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금속 판재 단면을 활용한 기물의 조형성 연구 : Formative Study on Applying the Cross-Section of Metal Sheets: Centralized on Rims of Vessels
기물의 전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이랑

Advisor
백경찬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금속 판재 단면기물경계면조형성Metal Sheet Cross-sectionVesselRimBoundary PlaneFormative Characteristic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공예전공, 2021.8. 백경찬.
Abstract
이 연구는 금속 판재의 구조적 특성 중에서도 단면을 집중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조형의 주된 요소로 활용하여 전과 전에서 확장된 벽의 일부를 중심으로 기물을 제작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기물은 담는 목적의 공간과 이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져 있다. 외피는 공간을 감싼 껍질과 같은 구조를 보이므로, 껍질처럼 얇고 넓은 형태를 만들기 적합한 금속 판재가 기물 제작에 널리 사용되었다. 금속 판재의 구조적 특성은 완성된 기물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나는데, 특히 기물의 전 부분에서 판재의 얇은 두께가 드러나는 것이 문제점으로 인식되어왔다. 따라서 금속공예가는 기물을 제작할 때 여러 방법을 통해 판재 단면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왔다.
판재의 2차원적 특성을 바탕으로, 입체 조형 분야에서는 단면의 성질을 특징적으로 보여주는 조형이 주로 진행되었다. 조형물부터 기물까지 다양한 조형 사례를 분석한 결과, 단면이 선(線)으로 표현되는 것은 물론 결합 구조로까지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물은 무언가를 담을 수 있게 비운 공간과 그 외피를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가 분리되므로, 외피의 구조는 판재의 특성과 유사하다. 이 연구에서는 외피를 경계면이라 명명하고 언어적으로 파악하여 분석하는 한편, 경계면을 바닥에서 시작하여 벽을 구성하고 전으로 끝맺는 형태로 상정하였다. 경계면에 드러난 단면을 조형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단면을 보완하거나 조형의 요소로 활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단면이 선으로 표현되기도 하고 결합 구조로 나타나기도 하며 기물에서 조형 요소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판재 단면의 조형적 특성에 대한 이론 탐색과 기물의 조형성에 대한 탐구를 기반으로, 기물의 전과 전에서 확장된 벽의 일부를 대상으로 작품 연구를 진행하였다. 압연 공정을 거친 금속 판재를 재료로 사용하였으며, 기물에서 판재의 단면이 주는 선적인 인상과 그 처리에 집중하여 이를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단면의 선(線)과 색면이다. 우선 단면의 선 변화는 말아 붙이기를 변형한 겹쳐 붙이기와 엇갈려 붙이기를 통해 벽의 접합 방식에 변화를 가한 다음, 여기에서 나타나는 판재 단면 선의 변화를 활용하였다. 다음으로는 판재 기물에 옻칠과 황화칼륨 착색을 통한 2차원적 색면을 적용하여 단면을 강조하거나 완화하거나 하였다.
둘째, 전 형태의 변화다. 실린더 형태로 벽의 형태를 제한하고 전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뒤틀린 구조의 전을 제작한 후 이것을 벽의 상단부에 접합하였으며, 접합된 판재의 면과 벽의 단면이 복합적으로 기물의 전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면 접합을 통한 전의 확장은 실린더 상단에 접합한 면을 통해서, 이중 구조와 전은 두 개의 실린더 사이를 잇는 전을 덧붙여 전 부분의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셋째, 전에서 벽으로의 구조적 변형이다. 한 장의 긴 판재를 비틀어서 말아 올리면 단면이 만드는 선이 기물의 형태를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며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하여 비틀린 형태를 구상하였다. 전에서 벽으로 변형되는 구조가 잘 표현될 수 있도록 단면을 선과 접합의 요소로 모두 활용하여 기물을 제작해보았다.
이상으로 진행된 금속 판재 단면을 중심으로 한 조형성 연구는 기물의 담는 기능을 충족하면서도, 제작에 사용된 금속 판재 및 단면의 고유한 성질과 심미성을 충분히 활용한 것으로, 판재의 단면 처리에 중점을 둔 다양한 조형 방법과 그 조형성을 다각도에서 살펴보았다. 나아가 금속 판재의 단면을 조형적 표현의 요소로 해석하여, 전과 전에서 확장된 벽의 일부를 대상으로 기물의 경계면을 제작하였고, 이를 통해 얇은 두께 때문에 금속공예 기물 작업에서 문제점으로 인식되곤 했던 단면의 조형 가능성을 탐색해 볼 수 있었다. 판재 기물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단면 노출이라는 단점을 숨기는 대신, 선적인 조형 요소로 해석하여 전이라는 기능적 측면을 넘어 기물 전체의 조형적 성격을 규정하는 데까지 적극적으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oroughly understand the cross-section amo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etal sheets, and apply it as the main element in making a vessel, that centers on the connected walls from rim to rim.
A vessel is shaped for the purpose of filling and is composed of space surrounded by an exterior. Since the exterior has a shell-like structure that encloses the space, metal sheets, suitable for making thin and wide forms, have been widely used in making vessel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etal sheets appear even in the finished piece, especially the thinness of the metal sheet on the rim of the vessel, has been perceived as a problem. Thus, metal craftsmen have been solving this issue by supplementing the sheets cross-section through various methods when making vessels.
Based on the two-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etal sheet and in the field of form composition, forms that characteristically show the properties of the cross-section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f analyzing various forms, ranging from sculptures to vessels, it was confirmed that the cross-section is expressed as a line, as well as a combined structure. Since the vessels interior is separated from its exterior by the emptied space to fill, the structure of the outer shell is similar to that of the sheets characteristic. In this study, the outer shell is referred to and linguistically identified and analyzed as the boundary plane; however, is also the boundary plane presented to be in the form of starting from the floor, constructing a wall, and ending with the rim. By analyzing the cases of supplementing the cross-section or using formative element to handle the cross-section exposed at the boundary, the cross-section is sometimes expressed as a line and a combined structure, used in various ways as a formative element in a vessel.
Based on the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etal sheets cross-sec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vessels, the research work was progressed with the wall portion extended from rim to rim of the vessel. Metal sheets that have undergone a rolling process were used as materials, and the process was carried out by focusing on the linear impression and the treatment of the sheets cross-section as follows.
First is the line and color plane of the cross-section. Primarily, to transform the line of the cross-section, change in the joining method of the walls were applied through overlap joining and cross joining methods, which were modified from the roll and joining method, and then the change in the cross-section line of the sheet was utilized. Next, a two-dimensional color surface through ottchil and potassium sulfide coloring was applied to the sheet to emphasize or alleviate the cross-section.
Second is the change of the rims form. The form of the wall was limited to a cylinder in order for the research to be focused on the rim. After making the warp-structured rim, it was join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ll. Moreover, the surface of the joined sheet and the cross-section of the wall complexly expressed to appear as the vessels rim. The rims expansion through joining the surface was examined by the surface joined to the cylinder top while the double layer and rim was examined taking in mi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m connecting the two cylinders.
Third is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from the rim to the wall. The twisted form was conceived by having in mind the fact that when a long metal sheet is twisted and rolled up, the line created by the cross-section appears diagonally across the form of the vessel. In order to express the structure that transforms from the rim to the wall, the cross-section was used both as a line and a joint element to make the vessels.
Ultimately, this formative research centered on the cross-section of metal sheets, satisfies the function of filling the vessel, while fully utilizing the unique properties and aesthetics of the metal sheet and cross-section applied. As a result, various formative methods focusing on the cross-section of the metal sheet and their formation were examined from various angles. Furthermore, by interpreting the cross-section of the metal sheet as an element of formative expression, the boundary plane of the vessel was made as part of the wall which was extended from rim to rim.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formative possibilities of the cross-section, which originally was often recognized as a problem in metalwork because of its thin thickness. Instead of hiding the cross-sectional exposure that inevitably occurs in sheet vessels, the rim is interpreted as a linear formative element and actively expanded beyond its functional aspect that defines the vessels whole formative nature which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83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72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