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What do the "East Asian community" initiatives of the governments of South Korea, Japan, and China suggest in forming a community in the future? : 한국, 일본, 중국 역대 정부의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은 향후 공동체 형성에 무엇을 시사하는가?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수환

Advisor
조영남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East Asian community, Regionalism, Regional Integration, South Korea, Japan, China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2022.2. 조영남.
Abstract
Despite the long history of war, the European countries succeeded in achieving political and economic integration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After the two World Wars and the Cold War ended and globalization began, East Asian countries, which had limited exchanges and cooperation, also began discussions for regional coopera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n particular, as an effort to overcome the Asian financial crisis, Japan proposed the Asian Monetary Fund in 1997, and a regional currency swap called the Chiang Mai Initiative was agreed among ASEAN+3 countries in 2000. In addition, as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invited South Korea, Japan, and China, the ASEAN+3 summit meeting was first held in 1997.
In regards to the discussion on forming a regional community, this paper focuses on the role of the government as an actor leading the discourse. First, the paper examines the roles of German, French, and British government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uropean Union and suggests its implications on an East Asian community. Then, the author analyzes the initiatives of the South Korean, Japanese, and Chinese government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o determine whether the three countries have continued meaningful discussions for the formation of an "East Asian community."
In this paper, the author argues that despite several discussions at the government level, a community has not been formed and that it is unlikely to be formed in the near future. As for South Korea,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made attempts and efforts to seek cooperation and implement measures to create an East Asian community; however, since then, the following governments have lacked continuity in promoting the initiatives. Japan also had active discussions during Prime Minister Yukio Hatoyama's tenure, but before and after that, the initiatives only existed sporadically due to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checks and competition against China, and domestic issues. Finally, China has shown its pursuit of an independent agenda to form an ASEAN-centered community or a Chinese-led community; and more discussions have rather taken place among scholars than among the government.
The vision of forming an East Asian community has not been shared among the three governments, and considering the ongoing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conflicts between Japan and China, and historical and territorial disputes among the three countries, it does not seem likely for a community to be established in the near future.
오랜 전쟁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유럽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정치적, 경제적 통합을 이뤄내는 데 성공했다. 전쟁과 냉전이 종식되고 세계화가 시작되자 교류와 협력이 제한적이었던 동아시아 국가들 역시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협력을 위한 논의를 시작하였다. 특히 아시아 외환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1997년 일본은 아시아통화기금을 제안하였고, 이에 이어 2000년 역내 통화 스와프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Chiang Mai Initiative)가 합의되었다. 또한 동남아시아국가연합 (ASEAN)이 한국, 일본과 중국을 초청하여 진행된 ASEAN+3 정상회담이 1997년 처음 개최되기도 하였다.
본고는 지역 공동체 형성을 위한 담론을 주도하는 주체로서 각국 정부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다. 먼저 유럽연합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독일, 프랑스, 영국 정부의 역할을 살펴보고, 이것이 동아시아 공동체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한다. 그리고 동아시아 국가가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한 유의미한 논의와 담론을 이어왔는지 파악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일본, 그리고 중국 정부의 구상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저자는 정부 차원에서 여러 차례 논의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공동체는 형성되지 못했고, 또 앞으로 공동체가 형성될 가능성 역시 작다고 주장한다. 한국의 김대중 정부에서는 동아시아라는 넓은 범위의 지역 차원에서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한 시도와 노력이 존재했지만, 이후 정부에서는 그 범위가 동북아시아로 한정되는 등 정책과 구상을 추진하는 데 연속성이 부족하였다. 일본은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 재임 당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지만, 그 전과 후에는 미국과의 관계, 중국에 대한 견제와 경쟁으로 산발적으로만 존재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은 ASEAN 중심의 공동체 혹은 중국 주도의 공동체를 형성하고자 하는 독자적인 아젠다를 추구하는 모습을 보였고, 정부보다는 학자 사이에서 더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저자는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이라는 목표가 삼국 정부 사이에서 공유되지 않고 있다는 것, 미국과 중국 사이 지속되는 경쟁, 일본과 중국의 갈등, 한국, 중국, 일본, 세 국가 사이 현존하는 역사 및 영토 분쟁 등을 고려했을 때 가까운 시일 내에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고 전망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288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8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