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수업전문성 탐색 : Exploring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High School P.E. teacher: Awareness of Teachers, Development Efforts, Obstacles and Overcoming Conditions
교사의 인식, 개발 노력, 저해요인 및 극복조건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진우

Advisor
최의창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고등학교 체육체육교사체육수업전문성전문성 개발high school PEsenior high school PEPE teacherteaching professionalismprofessional development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1.8. 최의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evelopment efforts to foster physical educatio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high school, and to explore obstacles and overcoming conditions in the proces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 for this purpose is: First, what is the physical education teaching professionalism of high schools recognized by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cond, what efforts do P.E. teachers make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rd, what are the obstacles to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in high school and the conditions for overcoming it?
The research method is a qualitative narrative study based on the interpretivism paradigm, and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2 months from July 2020 to June 2021. The 15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high schools who were studied used "purposive sampling" to obtain more information about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hysical education in high schools. The criteria for selecting research participants were first selected as teachers who have been in high school for more than three years. Second, they considered whether they have developed physical education expertise through activities such as physical education teacher learning community(TLC), and graduate courses. Finally, we tried to secure diversity of research participants by considering gender, career, and region. Finally, a total of 15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including five teachers in their 10th or younger year, five teachers in their 11th and 15th year, and five teachers in their 16th or older.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combining face-to-face or remote and local documents, and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data presented by Wolcott (1994). In an effort to enhance the trustworthiness of the study, I actively utilized triangulation, member checks, and peer debriefing, and was approved by CITI research ethics program an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IRB.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as derived from three aspects: Curricular professionalism, Career and guidance prefessionalismand Life-linked professionalism. Curricular professionalism was subdivided intoIdeological dimension of clear teaching philosophy, Documentary dimension of understanding curriculum documents, and Practical dimension of learner-centered teaching. The ideological dimension of curricular professionalism was embodied in sharing the philosophy of teachers' classes with students, clearly presenting the rules of classes, and documentary level curricular professionalism with clear understanding of national level, regional level, and school level curriculum documents. The practical dimension of curricular professionalism was appearing as learners becoming the main body of class management and emphasizing learners' inner motivation. Secondly, career and guidance professionalism was re-divided into professionalism of physical education career and prefessionalism of observation and recording. professionalism of physical education career was found to be a professionalism to practice physical education for all students, as well as students who pursue a career path, and prefessionalism of observation and recording was found to be a professional ability to evaluate and record students' qualitative capabilities. Thirdly, life-linked professionalism was subdivided into Physical Education in Life: Link to Sports in Life and Life in Physical Education: Link Sport value into Life. In order to link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students whole life, the participating teachers tried to give students a positive image of physical education, provide life-long sport activities, and practice classes in conjunction with local sports resources. It also sought to address the value of life contained in sports activities, transfer it to the lives of students, and to promote the full-fledged growth of students by looking at sports as a culture and teaching them as a whole person. Second, efforts to develop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have been shown within each professionalism in a total of four dimensions, based on formal-unformal dimensions(Akiba, 2012) and personal-social dimensions. Formal-personal efforts to develop curricular professionalism included graduate studies and participating training programsat the formal-social dimension, curriculum study at the formal-social dimension, non-formal-personal efforts and student opinion reflection at the informal-social dimension. For formal and personal efforts to develop career and guidance professionalism, writing materials or entrance examinations. Exploring information on entering schools such as participating in lectures, sharing examples of students recording and experience homeroom teacher of 3rd level classes were being conducted in formal and social efforts. Unformal and personal efforts for life-linked expertise were being made by teachers as role models, study in various fields, and participation in daily sports. Third, the conditions for overcoming the obstacles and limitations of the development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were subdivided into three aspects: Endemic, Institutional, and Personal. First, endemic obstacles consist of intra-PE factors and extra-PE factors. Intra-physical factors such as difficulty in consulting with fellow teachers and simple and decontextual evaluation, and extra-physical factors such as school culture focused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ubjects and interference of school manager. It recognized that cooperation with fellow teachers and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professional system were necessary as conditions to overcome this obstacles. Second, institutional obstacles included school athletic club administrative work, problems in curriculum system, and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such as facilities and class hours. Overcoming conditions to improve institutional disruptions included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appropriate compensation, expansion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and utilization of spare time. Personal obstacles were revealed to be deteriorated mannerism and willpower and difficulty in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conditions for overcoming were recognized as stimulation of fellow teachers and personal efforts to harmonize home and work were recognized.
Summarizing the discussion so far, first of all, this study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derives professionalism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not of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particular, career and guidance professionalism and life-linked professionalism are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cond,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presents the professional elements that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have in order to understand intuitively and apply them easily to actual teaching practice and improvement.
Finally, as a suggestion for field practice, First, sharing and exchange of teaching experience and opinions through cooperative activities such as teacher learning communities(TLC) should be activated in order to develop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overcome obstacles in the process. Second, among the aforementioned obstacles, institutional, administrative, policy and institutional changes must be mad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individual teachers to change. Thir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high schools to develop physical education teaching professionalism suitable for the context of high schools. As a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Firs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continue a positiv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form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high schools. Second,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how it works in real teaching situations when developing and practicing the professional elements presented in this study. Third, since the study was conducted only on general high schools,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in various types of high schools.
본 연구는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고등학교에서의 체육수업전문성 함양을 위한 개발 노력과, 그 과정에서의 저해요인 및 극복 조건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고등학교 체육교사가 인식하는 고등학교에서의 체육수업전문성은 무엇인가? 둘째, 고등학교 체육수업전문성 개발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는가? 셋째, 고등학교 체육수업전문성 개발의 저해요인과 극복을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 방법은 해석주의 패러다임에 근거한 내러티브 연구로 2020년 7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총 12개월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인 15명의 고등학교 체육교사는 고등학교의 체육수업전문성에 대한 보다 풍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목적 표집(purposive sampling)을 활용하여 모집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의 기준은 첫째, 고등학교에서 3년 이상 재직 중인 교사로 선정하였으며, 둘째, 체육수업연구회, 체육교과연구회, 스포츠교육 대학원 과정 등의 활동을 통해 체육수업전문성을 개발한 경험이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별과 경력, 지역을 고려하여 연구 참여자의 다양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10년차 이하 교사 5명, 11~15년차 교사 5명, 16년차 이상 교사 5명 총 15명의 연구 참여자가 선정되었다. 연구 자료는 대면과 원격을 병행한 개별 심층 면담과 현지 문서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Wolcott(1994)이 제시한 자료의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삼각 검증, 연구 참여자 간 검토, 연구자 동료 간 협의를 적극 활용하였으며, CITI 연구윤리교육과 서울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심의를 승인받아 연구의 윤리 규정을 준수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수업전문성은 교육과정 전문성, 진로진학 전문성, 삶 연계 전문성의 세 가지 측면으로 도출되었다. 첫 번째로 도출된 교육과정 전문성은 다시 뚜렷한 수업 철학의 이념적 수준,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이해의 문서적 수준, 학습자 중심의 수업 운영의 실천적 수준으로 세분화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이념적 수준의 교육과정 전문성은 교사의 수업 철학을 학생과 공유하고, 수업의 규칙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으로 구체화되었고, 문서적 수준의 교육과정 전문성은 국가 수준, 지역 수준,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명확한 이해로 구체화되었다. 실천적 수준의 교육과정 전문성은 학습자가 수업 운영의 주체가 되고,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강조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두 번째로 도출된 진로진학 전문성은 체육진로교육 전문성과 교과세특기록 전문성으로 다시 구분되었다. 체육진로교육 전문성은 체육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체육진로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전문성으로 나타났으며, 교과세특기록 전문성은 일시적인 관찰이 아닌, 꾸준한 관찰과 기록을 통해 학생의 진로와 연계하여 학생의 정성적 역량을 평가하고, 기록할 수 있는 전문성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세 번째로 도출 된 체육수업전문성인 삶 연계 전문성은 삶 속의 체육: 생활체육으로의 연계와 체육 속의 삶: 체육활동과 삶의 연계로 세분화되었다. 연구 참여 교사들은 생활체육과 체육수업의 연계를 위하여 고등학교 체육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체육의 이미지를 심어주고, 생활체육 종목 중심으로 수업 내용을 선정하며, 지역사회의 체육활동 자원과 연계하여 수업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또한 체육활동 속에 담긴 삶의 가치를 다루고, 이를 학생들의 삶에 전이시키고자 하였으며, 스포츠를 하나의 문화로 바라보고 총체적으로 가르침으로써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꾀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체육수업전문성의 개발을 위한 노력은 각각의 전문성 안에서 형식적-비형식적 차원(Akiba, 2012)과 개인적-사회적 차원을 기준으로 총 4개의 차원으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교육과정 전문성의 개발을 위한 형식적-개인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대학원 공부와 연수가, 형식적-사회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교육과정연구회, 체육수업연구회와 같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이, 비형식적-개인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지속적인 수업 성찰과 학생 의견 반영이, 비형식적-사회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동료 교사와의 일상적 소통 속에서의 수업 아이디어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진로진학 전문성 개발을 위한 형식적-개인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진학지도자료를 집필하거나 입시요강 설명회에 참여하는 등의 진학정보 탐색이, 형식적-사회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세특작성 예시 나눔과 체대입시연구회 같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이, 비형식적-개인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고3 담임 경험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삶 연계 전문성을 위한 비형식적-개인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롤 모델로서의 교사와 다양한 분야의 공부, 생활체육에의 직접적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고등학교 체육수업전문성 개발의 저해요인과 저해요인 극복을 위한 조건은 풍토적 요인, 제도적 요인, 개인적 요인의 세 가지 측면으로 세분화되었다. 풍토적 저해요인으로는 동료교사와의 협의의 어려움, 단순하고 탈맥락적인 평가와 같은 체육교과 내적 요인과, 입시과목 위주의 학교 문화, 관리자의 간섭과 같은 체육교과 외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동료교사와의 협력과 교육전문직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제도적 저해요인으로는 학교 운동부 업무와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 시설 및 수업 시수와 같은 시공간적 제약이 나타나고 있었다. 제도적 저해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극복 조건으로는 행정업무의 감축, 적절한 보상, 시설 및 교구의 확충, 자투리 시간의 활용이 제시되었다. 개인적 저해요인으로는 매너리즘과 의지 저하,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이 드러나고 있었으며, 극복을 위한 조건으로는 동료교사의 자극과 가정과 업무의 조화를 위한 개인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한 논의로는 첫째, 본 연구는 고등학교 체육수업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로, 일반적인 체육수업의 전문성이 아닌, 고등학교 체육수업의 맥락을 고려한 전문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진로진학 전문성과 삶 연계 전문성은 고등학교 체육수업의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난 전문성 요소라 할 수 있다. 둘째, 현장의 교사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수업 실천과 수업 개선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고등학교 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현장 실천을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고등학교 체육수업전문성을 개발하고, 그 과정에서의 저해요인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사학습공동체와 같은 협력적 활동을 통한 수업 나눔과 의견 교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앞서 제시되었던 저해요인 중 제도적 저해요인은 교사 개인이 변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행정적, 정책적, 제도적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고등학교의 맥락에 적합한 체육수업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한 현직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첫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형성한 체육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고등학교에서 이어나가기 위해 고등학교 체육수업의 개선을 위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문성 요소를 개발하고 실천하였을 때 실제 수업 상황에서 어떠한 효과를 발휘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일반고, 인문계고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특목고, 특성화고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고등학교에서의 체육수업전문성은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76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51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