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전제품의 기능 수행 움직임 요소인 Speed, Volume, Direction과 제품 감성 발현 관계 해석 : An Analytical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al Movement Factors for Home Appliances -Speed, Volume, Direction and Product Emo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유나

Advisor
정의철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물리적 움직임, 움직임 디자인, 제품 감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 2022.2. 정의철.
Abstract
As artificial objects advance via intelligence, our physical experiences are diminishing. To compensate for this reduced overall experience, the physical movement of home appliances, robots, and interfaces is currently expanding. The movement applied to an artifact will evoke a range of emotions by transferring those emotions to the user or reflecting the user's emotions, regardless of the designer's intention. In particular, the physical movements of home appliances used in daily life require a design that elicits positive product emotions from us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arousing positive product emotions in users by adjusting the physical movement components applied to home appliances and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movement components and product emotion. To achieve this purpose and goal, a product movement component analysis model was suggested to examine the movement design of the products. Using this model, movement was divided into Phases and three elements: Form (Material and Volume) as a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Mechanical (Path) as a position characteristic, and Behavior (Direction and Speed) as a dynamic characteristic with a time component.
Using this model, a case analysis of consumer products, whose movements have various purposes in real life, was conducted. The movement components of social robots that seek to transfer emotions through movement, robot vacuum cleaners and TVs that perform the products specific functions through movement, were analyzed. A specific movement that already contains intended emotions, such as a social robot, will evoke its users emotions, but a functional movement of a home appliance requires verifying whether product emotion is also evoked. Pilot experiments based on case analyses of an electric fan, robot vacuum cleaner, and rollable TV verified that the functional movement of home appliances evokes product emotions in its users. It was also learned that even other types of products have a general tendency toward emotion when adjusting their movement component variables.
To confirm that negative product emotions can be reduced and positive product emotions can be induced by adjusting product movement components, Speed, Volume, and Direc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at produced experimental stimuli based on the shapes and movements of robot vacuum cleaners and rollable TV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s that were commonly evoked, regardless of product type and emotions, were evoked differently for different products. There was also a gender difference in the emotions being evoked.
In conclusion, the emotion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a user's movement preference was found to be a sense of stability. Unlike other types of positive emotions, such as fascination, joy, and admiration, stable and comfortable movements evoked a sense of boredom. Still, users were found to prefer stable and comfortable movements and accept some degree of boredom. Speed attributes were classified into general, slow, and fast speed categories where general speed strongly evoked a sense of stability. Volume attributes were divided into general, wide, and narrow ranges, with the general range giving a sense of stability to users. The Direction attribute produced a sense of stabilit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ather tha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a linear direction rather than rota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observed the movement of objects and predicted the speed, volume, and direction of movement, strong emotions were evoked when the objects moved out of the range of expectations. In particular, when Volume deviated from the user's expected goals, strong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boredom, and stuffiness, were evoked. When Direction deviated from the user's expected goals, the positive emotions of fascination, curiosity, novel, admiration, and negative emotions like anxiety and fear were strongly evoked at the same time.
인공물이 지능을 가지고 고도화됨에 따라 축소되는 물리적 경험을 보완하기 위해 가전제품, 로봇, 인터페이스 등에 움직임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인공물에 적용된 움직임은 디자이너의 의도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감정을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감정을 투영하게 하여 다양한 감성을 유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가전제품에 적용된 물리적 움직임에는 긍정적 제품 감성을 이끌어내는 디자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전제품에 적용된 물리적 움직임 구성요소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긍정적 제품 감성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움직임의 구성요소와 제품 감성 발현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설명하는 것이다. 목적 달성을 위해 제품에 적용된 움직임 디자인을 이해하고자 제품 움직임 구성 요소 분석 모델을 제안하였다. 분석 모델을 활용하여 움직임을 각 단계인 Phase로 나누고 형태적 특성인 Form(Material, Volume), 위치적 특성인 Mechanical(Path), 시간 흐름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동적인 특성인 Behavioral(Direction, Speed)의 세 가지 요소로 나누어 해석할 수 있다.
이 모델을 활용하여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목적의 움직임이 적용된 상용 제품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움직임을 통한 감정 전달이 목적인 소셜로봇과 움직임으로 제품의 기능을 수행하는 로봇청소기, TV의 움직임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소셜로봇과 같이 이미 감정이 내포된 움직임으로 사용자는 감성이 유발되지만 가전제품의 기능적 움직임으로 사용자는 제품 감성이 유발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선풍기, 로봇청소기, 롤러블 TV의 사례 분석을 바탕 한 파일럿 실험을 통해 기능적 움직임이 적용된 가전제품의 움직임은 사용자에게 제품 감성을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른 종류의 제품이라도 움직임 구성요소 변수 변화에 따라 유발되는 감성의 보편적 경향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제품 움직임 구성요소인 Speed, Volume, Direction을 조절하여 부정적 제품 감성을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제품 감성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로봇청소기와 롤러블 TV의 형상과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실험 자극물을 제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품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유발되는 감성과 제품별 다르게 유발되는 감성이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 유발되는 감성의 차이도 존재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용자의 움직임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감성은 안정감으로 나타났다. 안정적 움직임은 매력적, 재미, 감탄과 같은 긍정적 감성과는 달리 지루함을 동반하지만, 사용자는 어느 정도의 지루한 감성은 감수하며 안정적이고 편안한 움직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느린, 빠른 속도로 구분한 Speed 속성에서는 일반적인 속도가 안정감을 강하게 유발하였다. 일반, 넓은, 좁은 범위로 구분한 Volume 속성은 일반적인 범위가 안정감을 주었다. Direction 속성은 세로보다는 가로 방향이, 회전보다는 직선 방향이 안정감을 높게 유발하였다. 또한 사용자는 사물의 움직임을 관찰하며 움직임의 Speed, Voulme, Direction을 예상하게 되는데 예상을 벗어날 때 강한 감성이 유발된다. 특히 Volume이 사용자의 기대 목표를 벗어날 때 분노, 지루함, 답답함과 같은 강한 부정적 감성이 유발된다. Direction이 사용자의 기대 목표를 벗어날 때는 매력, 호기심, 감탄의 긍정적 감성과 불안감, 공포와 같은 부정적 감성이 동시에 강하게 유발되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289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1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