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꿈의 기록을 통한 내면세계의 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piction of the Inner World Expressed through Documentation of Dreams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백효훈

Advisor
김춘수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꿈의 연속성기록동시성거울내면세계내면의 타자DreamContinuity of dreamsRecordSynchronicityMirrorInner worldThe other withi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서양화과, 2021.8. 김춘수.
Abstract
Upon experiencing it through dreams, my work illustrates one's inner world. Continuous interaction between fantasy and reality led to documentation of it in a journal and drawing. However, since vision is doubtlessly personal, the validity and significance of an act of its portrayal and academic analysis are inevitably viewed with skepticism. Regrettably, a dream has interpretative limitations stemmed from its fundamental attribute despite all the research regarding human subconsciousness; thus, unavoidable ambiguity takes root in current discourse.
The academic ground of this analysis is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This paper interprets dreams by adapting synchronicity: the meaningful coincidental consonance between a distinctive psychological state and external events that often correlate with the archetypes densely weaved into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is theory can provide a psychological explanation to simultaneous or recurrent phenomenons transcending physical restraints, mainly time and space.
By classifying into two discrete categories of 'self' and 'others,' I applied the comparison analysis method to interpret subjects that take a pivotal role in the main context of the dream. In the realm of subconsciousness, my identity hovers between material one and extant being whom I designated as 'the spirit.' This interdependent relationship lasted over a decade developed a narrative, which subsequently shaped itself as a distinguished myth. The creation and cognition of 'private myth' function as a bedrock of self-improvement; thus, the further mythological study holds the potential to enlighten humankind's latent, spiritual ability, as Joseph Campbell's research emphasized. Notable imagery of mythical 'others,' which excerpted from my enshrined dreams, includes wounded animals—primarily detached from my state of reality to a large degree—and a black moon.
To explain another case of the optical extract, I described the lingering emotion of lamentation provoked when undergoing a significant loss delineated in my work and augmented analysis by providing an experiential backdrop. A picture plane is a liminal space between dream and reality; I vividly describe my emotional antiphon to accentuate this underlying concept of painting as a memoir or replica for dreams. The mirror image initiates the crucial role of the medium connecting myself revealed through dream and 'the spirit.' Furthermore, a comparison between the solid material form and the manifested form of the mirror in the dream results in the enhancement of the mirror's aspect as a psychological/spiritual passageway, in addition to the physical trait of reflection.
By adopting and enacting a visualization process, space and object adhering idiosyncratic characteristics are drawn out from the void. Through endeavor to fully reenact my dream experience, the contour of objects is blurred; scarcity of light sources emanates an abstract chiaroscuro. In this process, Korean mulberry paper(장지, Jang-Ji) serves as an excellent foundation for depicting profound darkness as it tolerates a sufficient amount of water-based paint. Subsequent procedure regards excavating figures and imageries from the tranquil space rendered on the surface, which spanned to an unfathomable shade of black. Finally, repetition flickering amid absorption of fibrous ground and deluge of sentiment is easily altered into the dialogue with the other-self: the conclusive phase of self-restoration. By deciphering and recording it in a figurative manner, I ruminate the connotation of a dream as an essential part of life, reclaiming the facts of my existence.
나의 작업은 꿈을 통해 경험한 나의 내면세계를 회화로 표현하는 것이다. 꿈이 현실과 상호작용하는 특이한 경험을 반복하면서 나는 이를 글과 드로잉으로 별도의 일기장을 만들어 기록하기 시작하였다. 사적영역인 꿈의 세계를 회화로 표현하고 학문의 영역에서 다루는 것은 그 타당성과 가치 확보의 측면에서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꿈과 무의식에 관한 인간의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꿈이 가진 본질적 성격과 해석의 한계로 인해 현실에서의 논의를 모호한 것으로 만드는 것은 안타깝지만 현재로서는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꿈과 관련된 학문적 근거로 나는 칼 G. 융의 분석심리학을 빌어 서술하였다. 꿈의 특성으로 본 논문에서 중요하게 언급되는 동시성 원리는 인간의 내면세계를 탐구하면서 마주치는 독특한 심리상태와 외부 사건의 일치라는 우연처럼 보이는 심리현상들이 집단무의식의 구조를 구성하는 원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보며 특히 시간과 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벗어나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이야기한다.
꿈에서 만나는 대상들은 꿈의 내용과 더불어 나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이를 나와 타자로 크게 나누어 그 성격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꿈에서 나는 현실의 나와 영적인 존재로서 내가 spirit이라 이름 붙인 존재 사이를 오간다. 이는 십여 년에 걸쳐 이루어지는 관계로서 둘 사이의 내러티브가 쌓여 하나의 신화로 그 성격이 변모하게 된다. 조셉 캠벨은 신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류 속의 영적 잠재력을 일깨우며 특히 한 개인의 성장을 위한 개인적인 신화의 발견과 인식을 강조한다. 타자로서 꿈속에 조우한 대상들 중에서 나는 현실의 나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상처 입은 모습으로 등장한 동물과 검은 모습으로 등장한 달을 주요 소재로 언급했다. 나와 현실세계에서 인연을 맺었다가 사망한 대상이 꿈에서 등장한 경우를 별도로 다루었는데 그 대상을 그리면서 느꼈던 애도의 감정을 사연과 함께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회화는 꿈의 기록이자 꿈과 다시 만나는 공간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나의 정서적 반응을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했다. 거울은 꿈과 현실의 매개체, 꿈속의 나와 spirit의 매개체로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현실의 거울과 꿈속의 거울을 비교하면서 반사의 물리적 성격에 더해진 심리적, 영적 통로로서의 거울을 부각시킨다.
꿈속의 공간과 대상은 가시화 되면서 색과 형태를 드러내지만 현실의 것과는 성격과 분위기가 달라야 한다. 나의 꿈속 체험에서 형상의 경계의 선명도와 광원의 부재에 따라 달라진 명암법의 적용은 최대한 꿈을 비슷하게 재현하려는 노력과 시도의 결과물이다. 또한 바탕재로 사용하는 장지는 물감을 충분히 머금어주어 깊은 어둠의 표현에 적합하다. 작업은 깊이 있는 어둠에 도달한 화면의 고요한 공간감 속에서 표현하고자하는 꿈속의 대상을 화면으로 서서히 이끌고 나오듯이 진행된다. 또 다른 나와 대화를 나누듯 나는 장지와 감정과 정서를 흡수하고 분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스스로 치유의 단계로까지 나아간다.
나는 삶의 한 부분으로서 꿈이 가진 의미와 이를 조형적으로 해석하고 기록한 작업을 통해서 각각의 꿈 경험에 대해 다시금 반추해보면서 현실과 나를 재발견하고자 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84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31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