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봉사동기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감정노동 : Assessing the Impa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otional Labor Among Korean Police Officers
한국 경찰관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우동석

Advisor
정광호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공봉사동기경찰직무만족조직몰입감정노동Public Service MotivationKorean Police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Emotional Labor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21.8. 정광호.
Abstract
The work environment of the Korean police is rapidly changing as the government promotes reform of power institutions, such as the adjustment of the investigation authority between the Prosecutors Office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Expansion of the police investigative powers requires reflection on the accountability of the police. However, the police are still suffering from their heavy workload and poor work environment, and there is a lot of controversy over whether they have properly established a sense of professional eth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of police officers as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the police job domain grow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how PSM i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otional labor through a survey of police officers belonging to provincial police agencies and police stations across the country. Unlike previous studies, after classifying PSM into several sub-dimensions, we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public service motives and police officers' job attitudes at these sub-dimension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thesis is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is study by introducing the job reality diagnosis and current issues of the Korean police and presents the research topic and structure accordingly.

Chapter 2 explains the concept of PSM and examines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M, its antecedent factors, and outcome variables. Since the concept of PSM was introduced to public administration academic circles, many studies have accumulated. In this rega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various variables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were also considered. In addition, studies on the job motives and PSM of police officers were reviewed. Also,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distinction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Chapter 3 analyzed the effect of PSM on the job 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uggested that PSM itself had a significant effect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 intrinsic satisfaction level of police officers of the 2030 generation increased as their motivation for public service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generation. However, in the analysis of instrumental variables, no evidence could be found that P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extrinsic job satisfaction.

Chapter 4 analyzed the effect of PSM on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 showed that PSM increase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the level of normative commitment is likely to increase as PSM increases among the 2030 generation of police officers, compared to that of the previous generation. However, in the instrumental variable analysis, no evidence could be found that P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ance commitment.

Chapter 5 analyzed the effect of PSM on police officers emotional labor. Considering they continue to work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heavily drunken behavior and malicious complaints while being on the nightshift within a rigid hierarchy, it may be that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performed by police officers is substantial.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PSM stil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deep acting of consciously managing emotions to feel the emotions required in the pursuit of their dutie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SM for police officer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perform emotional labor. However, it suggested that in the surface acting of regulating emotions to suppress truly emotions or intentionally express the feelings that are required, there may be a differential tendency between generation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ir PSM.
최근 정부의 검경수사권 조정 등 권력기관 개혁 추진에 따라 한국 경찰의 업무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경찰의 수사권 영역 확장은 경찰의 책무성에 대한 성찰을 요구한다. 그렇지만 경찰은 여전히 업무 부담의 과중함과 열악한 직무 환경에 시달리고 있고 직업윤리 의식을 제대로 확립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논란이 크다. 본 연구는 이런 경찰업무의 중요성과 영향력의 커짐에 따라 경찰관들의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에 대한 심층진단을 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시도경찰청 및 경찰서 소속 현직 경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감정노동과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와 달리 공공봉사동기를 여러 하위 차원으로 구분한 후 이들 하위 차원의 다양한 공공봉사동기와 경찰관이 직무태도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 한국 경찰의 직무현실 진단과 당면 현안을 소개함으로써 본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을 기술하고, 이에 따른 연구주제와 연구 구성을 제시하였다.
제2장은 공공봉사동기의 개념을 설명하고, 공공봉사동기와 선행요인 및 결과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행정학에 공공봉사동기에 관한 개념이 소개된 이후 그간 다양한 연구가 축적되어왔으며, 이에 여러 변수들과의 영향관계와 기존 연구에서 확인되는 이론적 배경도 함께 고찰하였다. 또한 경찰관들의 직무동기 및 공공봉사동기에 관하여 수행되었던 연구들을 검토하였고, 선행연구의 한계 및 본 연구의 차별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공공봉사동기가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공봉사동기 자체는 직무만족을 증대시키는 유의미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후속세대 경찰관들은 기존 세대에 비하여 공공봉사동기가 높아질수록 내재적 만족 수준도 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도구변수 분석에서는 공공봉사동기가 이들의 외재적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를 확인할 수 없었다.
제4장에서는 공공봉사동기가 경찰관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공봉사동기는 이들의 조직몰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확인되었다. 또한 신규 세대 경찰관들은 기존 세대에 비하여 공공봉사동기가 높아질수록 규범적 몰입의 수준도 더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도구변수 분석에서는 공공봉사동기가 지속적 전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를 확인할 수 없었다.
제5장에서는 공공봉사동기가 경찰관의 감정노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경직된 위계 조직 내에서, 특히 현장 교대부서 및 민원업무를 담당하는 경우에 밤샘 근무, 주취 행패 및 악성 민원인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경찰관들이 수행하는 감정노동의 수준은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공공봉사동기는 경찰관들에게 요구되는 감정을 실제로 느끼기 위하여 감정을 의식적으로 관리하는 내면적 행위에는 여전히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경찰관들은 공공봉사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감정노동의 수행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정한 감정을 억누르거나 요구되는 감정을 느끼는 모습을 의도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감정을 조절하는 표면적 행위에 있어서는 공공봉사동기의 수준에 따라 세대 간 차별적인 경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78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49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