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에 따른 의료이용 행태 분석 : Analysis of Medical Use Behavior in accordance with Health Insurance Coverage Expansion : Focusing on the Expansion of Dental Implant Insurance Coverage
치과 임플란트 보험급여의 확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정민

Advisor
박정훈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임플란트이중차이분석성향점수매칭Health insuranceDental implantDouble difference analysisPropensity score matching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1.8. 박정훈.
Abstract
Korea has been providing health insurance for the entire nation since 1989, but strengthening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which is lower than that of major advanced countries, is one of the important national tasks of each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the dental treatment field is only 23.4% and 34.9% in dental hospitals and dental clinics, respectively, so health insurance coverage is very insufficient. To solve this problem, the government started to expand health insurance in earnest from the 2010s to strengthen the coverage of dental treatment, and started applying the world's first dental implant insurance in 2014. In 2014, it started with a 50% benefit for those aged 75 and over, and in 2016, the age of coverage was expanded to those over 65. However,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coverage of dental implants, the contribution to the expansion of dental care is not clear due to the high medical cost burden compared to other medical fields. There is a need to think about it. Therefore, a detailed analysis of the impact of dental implant policies on patients is of great importance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policies for the sustainability of health insurance finances and the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and social security.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research question of Did the expansion of dental implant insurance benefits affect the use rate and reduction of medical expenses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over 65? It was intended to be used for predi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total medical expenses, total co-payments, total uninsured medical expenses, total medical expenses, total co-payments, and total medical expenses by dividing 1,087 patients who received implant treatment by using the Korea Medical Panel annual data ver1.6 (2008~2017), whether they were 65 years of age or older, and before and after policy implementation. The increase/decrease in total medical usage was investigated.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used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choice convenience in whether or not to benefit from a policy, and double differenc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net effect of the poli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implant polic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crease in the total medical use of patients over the age of 65. The impact of the pure implant insurance benefit expansion policy, which removed the time difference and group difference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implant policy, was found to increase the total medical use by 2.701 cas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However, the total medical expens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did not decreas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supplementary basis for future dental implant benefit policies by empirically verifying that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leads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edical service use for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when there is not much substantial research and analysis following the expansion of implant insurance benefits. Given that dental implant usage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due to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and increased coverage since 2018,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y directions to strengthen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the dental sector could be derived not only in terms of frequency but also in terms of cost.
우리나라는 1989년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 건강보험을 실시하였지만, 주요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수준인 건강보험 보장성의 강화가 매 정권의 중요한 국정과제 중 하나이다. 특히 치과치료 분야의 건강보험 보장률은 치과병원과 치과의원의 경우 각각 23.4%, 34.9%에 불과한 지경으로 건강보험 보장성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치과치료의 보장성 강화를 위하여 201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건강보험 확대를 시작하여 2014년부터는 세계최초의 치과 임플란트 보험 적용을 시작한 바 있다. 2014년, 만 75세 이상을 대상으로 50%의 급여화로 시작하여 2016년에는 만 65세 이상으로 대상 연령을 확대하였고, 2018년에는 70%를 급여화하여 본인부담비율이 30%로 낮아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치과 임플란트의 보장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타 진료과목과 비교하여 높은 의료비 부담으로 인해 치과의료 보장성 확대에 대한 기여도가 명확하지 않고, 이용자당 금액이 높은 만큼 국가에 재정적 부담이 되며, 비용대비 효과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치과 임플란트 정책이 실제로 환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분석하는 것은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과 국민의 건강향상과 사회보장 증진을 위한 정책의 방향성을 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치과 임플란트 보험급여의 확대가 만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진료 이용률과 의료비 경감에 영향을 미쳤는가?의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임플란트 관련 정책의 방향의 설정 및 향후 정책의 효과성 예측을 위해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연간데이터 ver1.6 (2008~2017)을 활용하여 임플란트 치료를 받은 1,087명을 만 65세 이상 여부와 정책시행 전·후로 구분하여 총 의료비, 총 본인부담금, 총 비급여 의료비, 총 의료이용량의 증감현상을 살펴보았다. 정책 수혜여부에 대한 선택편의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하였고, 해당 정책의 순수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중차이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임플란트 정책 시행이 만 65세 이상의 환자의 총 의료이용량 증가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임플란트 정책 시행에 따른 시점 간, 집단 간의 차이를 제거한 순수한 임플란트 보험급여 확대 정책의 영향력은 해당 정책 시행으로 인해 총 의료이용량이 2.701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책 시행으로 인한 총 의료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임플란트 보험 급여의 확대 이후 실질적인 연구와 분석이 부족한 상황에서, 해당 정책의 시행이 만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의료이용량 증가로 이어진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향후 치과 임플란트 급여 정책의 보완 근거를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앞으로 노인인구의 증가와 2018년 이후 더욱 강화된 보장성으로 인해 치과 임플란트 이용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치과 분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방향의 설정 시 빈도적인 측면 뿐 아니라 금액적인 부분을 포함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76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8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