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의 스포츠 공적개발원조 교육사업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who Participated in the Sport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Education Program : Focusing on the Capacity Development through Dream Together Master
Dream Together Master를 통한 역량개발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요한

Advisor
강준호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스포츠 공적개발원조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과정(DTM)역량개발스포츠 행정가변화 주체지속가능한 발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 2022.2. 강준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through roles and competencies developed by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Korean Sport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Dream Together Master(DTM) beneficiar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role did participants recognize through the Dream Together Master? Second, what competencies did participants develop through the Dream Together Master? Third, what changes did participants experience in their home country after developing their roles and competencies through the Dream Together Master?

This study used the case study method among qualitative studies based on constructivism. Semi-structured interviews (n = 10) were conducted and each interviewee who represent the perspective of DTM participants was sele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and the criterions are as follows: 1) admission year, 2) region of origin, 3) gender, 4) current institution, 5) experience as a sports administrato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riangulation, members check, and peer debriefing were used to increase the trustworthiness of the study, and research ethic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s perceived by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DTM were categorized into six items: pioneer, planner, specialist, manager, helper, and networker role. Second, the competencies developed by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DTM we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problem-solving, planning and innovation, flexibility, sports expertis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competency. Third, the changes experienced by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their roles and competencies develop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DTM were categorized as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and institutional changes. Individual changes include changes in perspectives and attitudes of life, pioneering changes in home country, increased expertise as a sports administrator, increased recognition and trust, increased opportunities and positions changed, expansion of networking, and formed friendly feelings for Korea. Organizational changes include changes in operation methods, increased organizational networking, and increased organizational external influence. National and institutional changes are subdivided into changes in public perception, expansion of sports system, and reorganization of sports policies and institutions.

Based on finding and research participants suggestions, the researcher could discuss that, as a change agent,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enabled various changes in their home country through their roles and competencies developed by the DTM and achieved capacity development and foothol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faced various limitations of 1) will and resources, 2) competencies, 3) social status, 4) networking, even after participating in the DTM to pioneer changes in home country. Thus, 1) expansion of incentives for the DTM Alumni Contest, 2) expansion of internships and education program, 3) selection of high-level administrators as a participant, 4) improvement of the DTM Forum and promotion of DTM Alumni networking were suggested to further develop the DTM program.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pplying the capacity development discourse to the DTM case, the direction and approach of capacity development through the sports ODA education program are presented. Second, the scope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to a single case of the DTM program, and this study supplemented previous studies in which the perspective of the program beneficiaries was excluded. Practically, first, it has implication in deriving development plans for DTM program through beneficiary-centered criteria and evaluation indicators, by exploring specific elements of role and competency of the sports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need for systematic follow-up support that complements DTM Alumni program by examining the limitations faced by the change agen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not possible to grasp what roles and competencies were symmetrical to each other.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chan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d institution of the sport administrator was not considered. Third, the experience of the entire DTM program participants was not represen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urther research could be proposed. First, a study that expands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time interval of the DTM program should be conducted. Second, follow-up studies on the causal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non-sequential and continuous change through the DTM program can be conduct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스포츠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교육사업 중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과정(Dream Together Master, DTM) 사례를 중심으로, 수혜자의 관점에서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들이 본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통해 인식한 역할과 개발한 역량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로 인해 본국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했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이에 대한 연구 문제는 첫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 과정(DTM) 참여자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어떠한 역할을 인식하였는가? 둘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 과정(DTM) 참여자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어떠한 역량을 개발하였는가? 셋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 과정(DTM) 참여자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한 역할과 개발된 역량으로 인해 본국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했는가?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에 입각하여 질적 연구 중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DTM 프로그램 참여자의 관점을 대변할 수 있는 연구 참여자 각각의 사례를 1) 사업 기수, 2) 출신 대륙 및 지역, 3) 성별, 4) 소속 기관, 5) 스포츠 행정가로서의 경력을 준거(criterion)로 하여(Lecompte & Goetz, 1982) 유목적적 표집방법(purposeful sampling)으로 선정하였고,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총 10명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은 반구조화(semi-structured interview)된 면담방식을 활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화 및 항목화 과정을 통해 분석(inductive category analysis)되었다. 연구의 진실성(trustworthiness)을 높이기 위해 삼각 검증법, 연구 참여자 검토, 동료 간 협의를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전 과정에서 연구 윤리를 준수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밝힌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들이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과정(DTM) 참여 경험을 통해 인식한 역할은 선구자의 역할, 기획자의 역할, 전문가의 역할, 관리자의 역할, 지원자의 역할, 연결자의 역할 총 6가지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들이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과정(DTM) 참여 경험을 통해 개발한 역량은 문제해결 역량, 기획 및 혁신 역량, 상황 대처 역량, 스포츠 전문 지식 역량, 의사소통 역량, 관계 역량으로 크게 6가지 항목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들이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 교육과정(DTM) 참여 경험 후 인식한 역할과 개발한 역량을 통해 본국에서 경험한 변화로 개인의 변화, 조직의 변화, 국가 및 제도의 변화가 도출되었다. 개인의 변화는 삶의 관점 및 태도의 변화, 자국 변화 선도, 스포츠 행정가로서 전문성 증대, 주변의 인정 및 신뢰, 직위의 변화 및 기회의 증가, 인적 네트워크 증대, 한국에 대한 우호적 감정 형성으로, 조직의 변화는 운영방식의 변화, 조직 네트워킹 증대, 조직 대외 영향력 증대로, 국가 및 제도의 변화는 대중의 인식 변화, 스포츠 저변 확대, 스포츠 정책 및 제도 개편으로 세분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논의로는 첫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는 변화주체로서 자국변화를 선도했고 이를 통해 개발도상국 역량개발(capacity development)과 지속가능한 발전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둘째, 스포츠 체계, 지원, 전문가가 전무한 실정에서 스포츠 경영 석사학위와 전문지식을 갖춰 전문성을 보유하게 된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는 스포츠 생태계와 자국의 상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전문가로서 본국 스포츠 변화를 주도할 수 있었다. 셋째, 개발도상국에 실력 있는 인재의 부재와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는 여러 계급 행정가의 역할을 동시다발적으로 감당하며 본국 환경을 개선하는데 적합한 역량을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DTM 프로그램 참여 후 한국에 대한 우호적 감정이 형성되어 친한 인사로서 영향력을 행사한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들을 장기적으로 지원할 필요성과, 향후에도 이들이 한국 및 국제 스포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살펴봐야함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의 구체적인 역할과 역량이 다양하게 변화함을 확인함으로써 DTM 프로그램의 발전적 지표와 연속적이고 장기적인 변화에 관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는 DTM 프로그램 참여 후에도 본국 변화를 주도하는데 1) 의지 및 자원의 한계, 2) 역량의 한계, 3) 사회적 지위의 한계, 4) 네트워킹의 한계 등을 마주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수혜자 의견이 반영된 DTM 프로그램 발전방안으로 1) DTM Alumni Contest 인센티브 확대, 2) 역량개발 지속 및 실무경험 확장, 3) 한국 정부의 직접 홍보 및 고위급 행정가 선발, 4) DTM 포럼 개선 및 코디네이터 도입을 통한 DTM Alumni 네트워킹 활성화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개발(capacity development) 담론을 스포츠 ODA 교육사업 중 DTM 프로그램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스포츠 ODA 교육사업을 통한 역량개발의 방향성과 접근방식을 제시함에 있다. 둘째, DTM 프로그램의 단일 사례를 연구의 범위로 제한하고 프로그램 수혜 대상의 관점이 배제되었던 선행 연구를 보충했다는데 있다. 실무적으로는 첫째, 개발도상국 스포츠 행정가의 역할 및 역량의 구체적 요소를 탐색함으로써 DTM 프로그램에 대한 수혜자 중심의 판단기준과 평가지표를 통한 발전방안을 도출함에 있다. 둘째, 변화주체들이 마주한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DTM Alumni를 보완한 체계적인 사후관리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함에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과 역량이 서로 어떻게 대칭을 이루는지 파악하지 못했다. 둘째, 행정가의 출신 대륙 및 기관별 특성에 따른 변화 양상의 차이를 고려하지 못했고 DTM 프로그램 참여자 전체의 경험을 대변하지 못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연구 대상과 시간적 간격을 확장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둘째, 비순차적이고 연속적인 변화의 프로세스와 인과관계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촉구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298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06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