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동체 활동에 대응하는 재구조화된 교실의 '경계공간' 연구 : A Study on 'Spatial Boundary' for Group Activities in the Renovated Classroom : A Case Analysis of the "Classroom of Dreams" Project in Seoul
서울시 "꿈을 담은 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시언

Advisor
백진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경계 공간교실 리노베이션학교공간혁신 "꿈을 담은 교실" 사업교육 시설Spatial BoundaryClassroom Renovation“Classroom of Dreams” ProjectEducational Institutio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1.8. 백진.
Abstract
최근의 학력 인구 감소와 산업구조 변화에 의해 학교 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변화하였고,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과 놀이, 휴식을 보장하는 교육 환경 조성이 강조되었다. 개정 교육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공동체 활동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므로, 최근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학교공간혁신 사업은 단순한 노후화 시설 개선보다는 다양한 공동체의 활동을 수용하고, 대안적 형태의 수업에 대응하는 공간 구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학교의 의미를 단순히 지식 전달을 위한 물리적 시설물로 제한하고, 효율성을 강조하기 위해 적용된 편복도형의 획일적인 공간 구성을 유지하는 것은 개정 교육과정의 수업에 대응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교실과 외부, 교실과 복도와 같은 이분적인 공간 구성은 학생들의 공동체 활동을 수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학생과 선생님으로 이루어진 공동체의 학문적 활동이라는 현대 학교가 되찾고자 하는 학교의 본질적 의도나 취지에 맞는 기반을 제공하는 데에 한계를 가진다.

건축 경계가 공간의 영역을 결정하고 한 영역을 다른 영역과 매개한다는 관점에서, 오늘날 교실의 경계를 더는 이분적이고 고정적인 구분이 아닌, 학생 개인으로부터 같은 학급, 같은 학년 사이의 다양한 공동체의 활동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공간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벽, 문, 창문과 같은 면적인 요소의 경계는 공간의 내부와 외부, 닫힘과 열림의 이분적인 관계를 제시하고, 대립하는 두 영역 사이를 연결할 수 있지만, 사람의 행위를 수용할 수 없다. 그러나 대조되는 두 영역을 면으로 단절하는 대신 경계가 깊이감을 가지게 되어 공간으로서의 경계로 확장된다면, 사람의 행위를 수용하고, 개인과 공동체와 같은 대립되는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공간혁신 사업의 선례로써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서울시교육청의 꿈을 담은 교실 사업을 통해 개정 교육과정의 공동체 활동에 대응하는 영역을 경계공간으로 구성한 8개 초등학교를 사례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8개 초등학교의 1학년 보통교실의 경계공간이 매개하고 있는 영역에 따라 사례분석대상을 1) 교실과 복도 사이의 경계공간, 2) 이웃하는 교실 사이의 경계공간, 3) 교실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경계공간으로 분류하고, 다양한 수업에 대응하고 공동체 활동을 수용하는 경계공간이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고 활용되는지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8개 초등학교의 꿈을 담은 교실의 경계공간은 학교공간혁신사업의 디자인 원칙을 만족하면서도, 아침 감각 열기 시간, 중간 놀이 시간과 같은 각 학교의 구체적인 수업과 개정 교과과정에 대응하고 있다. 기존 교실의 면적인 형태의 경계벽을 재구조화하여 구현된 경계공간은 물리적으로는 교실 내부이지만 지각적으로는 교실 중앙의 수업 영역보다 더 외부적인 영역으로 인식되어, 선생님으로부터 전달받는 수업 외의 다양한 수업의 기반이 된다. 또, 새로운 경계요소 도입으로 구현된 경계공간은 재구조화된 바닥면이나 천장의 높이 차이를 통해 학생들은 수직적으로는 높이 변화를, 수평적으로는 내부공간에서 외부공간으로 이르는 과정에서 다양한 내외부공간의 레이어를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활동에 따라 같은 반 학생들 사이, 이웃하는 반의 학생들 사이, 같은 학년 학생들 사이의 다른 크기의 공동체를 수용하는 경계공간을 선택할 수 있고, 관계를 만들어나갈 수 있다.

이처럼 교실의 유휴공간을 경계공간으로 재구조화한 사례는 개정 교육과정의 다양한 수업에 대응하고, 공동체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수업 공간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결과로서 제시하는 초등학교 계획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보통교실에 대하여 학생들의 공동체 활동을 수용하고 개정 교육과정의 다양한 형태의 수업 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 경계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한 학년이 같은 복도를 공유하는 경우, 교실의 복도측면 경계벽을 면적인 형태 대신 공간으로서의 경계로 구현하여 다양한 크기의 공동체 활동에 대응하는 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더 나아가 지역 사회와 연계한 다양한 크기의 공동체에 대응하고, 학교의 본질적 의도인 공동체의 학문적 활동의 기반을 제공하는 경계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꿈을 담은 교실 사업이 진행된 초등학교의 보통교실을 통해 개정 교육과정의 공동체 활동에 대응하는 경계공간의 구현 방식과 건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지속적으로 진행될 학교공간혁신 사업을 비롯한 초등학교 계획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매개하는 영역에 따라 유형별로 사례를 분류하고 각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추후 지속적으로 진행될 사업의 기초자료를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The standardized school design in Korea represents a cram class, managing students effectively. Referencing the latest curriculum with the changing social needs, however, the Classroom of Dreams project, which has been implemen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s required to renovate classroom to ensure the childrens right to play, help children transition from kindergarten to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and shelter their group activities. Rather uniformly arranged classrooms and the locker-lined corridors, classrooms today would reclaim the notion of association of individuals who share a common endeavor, namely to pursue learning.



In terms of architectural boundary determines the area of space and mediates one area with another, the dichotomous relations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lassroom is no longer applicable for academic success. Two-dimensional boundaries, such as walls, doors, and windows cannot accommodate nor facilitate human behaviors, representing dichotomous relations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lassroom, and its solid openness and closure. On the other, spatial boundary, which is expanded to shelter and enhance community, mediates polarities and provides various layers between ones inside and the insides of others.

Therefore, the study is aimed to analyze how the spatial boundary is redesigned to build and extend the classroom community. The spatial boundaries in 8 first-grade classrooms, which are renovated by the Classroom of Dreams project, one of Seoul Educational Space Design Innovation Project, is classified as 1) the spatial boundary between classroom and corridor; 2) the spatial bundary between classrooms; 3) the spatial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lassroom.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the spatial boundaries of 8 Classroom of Dreams projects assure the design principles of Seoul Educational Space Design Innovation Project, responding to specific classes and innovative curriculum. The spatial boundary represents different layers of insideness of the classroom, and encourages various forms of communication during class, providing inventive strategies. First, the spatial boundaries between classroom and corridor create classroom community and enhance its community among neighboring classes who share the same corridor. The spatial boundaries between classrooms also bolster classroom community among neighboring classes and support various types of class, such as drama class and playgroup activities. Lastly, the spatial boundaries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lassroom, as well as other cases, promote varied classroom activities and enhance student community, especially among students in the same class.

Therefore, the spatial boundary in the renovated classroom constitutes a unique condition for the extended classroom community, allowing students to engage in diverse group activities. Depending on classroom activity, students and teachers would choose a spatial boundary that accommodates different sizes of communit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79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57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