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나효신 작곡 해금과 피아노를 위한 이중주 〈해금 베짜기〉 분석연구 : An Analysis of Haegeum and Piano Duet 〈Haegeum weaving〉, Composed by Hyo-shin N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변주현

Advisor
노은아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나효신해금베짜기해금이중주국악창작곡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1.8. 노은아.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 a duet for the Haegeum and the Piano by the composer Hyo-shin Na and examine its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deriving the execut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for the musical structure of , it was divided into 4 paragraphs of Ⅰ, Ⅱ, Ⅲ and Ⅳ considering a stream of the melody and a change of the tempo. In addition, the detailed analysis in terms of a change of a motive within each paragraph shows that melodies of the piece are composed of the thematic and modified melodies, forming a sequence. Also changes in harmony and motif are suggestive of the paragraph changed or the thematic melody modified.
Secondly, in the piece, melodies of the Haegeum and the piano exchange those of the central tone to represent a feeling of weaving. Furthermore, elements of percussion appeared in the piano melody imitated the Korean traditional rhythms.
Thirdly, the study investigated fingering of and identified its 7 positions considering the register and tonality, including E♭4, F4, A♭4, G4A♭4(a mixed type), B♭4, C5, E♭5, so it resulted in six types of fingering.
Fourthly, as for the bowing of the piece, appoggiatura connected to a main tone is played with a single bow and a unison ornament for the effect of Ingeojil is played with each bow. The slur, slur staccato and portato presented by the composer are used in an identical direction by selecting the bowing effective for connecting phrases. Besides, a sounding point appeared in the paragraph Ⅳ maximizes the dynamic using each bow. As such, in order to express the dynamic stream of the piece effectively, adequate consideration of bowing elements is needed for performance including a direction, speed, length, pressure and an angle of a bow.
Fifthly, for the effective play of the piece, techniques unique to Haegeum may be summarized into techniques using fingering by the left hand and those using bowing by the right hand. Techniques using fingering include an ornament, Nonghyeon, portamento and those using bowing contain Ingeojil, staccato and portato.
As shown in above, in , a duet for the Haegeum and the Piano by Hyo-shin Na, Western and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are needed to coexist, reflecting the musical perspective of the composer, but never to lose their own colors.
The analysis conduct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Haegeum players'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of the entire piece. In addition,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paper will be extensively used for research of creative music and contribute to expanding the areas of creative Haegeum music.
본 연구는 작곡가 나효신의 해금과 피아노를 위한 이중주〈해금 베짜기〉를 분석하여 악곡의 구조와 특징을 밝히고, 이에 따른 연주법을 도출한 논문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해금 베짜기〉의 악곡 구조는 선율의 흐름과 템포의 변화를 고려하여 Ⅰ, Ⅱ, Ⅲ, Ⅳ 4개의 단락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락 내 동기의 변화에 따라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악곡의 선율은 주제 선율과 그에 따른 변형 선율로 이루어져 반복 진행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단락이 바뀌거나 주제 선율이 변형되어 등장할 때 화성과 악상에 변화를 주어 이를 미리 암시한다.
둘째, 본 곡의 해금과 피아노의 선율은 마치 베를 짜는 느낌을 형상화하기 위해 중심음 구조의 선율을 서로 주고받는다. 또한 피아노 선율에서 타악기적인 요소들이 나타나는데, 이는 한국의 전통 장단을 모방했다.
셋째, 본 곡의 연주법 중 운지법을 살펴본 결과 음역대와 조성을 고려한〈해금 베짜기〉의 포지션은 총 7개로 E♭4, F4, A♭4, G4A♭4(혼합형), B♭4, C5, E♭5 포지션이며, 이에 따른 6가지의 운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넷째, 본 곡의 운궁법을 정리하면, 앞꾸밈음은 본음과 연결하여 한 활로 연주하며, 잉어질의 효과를 주기 위한 동음 꾸밈음은 각 활로 연주한다. 작곡가가 제시한 이음줄 또는 이음줄 스타카토, 포르타토의 경우 각 악구의 프레이즈 연결에 효과적인 운궁을 선택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사용하며, Ⅳ단락에 등장하는 사운딩 포인트는 각 활을 사용하여 다이내믹을 극대화한다. 이와 같이 악곡의 흐름, 다이내믹의 효과적인 표현을 위하여 활의 방향 및 속도, 길이, 압력, 각도 등의 운궁의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연주하여야 한다.
다섯째, 본 곡의 효과적인 연주를 위한 해금의 특징적인 표현법을 왼손에 의한 운지를 활용한 표현법, 오른손에 의한 운궁을 활용한 표현법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운지를 활용한 표현법은 꾸밈음, 농현, 포르타멘토, 운궁을 활용한 표현법으로는 잉어질과 스타카토, 포르타토가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나효신 작곡 해금과 피아노를 위한 이중주〈해금 베짜기〉는 작곡가의 음악관에 따라 서양악기와 한국 악기가 서로 공존하되 각각의 악기가 본연의 색채를 잃지 않고 연주해야 한다.
앞으로 이러한 분석이 해금 연주자들의 전반적인 악곡의 이해를 도와 실질적인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본 논문이 창작음악 연구에 적극 활용되어 앞으로 해금 창작음악의 영역이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85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99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