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기업 이해관계자의 사회적 가치 인식 결정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social value of public corporation's stake-hold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성민

Advisor
김상헌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사회적 가치공기업이해관계자주요사업청렴도고객만족도Social ValueSOE(state-owned enterprise) Stake-holdersMajor BusinessIntegrityCustomer Satisfactio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1.8. 김상헌.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the recognition and interest in various problems in the execution process of public enterprises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social value-related policies while working in the department in charge of the promotion of the social value realization project of public enterprises. Above all, it has been focused on how the various projects promoted by public enterprises to implement the government's social value policy in the field affect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ocial values ​​of various stake-holders of the public enterprises.
In this study, SOE(state-owned enterprise)'s stake-holder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local residents, business partners, and internal employees, and the perception of SOE stake-holders' social value is the result of a social value contribution survey conducted by the government for SOEs from 2018 to 2019. It was measured through. This survey evaluates how local residents, business partners, and internal employees perceive SOEs' contribution to social values. In the management evaluation for public enterprises conducted by the government, the part (realization of social values, major business, integrity, customer satisfaction) that can be said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efforts to realize social values of public enterprises i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I analyzed how it affects to the change of the perception of social values.
First, from 2018 to 2019, when the government's survety for the contribution to social value was first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ception of social values of local residents, business partners, and internal employees. It was found that the efforts of public institutions to implement the projects for the social value realiz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ly on internal employees among the stake-holders of public enterprises. It was also a hopeful assumption that if public enterprises invest enormous resources in order to realize the government's social value realization policy and carry out various projects to realize social value, the perception of social value of local residents and business partners would naturally improve. Of course, it was a regrettable result even considering that the government's policy related to social value was not introduced for a long time, and the effect of the new policy took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The remaining factors, such as efforts to promote major projects and efforts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were also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ocial values ​​of each stakeholder, such as local residents, business partners, and internal employees. This proves tha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government's social value-related policies, local residents and business partners, who should be the ultimate beneficiaries of the policy, are not actually experiencing the effect of the policy.
I think that it is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reflect on whether it is because various projects for realizing social values of public enterprises are buried in achieving performance for evaluation rather than effective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ublic corporation's creation of major business outcomes and the public corporation's social value realization project. This can be inferred from the correlation that occurs because the degree of social value realization effort is included as an important evaluation factor in the government's management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erformance of major projects of public enterprises. In addition, it was interesting to see that integrity has a negative (+) correlation with public enterprises' core business outcomes. Finally,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SOE type, organization, and debt size set as the control variabl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ependent variable, and did not have an effect.
We are currently living in an era of infectious diseases represented by Corona 19. I think this is because we have lived with only economic benefits through infinite competition as the best value. In the future, in evaluat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OEs, the weight of evaluation of SOEs' efforts to create various social values ​​such as human rights, ethics, safety, health, and win-win growth will be greatly expanded rather than economic performance. The spread of sympathy and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external stake-holders such as local residents and business partners will determine the win or loss of the social value realization project carried out by public enterprises.
본 연구는 필자가 공기업의 사회적 가치 구현 사업의 추진 관련 주관부서에서 근무하면서 정부의 사회적 가치 관련 정책에 부응하기 위한 공기업의 사업 시행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한 인식과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무엇보다, 정부의 사회적 가치 정책을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해 공기업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들이 공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이해관계자들의 사회적 가치 인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주목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업의 이해관계자를 지역주민, 협력업체, 내부직원 등으로 크게 분류하고, 공기업 이해관계자의 사회적 가치 인식은 정부에서 공기업을 대상으로 2018년도부터 2019년도까지 2년간 실시한 사회적 가치 기여도 조사 결과를 통해 측정하였다. 이 조사에서는 지역주민, 협력업체, 내부직원이 공기업의 사회적 가치 기여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기업 대상 경영평가에 있어서 공기업의 사회적 가치 구현 노력을 가장 대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부분(사회적 가치 구현, 주요사업, 청렴도, 고객 만족도)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사회적 가치 인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보았다.
먼저, 정부의 사회적 가치 기여도 조사가 최초로 시행된 2018년도부터 2019년도까지 지역주민, 협력업체, 내부직원의 사회적 가치 인식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수 중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구현 사업 추진노력이 공기업의 이해관계자 중에서 내부직원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사회적 가치 구현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공기업에서 막대한 자원을 투입하면서 사회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면, 지역주민과 협력업체의 사회적 가치 인식이 당연히 좋아질 것이라는 가정은 역시 희망 사항이었다. 물론, 정부에서 추진한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정책을 도입한 역사가 오래되지 않았고, 새로운 정책이 효과를 나타낼 때까지 상당 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고도 아쉬운 결과라고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주요사업 추진노력, 고객만족도 향상 노력 등 나머지 요인도 역시 지역주민이나 협력업체, 내부직원 등 각각의 이해관계자의 사회적 가치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사회적 가치 관련 정책 추진에 있어, 정책의 최종적인 수혜자가 되어야 할 지역주민, 협력업체에서 그 정책의 효과를 실질적으로 체감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며, 정부의 사회적 가치 정책 방향과 공기업에서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각종 사업이 실효적 성과보다는 평가를 위한 성과 달성에 매몰되어 있기 때문이 아닌가에 대한 철저한 반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공기업의 주요사업 추진노력이 공기업의 사회적 가치 구현사업 추진노력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업의 주요사업 추진성과에 대한 정부의 경영평가 기준에 있어 사회적 가치 구현 노력의 정도가 중요한 평가요소로 포함되어 있어서 발생하게 되는 상관성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청렴도는 공기업의 주요사업 성과창출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흥미로운 부분이라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통제변수로 설정했던 공기업유형, 조직 및 부채규모는 종속변수와 유의미한 수준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으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우리는 현재 코로나19로 대변되는 전염병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것은 무한 경쟁을 통한 경제적 이익만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고 살아왔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향후, 공기업의 경영성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경제적 성과 보다는 인권, 윤리, 안전, 보건, 상생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공기업의 노력에 대한 평가 비중이 대폭 확대 될 것이다. 지역주민, 협력업체와 같은 외부 이해관계자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공감과 인식의 확산 여부가 공기업에서 수행하는 사회적 가치 구현 사업의 승패를 좌우하게 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79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9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