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무원의 SNS 활용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 Verific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SNS Utilization and Quality of life of public servan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mparison Theory
사회비교이론 관점에서 본 공공봉사동기 차이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일웅

Advisor
이수영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삶의 질공공봉사동기SNS 활용사회비교이론SNS utilizationquality of lifepublic service motivationsocial comparison the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21.8. 이수영.
Abstract
2020년 1분기 기준 현재 한국의 SNS 이용률은 87%로 세계 평균(49%)의 1.8배에 육박하며 전 세계에서 아랍에미리트연합(99%)과 대만(88%)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으로, 2020년 3월 기준 국내 SNS 이용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5.2% 증가한 3,550만 명에 이르는 만큼(노정연, 2020) SNS는 우리 국민의 일상에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공직생활을 하고 있는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에 따르면, 주변의 동료 공무원들은 매일 회사와 집을 왕복하는 자신과 달리 SNS를 통해 들여다보는 타인의 삶은 모두 여유롭고, 행복하고 편하게 사는 것만 같다는 생각을 하면서 그들과의 비교를 통해 우울, 피로, 불만 등을 느끼며 자신의 삶의 질이 낮다고 평가하는 경우를 종종 보았기 때문에 SNS 활용은 공무원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라는 물음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만약 SNS의 부정적인 효과로 인해 미래 정부조직 구성원의 삶의 질이 심각하게 저하된다면, 공무원 개인의 근로 동기 감소와 역량 저하는 물론이고 공공조직의 기능과 성과, 그리고 국민들이 체감하는 행정서비스의 질 역시 과거 또는 세계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더 나은 수준을 보이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우려도 충분히 가능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Festinger(1954)의 사회비교이론(Social Comparison Theory) 관점에서 SNS 활용이 공무원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공무원의 SNS 활용을 독립변수로,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두 변수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고,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 수준의 차이에 따라 공무원의 SNS 활용이 공무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절효과의 유의성도 검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5급 공채 출신 국가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7일부터 2021년 5월 11일 동안 Google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62명의 표본을 획득하였다.
분석 결과, 공무원의 SNS 활용과 관련한 6개의 독립변수 중 뚜렷한 목적을 갖는 SNS 활동 정도를 제외한 5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삶의 질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SNS 이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SNS 몰입 수준이 클수록, SNS 상 개인정보 공개 정도가 높을수록, SNS 활동 중 지인의 일상을 관찰하는 행위가 많을수록, SNS 활동 중 모르는 사람의 일상을 관찰하는 행위가 많을수록 공무원의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공공봉사동기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 수준은 SNS 활용과 관련한 6개의 독립변수 중 SNS 이용시간, SNS 몰입수준, 뚜렷한 목적을 갖는 SNS 활동, 모르는 사람의 일상 관찰 정도의 4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삶의 질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가 갖는 정책적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공무원의 SNS 활용은 자연스러운 시대적 흐름과 대세라는 사실을 고려한 인사 및 복지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오늘날 공공조직의 인사 및 복지정책을 구상하고 시행할 때 SNS를 고려하지 않기에는 SNS 이용자의 생활 방식, 태도, 삶에 대한 만족 등에 미치는 SNS의 영향력이 너무 크고 특히 미래에 공직에 입직하게 될 사람들에게 SNS는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가 될 것이기 때문에 향후 공무원 인사정책 담당자는 오늘날 공직에 입직하는 세대는 SNS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타인의 일상을 들여다보며 비교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는 것에 익숙한 세대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민간 영역의 효율적이고 혁신적이며 바람직한 조직 문화 및 업무 노하우를 공직사회에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공무원들은 민간 기업의 혁신적인 변화를 SNS가 보급되기 이전에는 민간영역에 종사하는 지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말로만 듣는데 그쳤다면 오늘날에는 그것들이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어 공직사회의 모습과 쉽게 비교할 수 있다. 물론 공직사회는 공공성을 띈 이유로 각종 규정에 의한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는 부분도 분명히 존재하지만 민간영역의 우수사례에 대한 적극적인 벤치마킹을 통해 민간영역의 혁신의 혜택을 공무원들도 누릴 수 있도록 한다면 SNS를 통해 민간영역과의 비교를 통해 느끼는 공무원들의 저하된 사기를 진작시키고 일상과 삶의 만족도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공직사회에 공무원의 적극적인 SNS 활용을 장려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자신의 모습이나 취미, 신념, 가치관 등을 다수에게 드러내는 장소인 SNS 상에서 공직사회 내부의 폐쇄적인 문화와 관습으로 인해 공무원은 SNS 이용의 자율성 측면에 있어서 약자의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미래의 공직사회는 개인의 SNS 활동을 자제하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자신의 강점을 외부에 어필하고 자랑할 수 있는 개인의 SNS 활동에 우호적인 조직 문화를 조성해야 하고 또한 그러한 조직 구성원의 SNS 활동을 정부 조직 홍보나 공직사회 이미지 개선 등에 적극 활용한다면 SNS 활용은 공직사회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를 제고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확충되어야 한다. 분석 결과 공공봉사동기가 높은 사람일수록 SNS 활용이 공무원의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조직 내 여러 교육훈련을 통해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 외에도 조직 구성원의 공공봉사동기 수준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킨다면 이들이 SNS를 이용 할 때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느끼는 우울감이나 공직에 대한 회의감, 불만족과 같은 SNS가 이용자에게 발생시키는 부작용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민간근로자와 비교한 공무원 보수수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SNS의 활용이 증가하는 요즘에는 민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공무원의 보수 수준 또는 때때로 정치·사회문제와 결부되어 삭감·조정되는 공무원의 보수 불안정성으로 인해 공무원이 SNS를 이용하면서 민간근로자와의 비교를 통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직장 및 삶에 대한 만족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기에 민간근로자와 비교한 공무원 보수수준의 지속적 개선을 통해 공무원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줄일 필요가 있다.
다만, 본 연구의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한계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첫째, 연구 수행 시기가 갖는 상황적 한계이다. 본 연구를 수행한 2021년은 코로나19 감염병의 창궐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놓여있던 시기이기 때문에 평상시와 다른 설문조사 응답자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가 공무원의 SNS 활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에 있어 변수 간 관계에 혼란요소로 작용하였을 수 있어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코로나19 상황이 종식되고 난 이후에 유사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표본 수집 대상 및 방법의 한계이다. 연구를 위한 데이터가 5급 공채 출신 공무원을 대상으로 수집되어, 연구 결과를 다른 채용 시험을 통해 입직한 공무원에게까지 확대 적용하는데 있어 갖는 일정한 한계와, 표본 수집이 무작위 선별이 아닌 연구자의 5급 공채 시험 동기인 지인들을 중심으로 하여 그들의 직장 동료들로 확산해 나가는 형태로 이루어진 이유로 본 연구의 모집단인 5급 공채 출신 국가직 공무원을 충분히 대표하지 못하였을 수도 있는 한계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역의 인과관계 가능성의 한계이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를 2021년으로 한정하고, 1회의 설문조사를 통해 응답자의 SNS 활용 현황과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종속변수가 독립변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수 있다는 해석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추후 유사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동일한 응답자에 대해 충분한 시간을 두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측정하거나 종속변수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는 등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역의 인과관계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 자료 수집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SNS 플랫폼의 종류에 따른 이용자의 이용 특성의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한계이다. 이용자마다 이용하는 SNS 플랫폼의 종류, 개수, 이용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응답자가 이용하는 SNS 플랫폼 종류까지도 연구 결과를 분석함에 있어 고려했었더라면 보다 세밀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 분석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다섯째,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 발생 가능성의 한계이다. 본 연구는 1회의 설문조사를 통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측정하였는데 두 변수 간의 보다 정확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자료 수집 과정에 있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시차를 두고 측정한다든지, 측정 환경을 달리한다든지, 문항 순서를 변경한다든지 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동일방법편의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s of the first quarter of 2020,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utilization rate of the Republic of Korea is 87%, nearly 1.8 times the world average, marking the third highest rate following 99% of United Arab Emirates and 88% of Taiwan. The number of domestic SNS users in March 2020 has grown to nearly 35.5 million, an increase of 15.2% compared to the same month of the previous year(No, 2020). SNS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of daily life. According to my experience as a public servant, my fellow workers compare their regular everyday lives with others' seemingly more comfortable and happy lives on SNS, only to cause fatigue, depression, and stress, which more often than not lead to themselves feeling like their lives are inferior in comparison. This has formed the research question of whether or not SNS has negative impact on the life of civil servants. If the negative impacts caused by SNS undermine the life quality of future government employees, it is reasonable enough to assume that not only the individuals' motivation and capability but the organizations' functionality and achievements, and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 will be compromised, resulting in no better performance than itself in the past or other countries in the present.
With this awareness, this paper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using SNS have negative impact on the life quality of public servants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Comparison Theory of Festinger(1954). This paper sets independent variable as SNS utilization of public servants, and the dependent variable as the quality of life in order to exa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Research data is collected from Google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s by a total of 162 state public officials who passed the Open Competitive Examination for grade 5.
As a result, among 6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public servants' SNS utilization, 5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SNS activity with clear goals, are found to have negative impact on the life quality, the dependent variable; It is found that the longer the time spent on SNS, the greater the level of immersion in the SNS, the higher the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on SNS, the more acts of observing daily lives of acquaintances on SNS, and the more acts of observing daily lives of unknown people on SNS, the life quality of public servants diminishes. In regards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level, it is found to have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4 out of 6 SNS-related variables(the amount of time spent on SNS, SNS immersion level, SNS activity with clear goal, the degree of observing strangers' daily lives) on the life quality.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uman resources and welfare policy should consider that the use of SNS is the trend of the times. The impact of SNS on the users life style, attitude, satisfaction is too great for today's public organizations to not consider SNS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HR and welfare policies. Especially for potential civil servants, SNS will be essential, not optional, the HR officer for public servants should be aware that potential candidates are accustomed to express themselves, look into and compare the lives of other people with their lives while attaining various information in SNS. Second, effective, innovative, and desirable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 know-how in the private sector should be actively adopted in public service. Before the spread of SNS, public servants only had indirect experience on private sectors; However today, innovations in private sectors are shared directly through SNS in real-time, resulting in comparison between the two. Although public sector, with its public nature, is restricted by rules and regulations, best practices in civil sector can be benchmarked to spread benefits of innovation across the public sector; It could be helpful in enhancing the morale of public employees once deteriorated by comparison in SNS, and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daily life. Third, public officials should be encouraged to use SNS. SNS is a platform people demonstrate their appearance, hobbies, faiths, and values to others, which makes public officials, surrounded by closed-minded culture and custom inside the public service, hard to use SNS freely. The future public service should create an SNS-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encourages, not restrain, users to actively appeal and show off their strengths; Their involvement in social platforms can be utilized for the sake of public service, such as public relations and reputation improvement. Fourth, education/training programs to enha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e analysis result demonstrates that public servants with higher public service motivation are less vulnerable to the negative impact of SNS on life quality. Thus, enhanc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across public sectors, through various education/training programs, the negative impacts of SNS on its users, such as depression, pessimism, and dissatisfaction, will be minimized. Fif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vel of remuneration of public employees compared to private workers. In these days when the use of SNS is increasing, due to the relatively low level of remuneration of public employees compared to the private sector or the instability of the remuneration of public employees which is sometimes reduced or adjusted in connection with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there is a risk that public employeessubjective satisfaction at work or life may be reduced while using SNS. So,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relative deprivation of public employees through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remuneration level of civil servants compared to private worker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lies on aspects as follows. First, situational limitation of the research perio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2021, which puts the research into abnormal environment of the spread of COVID-19 pandemic.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as in physically and mentally confusing condition, which is a potential distraction in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us, simila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after the end of COVID-19 situation for more accurate analysis. Second, the limitation of methodology and sample collection. Because the samples for the research are collected by public servants who passed Open Competitive Examination for grade 5,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in expanding and applying the research results to public servants employed through other channels. Also, the samples were not chosen randomly, but selected by my colleagues, and spread from them, which may undermines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s. Thir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can be the opposite. Sin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only a year, and surveyed a person once, the opposit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it's actually dependent variable that affects independent variable, not the other way around, can not be ruled out. Therefore, if the similar research is conducted in the future, th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more than once to the same person for a longer period, and measure the degree of change between the variables to resolve this reverse causation issue. Fourth, difference between SNS users in different platforms were not considered enough. Each users use different type, number, portion in using SNS platform, so it would be more thorough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f the type of SNS platform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Fifth, the possibility of common method bias. This research measure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in one survey. However, to minimize the common method bias in collecting the data, it would be better to conduct the research in different time and place, or to change the sequence of questionnair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79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9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