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hotophysical Studies of Photoinduced Charge Generation in Organic Solar Cells using Time-Resolved Spectroscopy : 시간 분해 분광법을 이용한 유기태양전지의 광유도 전하 생성에 대한 광물리적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혜연

Advisor
박수영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organic semiconductororganic solar cellstransient absorption spectroscopyphotoinduced charge separationcharge recombinationsmall molecule donorpolymer aggregation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characteristics유기 반도체유기 태양전지순간 흡수 분광법광유도 전하생성전하 재결합단분자 전자 주개고분자 뭉침분자내 전하 이동 특성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2021.8. 박수영.
Abstract
유기반도체 재료는 저비용 제조, 유연성, 화학적 다기능성 등 다양한 장점들로 인해 실리콘 기반 반도체의 대안으로 많은 관심을 이끌었다. 이러한 유기 반도체의 장점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광전자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됐으며, 이 중 유기 태양전지는 지난 20년 동안 차세대 에너지 전환 유망 소자로 매우 큰 관심을 받아왔다. 유기 태양전지의 구조는 두 전극 사이에 여러 층이 적층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빛을 흡수하는 광활성층은 고성능 유기 태양전지를 얻기 위한 전자 주개 물질(donor)과 전자 받개 물질(acceptor)의 이종접합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유기 태양전지의 작동 과정 중 광활성층의 광 흡수, 전하 전달, 전하 운반 및 재결합과 같은 광유도 공정의 각 단계들은 소자의 효율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각 공정들은 유기 반도체 물질의 광학적, 전기적 특성, 에너지 레벨 및 전자 주개물질/받개물질 (D/A)의 블렌드 모폴로지 등의 여러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특히 광활성층 내에서의 광유도 전하 발생은 유기 태양전지의 광전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이러한 전하 분리 프로세스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전하 분리의 광물리적 프로세스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아직 부족하여, 전하 분리 메커니즘과 태양 전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광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 분해 분광법을 이용한 유기 태양전지의 광유도 전하 분리 메커니즘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다양한 전자 주개, 받개 유기 반도체 물질을 활용해 전하 분리와 그에 따른 소자 성능 등을 연구하였고, 고효율 유기 태양전지 구현에 필요한 재료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먼저 단분자 전자 주개 물질의 전자 주개 및 받개 단위의 효과적인 배열을 확인하기 위해 두개의 triad 전자 주개 물질을 합성하여 분석하였다. 인돌로[3,2-b]인돌(IDID)과 디케토피롤로피롤(DPP)을 각각 전자 주개 및 받개 단위로 사용하는 ADA와 DAD 타입의 triad 전자 주개 물질들을 전자 받개 물질(PC61BM)와 함께 사용하였으며 유기 태양전지를 구현하였다. ADA와 DAD 는 두 물질 사이의 구조적 차이로 인해 각 단분자 도너 물질과 주변의 물질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대칭성-파괴 전하 이동 특성 또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ADA 타입의 단분자 주개 물질은 공간적으로 더 비편재화된 LUMO로 인해 더 강한 분자내 전하 이동(ICT) 특성을 보였으며, 이로 인해 D/A 계면에서의 폴라론 생성이 유리해지고 전하 재결합은 억제되어, ADA:PC61BM 소자에서 DAD:PC61BM 소자에 비해 높은 단락회로 전류 (JSC)와 높은 전력 변환 효율을 보였다. (제 2장)
다음으로, 잉여 에너지 역할의 관점에서 고분자 태양전지 (PSC)의 전하 분리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push-pull 유형 공중합체 (PTB7)와 단일중합체 (P3HT)을 각각 전자 주개 물질로 사용하여 고결정성 비풀레렌 전자 받개 물질 (NIDCSO3)과 함께 고분자 태양전지를 구현하였다. PTB7은 분자내 전하 이동 특성을 가진 비편재화된 엑시톤을 보였고, 따라서 D/A 계면에서 높은 charge transfer (CT) 준위를 통한 초고속 전하 분리가 전하 생성의 지배적인 경로임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P3HT는 비편재화된 엑시톤을 보이는데, 이로 인해 매우 빠른 시간 내에서 폴라론 쌍 상태로 이완된다. 즉, P3HT:NIDCSEO3의 전하 분리 현상은 폴라론 쌍과 낮은 CT 준위로의 빠른 이완으로 인해 높은 에너지 준위와 낮은 에너지 준위를 통한 전하 생성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시스템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PTB7:NIDCSEO3 고분자 태양전지는 높은 에너지를 갖는 엑시톤 분리를 통한 전하 생성으로 인해 높은 소자 효율을 보이고, 낮은 CT 상태를 통한 전하 재결합이 억제되어 전하 생성에 유리하여 높은 소자 효율을 보인다. (제 3장)
마지막으로 블렌드 모폴로지 (blend morphology)와 전하 생성 및 재결합의 관점에서 들뜬 상태 동역학을 비교하여, 고효율 유기 태양전지를 구현하기 위한 고분자의 특성과 블렌드 모폴로지의 조건을 확인하였다. 뭉침(aggregation) 특성이 서로 다른 두 개의 push-pull 유형 고분자(PBDCS, PBDS)와 두 개의 전자 받개 (풀러렌형 받개, PC71BM, 비풀러렌형 받개, ITIC)를 사용하여 고분자 태양전지에서 고분자의 뭉침 특성이 소자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블렌드 모폴로지는 고분자의 뭉침 촉진자 (PBDCS의 β-시아노 그룹)의 여부와 받개 물질의 뭉침 및 침투 특성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그러므로 들뜬 상태의 동역학 및 이에 따른 소자 특성도 전자 주개 및 받개 물질의 화학 구조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PBDCS 기반 고분자 태양전지는 순도 높은 도메인 시스템으로 인해 전하 재결합이 억제되어 PBDCS:PC71BM과 PBDCS:ITIC의 고분자 태양전지에서 각각 8.75, 7.81%의 PCE를 보이며 높은 소자 성능을 보였다. 반면, PBDS 기반 고분자 태양 전지는 전자 받개 물질에 따라 들뜬 상태 동역학과 소자 특성이 크게 달라지며 PBDS:PC71BM과 PBDS:ITIC 고분자 태양전지에서 각각 5.00, 0.76%의 PCE를 보였다. 특히, PBDS:ITIC 고분자 태양전지는 과도하게 혼합된 블렌드 모폴로지로 인해 초고속 전하생성과 함께 전자 재결합이 매우 많이 일어나며 매우 낮은 소자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블렌드 모폴로지가 고분자 태양전지의 소자 특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뭉침 특성을 갖는 고분자가 고효율 고분자 태양전지에 이상적인 블렌드 모폴로지를 구현하기에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 4장)
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have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silicon-based semiconductors due to the various advantages such as low cost fabrication, flexibility, chemical versatility and so on. Based on their advantages of organic semiconductors, various optoelectronic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of which organic solar cells (OSCs) have drawn significant interest as a promising device for the next generation of energy conversion during last the two decades. The structure of OSCs consists of a stack of multi-layers between two electrodes, of which the light absorbing photoactive layer is the bulk heterojunction (BHJ) of the donor (D) and acceptor (A) materials for obtaining high performance OSCs. During the operation of OSCs, each step in the photoinduced processes such as light absorption, charge transfer, charge transport and recombination in the photoactive layer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efficiency of devices, which are affect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the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energy levels, and D/A blend morphology.
In particular, photoinduced charge generation in the photoactive laye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hotocurrent in OSC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charge separation process, there is still a lack of a comprehensive study of photophysical processes of charge separation and still room for the spectroscopic study on the charge separation mechanism and its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photovoltaic devices. Hence, in this research, the photophysical study was performed on the photoinduced charge separation mechanism of OSCs according to various material structures using time-resolved spectroscopy. Using various donor and acceptor 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the effects on the charge separation and following device performances were investigated,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required to implement high efficiency OSCs were explored.
First, to confirm the efficient way of assembling electron-donating and accepting moieties on the push-pull type small molecule donor materials, two triad donor molecules wer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ADA and DAD type triad donor molecules using indolo[3,2-b]indole (IDID) and diketopyrrolopyrrole (DPP) as electron-donating and accepting units, respectively, were used with fullerene acceptor (PC61BM) in OSCs.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ADA and DAD lead to different interactions with surrounding materials and the following the symmetry-breaking charge transfer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the ADA type small molecule donor material exhibited stronger 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ICT) characteristics due to its spatially more delocalized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Much enhanced polaron generation and reduced charge carrier recombination were exhibited at the D/A interface, resulting in the higher short-circuit current (JSC) an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in the ADA:PC61BM devices than DAD:PC61BM OSCs. (Chapter 2)
Next, to understand the charge separation mechanism in polymer solar cells (PSCs) in the view point of the ICT characteristics of excitons and the role of excess energy, push-pull type copolymer (PTB7) and homopolymer (P3HT) were used as a donor polymer with highly crystalline nonfullerene acceptor (NIDCSEO3) in PSCs. PTB7 exhibited delocalized excitons with ICT characteristics due to the alternating electron donating and accepting units, and therefore, ultrafast charge separation through the hot charge transfer (CT) state is dominant pathway for the polaron generation at the D/A interface. On the other hand, P3HT exhibited delocalized excitons which relaxed to the polaron pair state within ultrafast time range. Namely, the charge separation of P3HT:NIDCSEO3 is the combined system of hot and relaxed charge generation through the polaron pair and relaxed CT states. Consequently, PTB7:NIDCSEO3 PSC exhibited higher device performances with hot exciton dissociation dominant charge separation, which is favorable for the photocurrent generation due to the suppressed charge recombination through the relaxed CT state. (Chapter 3)
Lastly, I compared the blend morphology and the excited state dynamic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olymer aggregation property on the device performances in PSCs by using two push-pull type polymers (PBDCS, PBDS) with different aggregation properties and two acceptors (fullerene acceptor, PC71BM, and nonfullerene acceptor, ITIC). Blend morphology differs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ggregation promotor of the polymer (β-cyano groups in PBDCS) and aggregating and percolating properties of acceptors. Therefore, the excited state dynamics and following device performances are also greatly influenc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donor and acceptor materials. PBDCS-based PSCs exhibited delayed charge generation with suppressed charge recombination due to the pure domain system, leading to high photovoltaic performances with the PCEs of 8.75 and 7.81% for PBDCS:PC71BM and PBDCS:ITIC PSC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PBDS-based PSCs exhibited largely different excited state dynamics and photovoltaic properties depending on the acceptor materials with the PCEs of 5.00 and 0.76% for PBDS:PC71BM and PBDS:ITIC PSCs, respectively. In particular, PBDS:ITIC PSC exhibited ultrafast charge generation with greatly enhanced charge recombination due to the extremely intermixed blend morphology, resulting in poor device perform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lend morphology has a remarkably important effect on the device properties of PSCs, and the polymer possessing aggregating property is a key factor for the ideal blend morphology for high efficiency PSCs. (Chapter 4)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86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9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