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도시 일상레저로서 달리기 구간의 유형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Running Segments in Cities : Focused on Seoul City
서울시를 대상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종상-
dc.contributor.author박지희-
dc.date.accessioned2022-04-20T07:45:47Z-
dc.date.available2022-04-20T07:45:47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00000016834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8862-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344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1.8. 성종상.-
dc.description.abstract달리기는 특별한 장비와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손쉽게 접근 가능한 운동으로서 도시의 일상레저로 자리 잡고 있다. 달리기를 단순한 신체운동으로 보는 것에서 더 나아가 달리기 문화를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커뮤니티를 만들어내고, 달리기라는 활동을 통해 도시 공간을 보다 적극적으로 체험하고 즐기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달리기에 대한 관심 증대에 비해 달리기에 대한 현상을 파악하고 달리기가 발생하는 도시 공간을 분석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가로공간에 관한 연구는 보행에 집중되어 있어 달리기 활동의 관점에서 공간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달리기 활동을 실질적으로 파악한 GPS 기록들을 활용하여 도시에서 달리기 활동이 어떤 양상을 띠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달리기 활동 추적 어플리케이션의 GPS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시 내 389개 달리기 구간을 추출하였다. 달리기 구간이 도심, 하천, 산지, 근린공원 등 다양한 지리적 위치에 입지하고 있어, 공간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의 틀을 도출하였고 이후 분석의 결과 값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서울시 내 달리기 구간을 유형화 하여 공간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분류 된 네 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경사가 급하고 노면의 변화가 급격한 ⓵급경사-다변화 구간, 경사도가 연속적으로 계속되는 ⓶연속 급경사구간, 경사가 완면하고 노면이 평탄한 ⓷완경사-편의성이 높은 구간, 경사가 완만하고 녹시율이 높은 ⓸완경사-높은 녹시율이 높은 구간이다.
달리기 구간은 쾌적하고 편의성이 높은 곳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지만, 구간의 위요도, 구간의 형태 등에 따라 편의성의 구간을 세분화 해 볼 수 있으며 달리기의 목적 및 운동의 강도에 따라 선택하는 구간이 다름을 파악하였다.
또한 경사가 완만하고 노면의 편의성이 높은 구간 이외에도 경사가 급한 구간, 비포장 구간, 노면의 변화가 다양한 구간 등 다양한 환경에서 달리기 활동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가로공간의 접근성과 편의성 이외에도 다양한 경관, 높은 자연성, 다채로운 경사 등도 달리기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 특성임을 도출하였다.
실질적 달리기 활동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행연구가 부족한 달리기 활동을 공간적으로 파악하고 달리기가 발생하는 가로 공간을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연구에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Running does not require special equipment and skills and has become an easy-to-access sport, becoming the city's daily leisure. There is a movement to create a community that wants to share the culture of running together and to experience and enjoy urban space more deep and actively through running. However, compared to growing interest in running activiti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identifies the phenomenon of running and analyzes urban spaces where running occurs. In particular, the study of Urban street is focused on walking,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pace in terms of run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atterns of running activities in cities by utilizing GPS records that have substantially identified running activities. Using GPS data from the running activity tracking application, 389 running segments in Seoul were extracted. As the running segment is located in various geographical locations such as downtown, streams, mountain and neighborhood parks the framework for comprehensive analysis of space was derived. Afterwards,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o identify aspects of the running segments in Seoul. The four types classifie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are: ⓵ Steep slope-multi-change segments, ⓶ Continuous steep slope segments ⓷ Smooth slope-high convenience ⓸ Smooth slope and a high rust rate. Although running segments are most distributed in comfortable and convenient places, these segments can also b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latitude and shape of the segments. And the segments range vari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running and the intensity of exercise. In addition to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street spaces, various landscapes, high naturality, and colorful slopes were derived from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running activities. Using actual running activity data,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spatially identified running that lack prior research and analyzed the street space where running occurs from various perspecti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4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4
1. 연구의 배경 4
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6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1. 자료의 수집 7
2. 연구의 범위 8
2. 연구의 방법 11
3절 연구의 흐름 12

제2장 이론적 고찰 13
1절 달리기의 특성 13
1. 달리기의 정의와 역학적 특성 13
2. 달리기 문화사 14
2절 달리기와 물리적 환경과의 관계 18
1. 달리기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환경요소 19
2. 가로 환경 분석 지표 21
3절 연구의 차별성 24

제3장 서울시 달리기 구간의 분석 24
1절 달리기 구간 분석의 틀 24
1. 1단계: 구간 분석 항목 종합 24
2. 2단계: 구간 분석지표 추출 26
3. 3단계: 구간 분석의 틀 도출 28
2절 서울시 달리기 구간의 분석 34
1. 분포 현황 34
2. 달리기 구간 분석 39

제4장 서울시 달리기 구간의 유형과 특성 46
1절 달리기 구간의 유형화 46
1. 군집분석 46
2. 유형의 정의 47
2절 유형의 분석 46
1. 유형1: 급경사-다변화구간 46
2. 유형2: 연속 급경사 구간 52
3. 유형3: 완경사-편의 구간 58
4. 유형4: 완경사-높은 녹시율 구간 69
3절 소결: 달리기 구간 특성 종합 73
1. 달리기 구간의 유형 68
2. 달리기 구간 유형별 특성 71

제5장 결론 78
1절 연구종합 73
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연구 과제 74

[참고문헌 ] 81
-
dc.format.extent96-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달리기-
dc.subject러닝-
dc.subject신체활동-
dc.subject이용행태-
dc.subject공공공간-
dc.subject공간유형화-
dc.subject.ddc712.3-
dc.title대도시 일상레저로서 달리기 구간의 유형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Running Segments in Cities : Focused on Seoul Cit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ihee park-
dc.contributor.department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1-08-
dc.title.subtitle서울시를 대상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8344-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6▲000000000053▲00000016834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