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ffects of post-war demobilization on American decision to terminate allied occupation of Korea in 1948 : 미국의 전후 동원해제가 1948년 한국점령 종료 결정에 미친 영향: 오스트리아 사례와 비교분석을 통한 연구
with a comparative analysis to the Austrian cas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수희

Advisor
신성호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전후의, 오스트리아, 한국, 동맹국 분할점령, 군사점령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2022.2. 신성호.
Abstract
본 논문은 6.25전쟁의 (한국전쟁) 원인에 대한 연구로부터 파생된 질문에서 출발했다: 왜 하필 냉전과 봉쇄 정책이 고조되고 있는 1948년에 미국이 한국에서 군사점령을 종료하고 1949년에 군대를 완전 철수 시키기로 결정했을까? 본 고는 문헌검토를 통해 한국의 6.25전쟁 학자들은 1948년 점령종료와 1949년 미군 철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국내적 요인(내적 속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1948년 및 전후 미국의 전반적인 세계 전략을 볼 때 한국의 국내 요인이 충분히 중요한 반면, 같은 시기 전략 지역에 미군을 배치하는 등의 봉쇄 전략들이 미국의 1948년 한국 군사점령 종료 결정 과정에서 더 우위시 되는 요인인 것으로 보았다. 특히, 미국의 국내 정책에서는 1945년부터 1947년까지 급속히 진행된 전후 동원 해제와 평시 병력 재전환이 봉쇄정책과 전후 세계전략보다 우선시되며 더 강력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결국은, 미국의 국방자원이 부족한 것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했고, 동원해제라는 국내적 요구가 세계 전략적 이익보다 더 앞섰기에 1948년 남한에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미군 철수를 시작해서 1949년 6월 완전 철수를 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왜 하필 1948년에 미국이 한국에서 군사점령을 종료했나 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미국의 한국 군사점령 정책에 초점을 맞추는 한편, 더 나아가 한국의 점령이 동원해제와 평시병력 전환의 영향을 받은 유일한 사례인지도 검토했다. 오스트리아는 전후 한국과 유사한 점령을 받았지만 최종 결과는 달랐다는 역사적 사실을 참고하여 미국이 오스트리아와 한국에 적용한 군사점령 시작과 종료에 대한 사례를 비교하였다. 따라서 미국의 동원해제 및 평시병력 전환이 두 나라에 적용된 미국의 점령과 점령 종료 정책에 미친 영향을 비교함으로써 1948년 군사 점령을 끝내기 위한 미국의 정책이 오스트리아에서도 고려되었는지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비교 연구를 통하여 미국은 한국 및 오스트리아 양국에 대한 연합국 군사 점령 협상의 시작 단계부터 미국 의회와 유권자 및 연방기관의 신속한 동원해제 계획 촉구에도 불구하고, 외교적, 정치적 차원에서 이에 반하는 점령 의무에 참여에 합의했다고 (마지못한 합의) 보았다. 이미 전쟁 초기부터 미국은 전후 연합국의 군사점령에 대한 참여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동시에 빠른 전후 해산을 계획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점령에 대한 국제합의는 이미 처음부터 미국이 전후 국제적 차원에서 추진할 봉쇄정책과 세계 전략을 상쇄시키고, 변화시키고, 변경시키게 될 미국 국내의 신속한 동원해제 계획에 반하는 합의였던 것으로 보았다.
이 후 1945년 5월 21일에 본격 시작하여 1947년 6월 30일에 끝난 미국의 동원해제 및 평시병력 재전환은 평시에 150만 명의 육군 병력의 법정 한도를 설정하였고, 이에 따라 1947년 회계연도 이후 국방 예산의 대규모 삭감을 수반하였다. 이러한 제한된 국방 자원의 현실에 직면한 미국은 점령군 관련 실용적인 선택을 해야 했고, 비록 원래 계획과는 달리 한국이 통일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1948년 한국에서 완전 철수하기로 소련과 합의하고 점령을 종료하였다. 미국에게 소련과의 철군 합의는 점령 종료와 철군을 위한 필요조건 이었던 반면 통일은 필요조건이 아니었기에 남한 정부 수립은 미군의 점령 종료와 철군을 위한 충분조건이었던 것으로 보았다. 한편, 오스트리아에서는 소련과 합의가 이루어 지지 않아 1955년까 점령 종료 및 점령군 철수가 지체되었다고 보았다.
This study started from a question that derived from studying the causes of the Korean War: Why did America decide to terminate the military occupation of Korea in 1948 followed by complete withdrawal of forces in 1949, in the midst of heightening of the Cold War and Containment Policy? Through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scholars of the Korean War in Korea emphasize the domestic factors (internal attributes) in explaining the termination of occupation 1948 and withdrawal of American forces in 1949. Nevertheless, in view of Americas overall global strategy in the post war years and in 1948, while Koreas domestic factors are sufficiently important, Americas global strategy, mainly Containment strategy and other military strategies that placed American forces on strategic areas, appear more important in in American decision to end military occupation of Korea in 1948. In particular, Americas rapid demobilization and reconversion carried out during 1945 to 1947 served as a cause overriding its Containment policy and other post-war global strategies. Consequently, the limited American defense resource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and the domestic demand for demobilization was placed before the global strategic interests. All these resulted in decision to terminate the military occupation in 1948 with the establishment of Republic of Korea and subsequent completion of withdrawal of all its forces by June 1949.
In searching for the answer why did U.S. terminate the occupation of Korea in 1948? the American policies on military occupation of Korea was primarily focused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went further to find out whether Koreas occupation was the only case affected by the demobilization and reconversion. This study compared the Korean case to the Austrian case because the historical data shows that Austrias occupation was analogous to Koreas in the beginning stage but the end results were different. Therefore, by comparing American policies on occupation, as well as effects of demobilization and reconversion on occupation of these two countries, this study tried to find answers to whether American policies to end military occupation in 1948 were also considered in Austria.
Through comparison, this study will argue that paradoxically, since the beginning stage of negotiating military occupation on Korea and Austria with the Allies, America agreed at the diplomatic and political level (though reluctantly) to engage in occupation duties, despite its plans for quick military demobilization and reconversion made at the domestic level, supported by the Congress, constituents and federal agencies. Since the wartime, America was pursuing a rapid post-war demobilization while simultaneously planning and implementing its participation in the post-war Allied occupation. From the beginning, the Americas international agreements on occupation commitments were already accompanied by an un-matching demobilization schedule, which drove strongly for quick demobilization, overriding, offsetting, shifting, and changing the American Containment policy and post-war global strategies.
Americas demobilization and reconversion that started on May 1945 and ended on June 30, 1947, established a ceiling of army strength of 1.5 million for peacetime and accordingly, accompanied massive defense budget cuts since FY 1947. In the pages that follow, this study will argue that faced by these realities of limited national defense resources, America had to make pragmatic choices with the occupation forces, leading to agreeing with the Soviets to withdraw completely from Korea by December 1948, despite unification of Korea has not been reached, contrary to its original plans for Korea. The US-Soviet agreement on withdrawal of troops was a necessary condition, while unification was not. He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southern half in 1948 was a sufficient condition for a decision to terminate occupation and withdrawal of American forces. On the other hand, due to lack of agreement with the Soviets, the termination of occupation and withdrawal of forces from Austria were delayed until 1955.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125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5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