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Emitter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nd Electron Donors and Silver Nanoparticles for Organic Solar Cells : 유기발광소자를 위한 열 활성 지연형광 발광체 및 유기태양전지를 위한 전자 주개 물질과 은나노입자의 개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동욱

Advisor
홍종인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organic solar cellsdye-sensitized solar cellsorganic photovoltaicsperovskite solar cellsmetallic nanoparticles.유기 발광 소자열 활성 지연 형광유기 태양전지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유기 광 기전 소자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금속 나노입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2021.8. 홍종인.
Abstract
유기 발광소자(OLEDs)는 1987년 첫 발견 이후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으며 상용화에 성공하여 현재 대면적의 TV 부터 스마트폰, 그리고 스마트 시계 등 다양한 분야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형광 발광체를 기반으로 한 유기 발광소자는 최대 내부 양자효율이 25%로 제한되는 단점을 갖고 있지만 인광 발광체는 중금속의 스핀궤도 결합에 의해 삼중항의 여기자를 이용할 수 있어 최대 100%의 내부 양자효율을 취할 수 있다. 하지만 인광 발광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가의 백금이나 이리듐 계열의 중금속 물질은 상용화에 있어 경제력이 떨어지고, 따라서 새로운 대체물질의 도입이 필요하다.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는 열 활성 지연 형광(TADF) 발광체 또한 단일항과 삼중항의 여기자를 모두 활용할 수 있기에 이는 인광 발광체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부상하고 있다. 열 활성 지연 형광 발광체는 역 계면 전이(RISC)에 의해 삼중항에 위치한 75%의 여기자를 단일항으로 이동시켜 모든 여기자를 발광에 활용하는 방법으로 특히 색 순도와 효율, 안정성이 적/녹색 발광체보다 낮은 청색의 발광체에 적용시키는 것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이에 첫번째 파트에서는 유기 발광소자에 사용되는 청/녹색 열 활성 지연 형광 발광체를 개발 하고자 하였다.
유기 태양전지(OSCs)는 태양광이나 인공의 빛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로서 매장량이 한정된 기존의 주 에너지원인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해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유기 태양전지는 크게 두가지 종류로 분류 할 수 있는데 하나는 식물의 광합성에서 영감을 받은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DSCs)와 다른 하나는 광 기전 효과를 활용한 유기 광 기전 소자(OPVs) 이다. 기존의 루테늄 기반의 감응체를 사용한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는 흡광 계수가 낮고, 가격이 비싸며 정제가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기물을 염료로 사용한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유기 광 기전 소자는 실리콘/무기 태양전지의 대체기술로서 높은 흡광 계수와 공정의 용이성, 경제적 이점에 있어 큰 장점을 보인다. 두번째 파트에서는 흡광 효율을 높이는 노력을 통한 고성능의 유기태양전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고성능의 유기태양전지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염두에 두어야 할 추가적인 요소들이 두가지 존재한다.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액체 전해질 사용에 의한 낮은 안정성 문제와 여기자의 짧은 확산 거리로 인한 제한된 소자의 두께가 손꼽힌다. 전자의 경우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감응체와 고체 정공 이동물질의 조합을 통해 고체형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ssDSCs)를 개발함으로써 극복하였다. 후자는 유기 태양전지 내에 금속 나노입자를 도입하여 그것의 국부적 표면 플라즈몬 공명(LSPR) 효과를 활용, 소자의 두께를 유지하면서 광자 흡수율 증가를 이루는 방법이 해결책 중 하나로 제시되었다. 세번째 파트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은 나노입자를 도입하여 효율을 증대 시키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Part I 에서는 고효율의 청/녹색 열 활성 지연 형광 물질의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고효율의 유기 발광 소자를 얻기 위해서는 작은 값의 단일항-삼중항간의 전위차이(ΔEST) 와 원활한 분자내 전하 전달(ICT)이 중요하다. 견고한 분자구조의 설계로 전하의 비발광 감쇠율을 줄이고 길고 평평한 분자구조로 물질의 수평 배치율을 높여 전면 발광을 하는 구조를 유도하는 것 또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항-삼중항간의 전위차이, 고휘도에서의 효율감소율, 비발광 감쇠율을 줄이는 동시에 분자내 전하전달과 발광 효율을 증가시켜 높은 외부양자 효율을 보이는 유기 발광 소자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두개의 전자주개와 보론 전자받개를 포함하며 분자내 전하전달을 최대화 시키기 위한 뒤틀어진 구조의 CCDMB, PCDMB 물질을 고안하였고 그중 강한 전자주개인 페녹사진기를 가진 PCDMB물질은 0.13 eV의 작은 단일항-삼중항 전위 차이 값을 보였으며 효율적인 역 계면 전이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PCDMB를 발광체로 사용한 소자는 (0.21, 0.45)의 CIE 1931 색 좌표를 보였으며 22.3%의 높은 효율을 기록했다.
분자의 견고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전자주개와 전자받개를 스피로 구조로 연결시킨 CBZANQ와 PXZANQ물질이 고안되었고 간단한 두 단계의 반응을 통해 합성되었다. 전자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않는 스피로 구조의 도입으로 분자의 견고함뿐만 아니라 최고 준위 점유 전자궤도 (HOMO)와 최저 준위 비점유 전자궤도(LUMO)의 효율적인 공간적 전하 분리를 이루었다. PXZANQ 발광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는 528 nm에서 빛을 냈으며 22.1%의 소자 효율을 보였고,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전자주개-스피로-전자받개 구조의 열 활성 지연 형광 물질 중 가장 높은 효율을 기록했다.

Part II 에서는 두가지 종류의 유기태양전지인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와 유기 광 기전 소자의 광 변환 효율을 증가 시키기 위한 일을 진행하였다. 유기 분자의 넓은 파장 영역대에서의 태양 스펙트럼 흡수는 단락전류(JSC)의 증가에 영향을 끼치고 분자의 에너지 준위와 소자의 구조는 개방전압(VOC)과 곡선인자(FF)에 영향을 주며 이 세가지 요인은 태양전지의 효율을 구성하는 주요 인자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가지 인자들 중 단락전류의 증가에 집중하였으며 높은 광 흡수율을 통한 높은 단락전류를 보이는 분자를 설계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태양전지에서 자주 도입되지 않은 평평한 퀴나크리돈 유도체를 이용한 긴 콘쥬게이션을 가진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염료물질과 유기 광 기전 소자의 전자주개 물질을 고안하고 연구하였다.

Part III 에서는 은 나노입자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도입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태양전지의 광 흡수율은 소자의 활성층의 넓이와 두께에 비례하지만 이것의 증가는 소자의 저항 또한 증가시켜 광 전환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파트에서는 은 나노입자를 티타늄 산화물 층에 도입하여 활성층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국부적 표면 플라즈몬 공명에 의한 흡수의 증가를 꾀하였다. 또한 은 나노입자와 다공성 티타늄 산화물과의 집성 효과에 의한 표면의 거칠기를 완화시켜 원활한 전하전달을 도모하였다. 하지만 은 나노입자의 전위가 티타늄 산화물의 전도대와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의 전위보다 낮게 위치하여 전하가 갇히는 구간을 생성하여 효율의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도입된 은 나노입자의 양에 따른 빛의 흡수율과 전하의 갇힘, 표면의 거칠기의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핵심어: 유기 발광 소자, 열 활성 지연 형광, 유기 태양전지,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유기 광 기전 소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금속 나노입자.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have drawn considerable attention since the first report in 1987 and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commercialization in various fields of panel displays including large-screen televisions, smart phones, and smart watches. Conventional fluorescent dopant-based OLED emitters can only achieve a maximum internal quantum efficiency (IQE) of up to 25%. On the other hand, phosphorescence emitters which can harvest triplet excitons utilizing spin-orbit coupling of heavy metal atoms can reach a maximal IQE of up to 100%. However, the high cost of commonly used heavy metal atoms such as platinum or iridium increases the cost of commercial products and alternative materials are required accordingly. Metal-free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 emitters have been considered as alternatives to phosphorescence emitters because they can utilize not only singlet but also triplet excitons by converting 75% of excitons in the lowest triplet excited state (T1) to the lowest singlet excited state (S1) through reverse intersystem crossing (RISC). The first part of the thesis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blue-green TADF emitting materials for OLEDs.
Organic solar cells (OSCs) are capable of converting light energy (sunlight or artificial light)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us have gained continuous recognition as a potential alternative to conventional energy sources such as fossil fuels. There are two kinds of organic solar cells, dye-sensitized solar cells (DSCs) and organic photovoltaic cells (OPVs). Conventional ruthenium-based sensitizers for DSCs have several drawbacks; low absorption coefficient, high material cost, and difficulty in purification. Therefore, metal-free organic sensitizers with high light-harvesting ability are continuously developed as an attractive alternative. OPVs are a promising substitute to silicon/inorganic solar cells owing to their high absorption coefficient, ease of fabrication, and low manufacturing cost. One way to realize high-efficiency OSCs is to develop dyes having high light harvesting ability. The second part of the thesis is focused on designing organic dye materials for DSCs and electron donor materials for OPVs with high light-harvesting ability.
There are two major problems to be solved to achieve highly efficient DSCs. One is instability of DSCs employing liquid electrolyte, and the other is insufficient light harvesting by limited thickness of the active layer of devices considering the short exciton diffusion length (~10 nm). The former can be overcome by adopting perovskite-structured sensitizers with solid hole transporting materials to form solid state DSCs (ssDSCs). The latter can be solved by introducing metallic nanoparticles (NPs) into OSCs which can increase the light absorption by the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LSPR)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device. The introduction of Ag-NPs into perovskite based ssDSCs is discussed in the third part of the thesis.
Part I is focused on designing highly efficient blue-green TADF OLED emitters. To achieve high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of TADF OLED emitters, it is vital to fulfill a small singlet-triplet energy difference (ΔEST) value for efficient RISC and efficient 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ICT) for increased emission. In addition, rigid structures are required to decrease non-radiative decay sites, and long, planar structures should be considered to increase the horizontal dipole orientation which can affect forward-emission and thus enhance light out-coupling efficiency. This part presents several ways to decrease ΔEST, efficiency roll-off, and non-radiative decay rate, but increase the ICT character and photoluminescence quantum yield (PLQY) for highly efficient TADF emitters.
Two twisted donor (D)-acceptor (A) type structures (CCDMB and PCDMB) composed of double electron donors and a trivalent boron acceptor were designed to maximize the ICT character. PCDMB with a strong phenoxazine donor showed a small ΔEST value of 0.13 eV, resulting in effective RISC and triplet harvesting. PCDMB-based devices showed green emission with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Éclairage (CIE) of (0.21, 0.45) and a high maximum EQE of 22.3%.
Two rigid spiro-type D-σ-A TADF emitters (CBZANQ, PXZANQ) were designed and synthesized via a simple two-step route. To maximize the rigidity of the emitter structure, spiro-type D-σ-A structures have been exploited, resulting in efficient spatial separation of the HOMO and LUMO. The PXZANQ-based OLED devices with a DPEPO host exhibited the maximum emission at 528 nm with a high EQE of 22.1% and small roll-off. The EQE of PXZANQ-based devices was among the highest in D-spiro-A type TADF emitters
Part II describes efforts toward increasing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DSCs and OPVs by improving light-harvesting efficiency. One major way to increase short-circuit current (JSC) is to harvest a wide range of solar spectrum by planar and long conjugated molecules. Other ways to improve PCE is to increase open circuit voltage (VOC) and fill-factor (FF) by adjusting energy levels of layers. This part is focused on ways to obtain high JSC values by increasing the light-harvesting efficiency utilizing organic sensitizers for DSCs and electron donor materials for OPVs based on a planar quinacridone (QA) π-bridge in common.
Part III investigates the effect of silver (Ag)-NPs on the PCE of perovskite solar cells. The light harvesting of solar cells highly depends on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active layer. However, increasing those factors may be inevitably accompanied by enhanced device resistance which might decrease the device PCE. Ag-NPs were embedded into TiO2 layer to enhance the light absorption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device via the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LSPR) effect. Furthermore, the aggregation of Ag-NPs with mesoporous TiO2 induced the morphology change of TiO2 layer which is advantageous for efficient charge transfer. However, the energy level of Ag-NPs lower than both perovskite sensitizer and conduction band of TiO2 caused charge trapping site which hampered the efficient charge transfer.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to optimize the loading levels of Ag-NPs for high-efficiency solar cell devices. The interrelations of optical absorption, charge trapping, and surface roughness of TiO2 layer of perovskite solar cell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eat Ag-NPs were demonstrated.

Keywor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organic solar cells, dye-sensitized solar cells, organic photovoltaics, perovskite solar cells, metallic nanoparticles.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69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76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