에 대한 추진력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동료 의식 및 동료에 대한 존경심도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높은 수준의 직무만족도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직무 충실(job enrichment), 대인 간 상호작용, 공공봉사동기 강화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외재적 동기부여를 위하여 경력 성공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는 도움이 되고 안전한 근로 조건에 대한 조직적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작업 동기(work motivation) 및 경력 개발에 대한 학문적 기여를 하였다. 또한 직장 내 성 평등을 보장하기 위한 부서의 노력을 증대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는 조직이 설계하는 경력 개발 프로그램, 성과 제도, 동기 부여 프로그램 등에 대한 남성과 여성의 반응이 비슷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68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6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