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ublic Sector Talent Management in Kyrgyzstan : 키르기스스탄 공공 부문 인재 관리: 조직 관행이 경력 개발 포부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공약의 중재 역할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Practices on Career Development Aspirations and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소눈

Advisor
이석원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talent managementorganizational practicesorganizational commitmentcareer development aspirations인재 관리조직 관행조직 공약경력 개발 포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글로벌행정전공, 2021.8. 이석원.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on Talent Management in public sector in the context of Kyrgyz Republic, to be more precise, talent development practice – training. Unit of analysis – are beneficiaries of the long-term training programs under development assistance agreements.

The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organizational practices perception has an impact on career development aspirations of mentioned above public officials, and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practices has five components – job content, career development practices, organizational policies, social atmosphere and rewards. Research items are adopted from well established previous studies.

The major finding revealed that Organizational practices positively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aspirations.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tested, and was found insignificant, however it has positive direct effect with employees career development aspirations. Career development aspirations are the same across the levels of gender, age, rank and other demographic variables. Only executive level of positions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development aspirations.
본 연구는 키르기즈 공화국의 공공 부문 인재 관리 즉, 인재육성의 관행과 훈련에 초점을 두었다. 개발 지원 계약에 따른 장기 훈련 프로그램의 수혜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 관행 인식이 공직자들의 경력 개발 포부 및 조직 공약의 중재 역할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직 관행은 업무 내용, 경력 개발 관행, 조직 정책, 사회적 분위기, 보상 등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연구 항목은 선행 연구에서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 관행이 경력 개발 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공약의 중재 역할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경력 개발 포부와 함께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경력 개발 포부는 성별, 연령, 직위 등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걸쳐 동일했다. 임원급 직급에서만 경력 개발 포부와의 부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89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75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