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ssays on the Influence of Medical Accessibility on Medical Use and Health : 의료 접근성이 의료 이용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원혜진

Advisor
홍석철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ccessibility, Medical use, Obesity, Health, SRAD, Vaccine, Convenience store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2022.2. 홍석철.
Abstract
2012년 11월에 소비자들의 의약품사용의 편의를 제고하기 위해 편의점에서 일부 상비의약품들이 판매되기 시작하였다. 판매시장은 계속해서 확대가 되고 있으며 품목 확대 논의도 계속되고 있으나 실제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건강보험공단의 표본 코호트 2.0 DB를 이용하여 전국적으로 시행된 안전상비의약품의 판매제도가 안전상비의약품을 사용하는 질환으로 인한 병원의 내원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모형은 DID를 사용하고 있으며 정책 전후 3년을 분석기간으로 하였다. 처치군을 감기약과 해열진통제를 사용하는 감기 관련 질환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처치군과 유사한 계절성 질환(중이염, 비염 및 부비동염), 호흡기질환(천식, 폐렴, COPD를 포함한 폐관련질환), 상비의약품으로써의 특징을 공유하는 안전상비의약품 후보군의 질환(장염, 알레르기, 화상)과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치료를 위해 안전상비의약품인 해열진통제를 사용하지는 않는 질환으로 정책의 대상은 아니지만 감기와는 유사한 성격을 갖는 질환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분석 결과, 모든 대조군에서 감기 관련 질환으로 인한 의원급 외래진료횟수는 정책 이전의 평균 내원횟수의 8~10%에 해당하는 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의원 및 약국과 같은 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이 나쁜 곳에서의 안전상비의약품 도입 이후의 의원 진료 감소의 효과는 더 크게 나타난다. 연령별로는 20대 이하의 연령대에서 감소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편의점을 이용빈도가 높은 연령대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비의약품의 도입으로 인한 부작용을 검토하기 위해 증상이 악화되어 병원에 여러 번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안전상비의약품 도입 이후 높아지지는 않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여러 번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은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안전상비의약품의 도입으로 인한 증상의 악화의 우려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을 통해 의약품에 대한 접근성의 강화가 감기와 같은 경증의 질환으로 인한 과다한 의료이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

두번째 논문은 우리나라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무료 독감 백신 접종 장소의 확대가 접종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독감은 특히 고령층에서 합병증 이환 및 사망률이 높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정부에서는 국가예방접종 사업을 통해 1997년부터 65세이상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보건소에서 독감 무료 예방접종을 시행해 왔다. 백신접종률을 더욱 높이기 위해 정부는 2015년부터 보건소뿐만 아니라 민간의료기관과의 위탁계약을 통해 민간병원에서도 백신 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백신 접종이 가능한 장소의 확대가 백신접종률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 2012-2017년도 자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중차분모형과 삼중차분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접종 가능 장소의 증가는 65세이상 고령층의 접종률을 3.80% 포인트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시보다 시골에서 접종률 증가의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가구의 특성별로는 가족과 함께 거주하고 있는 경우에 정책의 효과가 독거노인에 비해 더욱 크게 나타났다. 또한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고령층의 접종률 상승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무학인 경우에 다른 교육수준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접종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집단간의 차이는 도시에서 주로 관찰되는 것으로 시골지역에서는 접종률의 상승이 도시에 비해 크며, 집단간의 차이 없이 고르게 정책의 효과가 나타난다.
이 결과를 통해 백신에 대한 접근성 강화는 예방접종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책의 효과는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사각지대에 있는 집단에 대한 집중적인 홍보와 관리가 필요하다.

세번째 논문은 지역의 환경이 청소년의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면적대비 편의점, 패스트푸드점, 공공체육시설을 사용하여 살펴보고 있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비만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청소년기의 비만은 청소년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성인기의 비만으로도 이어질 확률이 높다. 본 연구는 학업으로 인해 외부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긴 학생들의 비만에 지역사회환경적인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지역사회환경 요인으로는 편의점과 패스트푸드점의 밀도, 공공체육시설의 밀도를 고려하였다.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2010의 중학교 1학년 코호트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Pooled OLS와 함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인 체질 등의 관찰불가한 시간불변의 변수들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개인고정효과모형(F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Pooled OL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와 개인고정효과모형(FE)를 사용하는 경우에 분석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난다. Pooled OLS로 분석시 편의점 및 패스트푸드점의 증가가 학생들의 비만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한 분석에서는 패스트푸드점은 청소년들의 비만율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의점은 비만율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급에 따라서는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도시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사회의 환경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은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보다 내생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사회의 환경의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accessibility and individual medical use and health. First, I examine the influence of implementation of Safe and Readily Available Drugs (hereafter SRAD) at convenience stores on the number of clinic outpatient visits. Second, I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xpansion of free influenza vaccination sites for the elderly on vaccination rate. Third, the effect of convenience stores around residential areas on adolescent obesity is investigated.
The first chapter shows that implementation of SRAD on medical use. In November 2012, SRAD began to be sold outside of pharmacies to enhance consumers convenience. Although the market continues to expand,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effect SRAD on medical use. Using the Sample Research DB 2.0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haring Service, I examine how the SRAD have an impact on outpatient visits. Difference in differences model is used and analysis period is three years before and after the policy. Treatment group is Cold-related diseases using cold medicines and antipyretic analgesic which are the most popular SRAD. For the control groups, diseases that do not use antipyretic analgesics for treatment but shows characteristics similar to colds are selected; seasonal diseases similar to those of the treatment group (Otitis media, Rhinitis and Sinusitis), and respiratory diseases (Asthma, Pneumonia, Other lung diseases including COPD), diseases which use SRAD candidates (Enteritis, Allergy, Burns). As a result,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in clinics for cold-related diseases decreases as much as 8~9 % of the averag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before the policy. Additionally, SRAD has a greater effect in areas with limited access to clinics and pharmacies. The decline rate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age group under 20, showing that the effect was strong in the age group that used convenience stores frequently. Furthermore, I investigate whether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visit the clinic multiple times as a result of worsening symptoms after the policy has increased. As a result, no significant change is observed, indicating that there is no reason to be concerned about symptoms worsening after the introduction of SRAD. I believe that improving access to medicines through SRAD is effective in reducing excessive medical use due to diseases with mild symptoms, such as colds.
In the second chapter, the effect of the expansion of medical access on medical use is examined using the policy of expanding the location of free flu vaccination for the elderly. Influenza causes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particularly in the elderly.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vided free flu vaccinations at public health centers for the elderly over the age of 65 since 1997 as part of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NIP). To boost vaccination rates even further, the government has made it possible to receive vaccination not only at public health centers but also at private hospitals since 2015 through consignment contracts with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xpansion of vaccination sites on the vaccination rate. Using the Community Health Survey from 2012 to 2017, conducted by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the impact of the policy change in the vaccination rate is examined using the difference in differences model. As a result, it appears as though expanding the number of vaccination sites increases the vaccination rate of the elderly over 65 by 3.80 percentage points. Additionally, increasing vaccination rates has a greater effect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In term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the policy has a greater effect on the elderly who live with a family than on the elderly who live alone. Additionally, it has a greater impact on economically active seniors.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the uneducated group has a significantly lower vaccination rate than the other educational level groups. This difference between groups is most noticeable in urban areas. Rural areas see a greater increase in vaccination rates than urban areas, and the effect of the policy appears to be uniform,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se findings confirm that increasing access to vaccines has an effect on vaccination behavior, and that the effect of the policy varies by group, requiring intensive publicity and management of the group in the blind spot.
The third chapter examine the effect of the local environment on adolescent obesity. Adolescent obesity continues to rise in Korea, and obesity during adolescence not only has a negative effect on adolescents' health, but is also likely to lead to adult obe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on obesity in students who stay outside for a long time due to their studies. Major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considered were the density of convenience stores and fast food restaurants, as well as the density of public sports facilities. The data come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s middle school cohort, and the analysis employs the Pooled OLS model and the Individual Fixed Effect model (FE) to control the influence of time-invariant unobservable variables such as genetic factors associated with obesity.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pooled OLS model and those using the FE model appear to be inconsistent. When Pooled OLS is used to analyze the data, it is discovered that convenience store and fast food restaurant have no effect on the obesity rate. However, when the FE model is used, it is discovered that fast food restaurants significantly increase adolescents' obesity rates, while convenience stores contribute to obesity reduction.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obesity rate is affected more than high school students, and by region, teenagers living in cities are more affected. This seems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large amount of time exposed to the local community's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itigates the problem of endogenous issues and examine the impact of the local community's environment.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131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1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