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이 수업참여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s' Academic Suppor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lass Particip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지은

Advisor
백순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학업지원수업참여도학업성취도구조방정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22.2. 백순근.
Abstract
부모의 학업지원은 학습과 관련된 활동에 관여하는 부모의 양육 방식부터 사교육에 대한 투자에 이르기까지 자녀의 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과 이와 관련된 일련의 행동을 의미하며, 학생의 수업참여도나 학업 성취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등학교는 대입 준비 시기로 부모의 학업지원이 가장 절실한 시기이기도 하다.
수업참여도는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학업활동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보이는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반응, 투자, 노력,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수업참여의 시점은 수업 중으로 국한되지 않고 수업 전의 예습이나 수업 후의 복습도 포함하며, 수행평가 등을 통해 교과 성적에 반영되는 등 매우 중요한 변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학업성취도는 학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얼마만큼 성실하게 학업에 몰두하였으며, 얼마만큼의 학업을 통한 성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데 사용되는 점수이다. 특히, 대학 입시에서 내신 성적이 중요한 전형자료이기 때문에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매우 중요한 변인이다.
기존에 부모의 학업지원은 자녀의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주로 연구되었으나 최근에는 자녀의 심리, 정서적 안정과 학습동기, 자아효능감 등 다양한 변인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교육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아울러 학부모의 학업지원과 자녀의 발달이 상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자녀의 특성이 부모의 학업지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도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또한 부모의 학업지원은 자녀의 성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다른 심리적 요인들을 매개해 자녀의 성취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해 학업성취에 대한 부모의 학업지원의 경로를 파악하려는 연구 역시 진행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점들을 반영하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 수업참여도, 학업성취도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왔고, 각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 또한 다수 이루어졌다. 하지만 세 가지 변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는 경험과학적 연구는 미흡하다. 그리고 부모의 학업지원과 관련된 대부분의 선행 연구의 대상이 초등학생과 중학생이기 때문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과 수업참여도, 학업성취도 세 변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활용하여 세 변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은 수업참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수업참여도는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참여도가 매개역할을 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을 인지적 지원, 정서적 지원, 재정적 지원의 세 가지 영역으로, 수업참여도를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행동적 참여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여, 각각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기존의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때 두 척도 모두 각 하위영역 당 다섯 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형태로 제작하였다. 척도의 내용타당도는 전문가 8인의 서면평가를 통해 점검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점검하였으며, Cronbachs alpha를 통해 신뢰도를 점검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 척도와 수업참여도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S시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3학년 학생 279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고자 2021년 9월 첫째 주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 검사를 실시하고, 약 한 달이 지난 10월 첫째 주에 수업참여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11월 첫째 주에 대상의 학교의 2학기 중간고사 지필평가 성적을 통해 학업성취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형 등을 분석함으로써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 수업참여도, 학업성취도의 구조적인 관계를 점검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은 수업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이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0.6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둘째, 수업참여도는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고등학생의 수업참여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0.4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단, 이때 학업성취도는 원점수가 아닌 성적의 등급 변인을 투입하였다.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은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0.16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수업참여도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추정된 직접효과(부모의 학업지원→학업성취도)와 간접효과(부모의 학업지원→수업참여도→학업성취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Sobel 검증과 붓스트래핑(bootstrapping)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검증 결과, 부모의 학업지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의 표준화계수는 .09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부모의 학업지원이 수업참여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한 표준화 계수는 .1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결론적으로 전체 모형에서 부모의 학업지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수업참여도의 매개효과는 학업성취도에 대한 부모의 학업지원의 총 효과의 60.1%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부모의 학업지원이 수업참여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은 수업참여도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고, 수업참여도는 학업성취도에 긍적적인 영향을 미쳐, 부모의 학업지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참여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지원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부모의 학업지원이 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분명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부모의 지원보다 학교 현장의 교육과 수업참여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만 이 연구는 한 고등학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연구 결과에 대한 일반화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Parents' academic support refers to parents' interes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ranging from parenting methods involved in learning-related activities to private education investment, and is closely related to students'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particular, high school is the most urgent time to prepare for college entrance exams, and parents' academic support is very important.
Class participation in the course refers to the cognitive, just, and behavioral responses, investment, effort, and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academic activities during the course. Participating in the course is not limited to pre- and post-school preparation, and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variable because it is reflected in the course's performance through evaluation.
Academic achievement is a score that is used to show how much academic achievement you have achieved in the course of your studies. In particular,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s an important element because their internal grades are important in college entrance exams.
Parents' academic support has been studied mainly as variables for predicting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but it has recently been discovered that it affects children's psychology, emotional stability, motivation,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as parents' academic support and children's development have been found to have an interactive effect, ecological approaches to how children's characteristics affect parents' academic support behavior are also attracting attention. In addition, parents' academic suppor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achievement, but rather to their children's achievement through other psychological factors.
Reflecting this, research on the parentsacademic support, class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has done continuously, and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However, empirical scientific research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by three variables is insufficient. Furthermore, since most of the subjects of research related to parents' academic support ar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cademic support, class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u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on three variable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es parentsacademic suppor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ffect class participation?
2. How does class participation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3. How does parentsacademic suppor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4. Does the class participation play a role as a mediator in the effect of parentsacademic suppor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used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parentsacademic suppor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cognitive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and their participation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cognitive participation, affective participation and behavioral participation. At this time, the two scales were also constructed in a form consisting of five items in their respective lower regions.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checked by written evaluation by eight experts, and the reliability was checked by Cronbach's alpha.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s were generally good.
In order to collect data, 279 second and third graders from ○○ High School in S City were tes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of variables, the test of the parentsacademic suppor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was tested in the first week of September 2021. In the first week of October 2021, a month later, the test of the class participation was tested. Finally, the data of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collected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midterm examination paper in the first week of November.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ate parents' academic support,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investigated by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parentsacademic suppor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lass participation in school.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 that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of arentsacademic suppor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the class attendance was 0.62 (p<.001).
Second, class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of the class participation was 0.40,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ird, parentsacademic suppor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of high school students' late parents' academic support on academic achievement was -0.16,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parental academic support → academic achievement) and indirect effects (parental academic support → class participation → academic achievement) were verified by Sobel and Bootstra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 of parental academic support on academic achievement was .09,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for the indirect effect of parents' academic support o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ir degree of participation was .14,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In conclusion, the direct effect of parents' academic support on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in the overall model, and the intermediate effect of parents' academic support accounted for 60.1% of the total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parents' academic support has the effect of mediating their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ir degree of participation.
In short, parentsacademic suppor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class participation in school, and parents' academic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These results show that parentsacademic suppor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has no direct impa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but that parents' academic suppor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lass participation in school.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ill have a greater impact on their educational performance than on their parents' academic support. However,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of the study because the study was conducted only on certain high school student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00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93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