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부문 종사자의 조직공정성 인식과 능동적 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Proactive Behavior of Public Sector Worker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병조-
dc.contributor.author이용현-
dc.date.accessioned2022-04-20T07:40:52Z-
dc.date.available2022-04-20T07:40:52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00000016783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8788-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83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21.8. 김병조.-
dc.description.abstractIn an uncertain public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proactive behavior that can suggest new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being emphasized. Reflecting this phenomenon, studies on the proactive behavior of private sector workers are increasing, but empirical studies targeting public sector workers are still lacking. Proactive behavior in which organizational members actively predict problems and change organizations can als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public sector.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e role of employe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s a leading factor for proactive behavior targeting public sector workers was examin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wer distance orientation was empirically t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examine the impact of public sector employe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proactive behavior. Second, it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ower distance orientation, which i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proactive behavior. The independent variable is set to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ve justice; the dependent variable is set to voice behavior among types of proactive behavior and the moderating variable to power distance orientation.
For the empirical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employees working at th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 public organization, and a sample of 202 peopl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proactive behavior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procedural justice among organizational justice affects voice behavior, which is a type of proactive behavior. A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ower distance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proactive behavior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power distance orient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study that attempted an empirical study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proactive behavior for public organizations. In a situation where research on the proactive behavior of public sector workers is lacking, this study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study on proactive behavior to the public sector.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richer discussion of the role of organizational justice by suggesting that organizational employees' perceptions of justice can play a role as antecedents of proactive behavior.
Third, in this study, among th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procedural justi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voice behavior, indicating that procedural justice has importance in relation to proactive behavior.
Fourth, this study tri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power distance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proactive behavior, but the moderat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 In this regard, since the hierarchy culture is dominant in Korea's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 particular, public institutions have strong bureaucratic characteristics, whether the individual level of power distance orientation is high or low does h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 effect on proactive behavior.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education and training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managers who want to promote proac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employees should improve their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actively seek ways to enhance justice. Secondly,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procedural justic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with proactive behavior.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to rationalize the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compensation system.
-
dc.description.abstract불확실한 공공 조직 환경에서 조직 성과에 새로운 함의를 제시할 수 있는 능동적 행동(Proactive behavior)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민간부문 종사자의 능동적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공공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조직 구성원이 능동적으로 문제를 예측하고 조직을 변화시키는 능동적 행동은 공공부문에서도 조직 성과를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될 수 있다.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공공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능동적 행동의 선행요인으로 구성원의 조직 공정성(Organizational justice) 인식의 역할을 고찰하고, 권력거리성향(Power distance orientation)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공공부문 종사자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능동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둘째, 조직공정성 인식이 능동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개인특성 변인인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독립변수는 조직공정성의 세 가지 차원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으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는 능동적 행동의 유형 중 발언 행동(Voice behavior), 조절변수는 권력거리성향으로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공공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 근무하는 직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2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조직공정성이 능동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조직공정성 중 절차공정성이 능동적 행동의 유형인 발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조직공정성 인식과 능동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권력거리성향이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이론적 함의는 첫째, 이 연구는 공공조직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과 능동적 행동에 대하여 실증연구를 시도한 연구라는 의의를 갖는다. 공공부문 종사자의 능동적 행동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 능동적 행동에 대한 연구를 공공부문으로 확장시키는데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이 연구의 결과는 조직구성원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능동적 행동의 선행요인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함으로써 조직공정성이 갖는 역할에 대한 논의를 보다 풍부하게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조직공정성의 차원 중 절차 공정성이 발언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절차 공정성이 능동적 행동과 관련하여 중요성을 갖는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넷째, 이 연구에서는 조직공정성과 능동적 행동의 관계에 대한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서는 한국의 조직문화는 전반적으로 위계문화가 지배적으로 나타나고 특히 공공기관은 관료제적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개인수준의 권력거리성향이 높거나 낮은지 여부는 조직공정성이 능동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의 실천적 함의로는 첫째, 조직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훈련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조직 구성원의 능동적 행동을 촉진하고자 하는 조직 관리자들은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공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능동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절차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즉, 조직의 성과보상제도를 합리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제 2 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4
제 1 절 능동적 행동(Proactive Behavior) 4
1. 능동적 행동의 개념 4
2. 발언 행동(Voice Behavior) 6
3. 공공부문에서의 능동적 행동 7
제 2 절 조직공정성 9
1. 조직공정성의 개념 9
2. 조직공정성의 유형 10
제 3 절 연구조직 및 인력의 특성과 연구조직에서의 공정성 14
1. 연구조직의 특성 14
2. 연구인력의 특성 15
3. 연구조직에서의 공정성 16
제 4 절 조직공정성과 능동적 행동 간의 관계 17
제 5 절 권력거리성향(Power Distance Orientation) 19
제 6 절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 20
제 3 장 연구설계 및 방법 23
제 1 절 연구모형 23
제 2 절 자료수집 24
제 3 절 변수측정 26
제 4 절 분석방법 33
제 4장 분석결과 34
제 1 절 기초통계량 분석 34
제 2 절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 분석 37
제 3 절 상관관계 분석 46
제 4 절 측정모형분석 48
1. 다중공선성 진단 48
2. 확인적 요인분석 49
제 5 절 가설 검정 50
1. 조직공정성과 능동적 행동의 관계 50
2.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 52
제 5장 토론 55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55
제 2 절 연구의 함의 56
1. 이론적 함의 56
2. 실천적 함의 58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59
제 6장 결론 61
참고문헌 63
Abstract 74

표 목차 .
[표 3-1] 설문응답자 인구통계학적 특성 25
[표 3-2] 분배공정성 설문문항 26
[표 3-3] 절차공정성 설문문항 26
[표 3-4] 상호작용공정성 설문문항 27
[표 3-5] 발언 행동 설문문항 28
[표 3-6] 권력거리성향 설문문항 28
[표 3-7] 능동적 성격 설문문항 29
[표 3-8] 직무 자율성 설문문항 30
[표 3-9] 조직지원인식 설문문항 30
[표 3-10] 설문구성표 31
[표 3-11] 측정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결과 32
[표 4-1] 독립변수의 기초통계량 34
[표 4-2] 종속변수의 기초통계량 35
[표 4-3] 조절변수의 기초통계량 35
[표 4-4] 통제변수의 기초통계량 36
[표 4-5] 연령에 따른 변수 차이 분석 38
[표 4-6] 성별에 따른 변수 차이 분석 39
[표 4-7] 최종학력에 따른 변수 차이 분석 40
[표 4-8] 직종에 따른 변수 차이 분석 41
[표 4-9] 직위에 따른 변수 차이 분석 42
[표 4-10] 직급에 따른 변수 차이 분석 43
[표 4-11] 근속년수에 따른 변수 차이 분석 45
[표 4-12] 상관관계 분석 결과 46
[표 4-13] 다중공선성 진단 48
[표 4-14]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9
[표 4-15] 다중회귀분석 결과 51
[표 4-16]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54
[표 5-1] 가설검정 결과 55

그림 목차 .
[그림 3-1] 연구모형 23
-
dc.format.extentvii, 77-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직공정성-
dc.subject능동적 행동-
dc.subject발언 행동-
dc.subject권력거리성향-
dc.subject공공조직-
dc.subject한국전자통신연구원-
dc.subjectOrganizational justice-
dc.subjectProactive behavior-
dc.subjectVoice behavior-
dc.subjectPower distance orientation-
dc.subjectPublic Organization-
dc.subjectETRI-
dc.subject.ddc350-
dc.title공공부문 종사자의 조직공정성 인식과 능동적 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Proactive Behavior of Public Sector Worker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nghyun Lee-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1-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783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6▲000000000053▲00000016783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