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관광자원으로서 지역 양조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ocal Brewery as Tourism Resources
-한산 소곡주 생산지역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병진

Advisor
손용훈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지역 관광지역 활성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2.2. 손용훈.
Abstract
Drink is the product of the unique humanities and natural scenery that appears in the region. Even if fermentation is performed in the same way using the same raw material, different results are caused by small differenc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the climate and soil surrounding the crop and in the fermentation process. This difference is that one style has come down with a traditional appearance and form, such as housing, clothing, and food. Local alcohol, which appears in various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s, has its own charm. In particular, the desire to satisfy curiosity about production facilities and the landscape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urrounding region beyond consumption of alcohol is increasing, and wine, whiskey, and sake production sites, which are highly recognized as world wars, have begun to emerge as special tourist destinations that cannot be done in daily life.
Based on the Gayangju culture, which used to make alcohol from each house, different traditional liquor in Korea shows that alcohol is a product of different regions. Since modern times, even after the emergence of local breweries as commercial spaces, breweries have been regarded as representative spaces of the region, contributing as the economic and social center of rural areas where people and money gather, not just producing and selling alcohol. However, a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gressed, rural communities began to enter the path of extinction, and traditional liquor and breweries in limited areas gradually lost their competitiveness and disappeared due to their commonness and familiarity. Therefore, this study re-examined that Korea's traditional liquor and breweries that produce it are unique spaces that reflect the local landscape and environment, and judg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resources should be considered and revitalized like leading overseas case papers.
Accordingly, in this study, for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local breweries as tourism resources, categorization was conducted through analysis of the own and external attributes of breweries. In addition, an unusually large number of breweries as traditional liquor production sites were gathered, and the activation factors and development tasks were presented for the Hansan Sogokju production area in Seocheon-gun, where local governments can observe the effect of revitalizing local tourism. Based on the study, three implications were derived in this study. First, local brewerie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six types as tourism resources. In this process, local breweries were not simply breweries that produce traditional liquor corresponding to makgeolli and medicinal liquor, but rather local specialty breweries that produce foreign liquor based on licenses for small-scale liquor.
Second, the area of Hansan-myeon, Seocheon-gun, which is a "dense brewery," was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ltivation process and composition of the Hansan Sogokju production area. The Hansan Sogokju production area is an unusual place where Gayangju culture continues in Korea,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financial support from Seocheon-gun to revitalize local industrialization and tourism. Through this analysis, we tried to examine Korea's representative traditional liquor production sites and to find out the revitalization projects and directions conducted in the region. Third, through interviews with subjects who contribute to regional revitalization, the activation factors and development tasks of the Hansan Sogokju production area were derived. In this process, conflicts that may arise not only in the research target site but also in other regions in the process of regional industrialization were discovered, and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aging rural communities were revealed.
술은 지역에서 나타나는 고유한 인문, 자연적 경관의 산물이다. 같은 원료을 활용하여 같은 방식으로 발효를 하더라도 다르게 나타나는 결과물은 작물을 둘러싼 기후, 토양과 같은 자연환경과 발효 과정에서 나타나는 작은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차이는 하나의 양식이 주거, 의복, 음식과 같이 전통적인 모습과 형태를 갖추어 내려오고 있다. 다양한 자연, 문화 환경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지역의 술은 그 자체로 매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술에 대한 소비를 넘어 생산 시설과 그를 둘러싼 지역의 경관과 제조과정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전으로 높은 인지도를 가진 와인, 위스키, 사케 생산지는 보고 즐기는 것을 넘어 일상에서 할 수 없는 체험과 새로운 배움을 얻는 특수 관광지로 떠오르기 시작하였다.
집집 마다 술을 빚던 가양주 문화를 기반으로 각기 다른 우리나라의 전통주류는 술이 각기 다른 지역의 산물임을 보여준다. 근대 이후 상업적 공간으로서 지역 양조장이 등장한 이후에도 양조장은 단순히 술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곳이 아닌 사람과 돈이 모이는 농촌의 경제적, 사회적 중심지로서 기여를 하며 지역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며 농촌 사회는 소멸의 길로 들어서기 시작했으며 한정된 지역에서 전해오던 지역의 전통주류와 양조장은 흔함과 익숙함으로 인해 점차 경쟁력을 잃고 사라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주와 그를 생산하는 양조장은 지역의 경관과 환경을 반영하는 고유 공간임을 재조명하고, 이를 보존하고 전승하는 것을 넘어 해외의 유수 사례지들과 같이 관광 자원으로서의 특성을 고찰하고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관광 자원으로서 지역 양조장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양조장들의 자체적, 외부적 속성에 대한 분석을 통한 유형화를 진행하였다. 또한 전통주 생산지로서의 이례적으로 많은 수의 양조장들이 모여 있으며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을 바탕으로 지역 관광 활성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는 서천군의 한산 소곡주 생산지역을 대상으로 활성화 요인과 발전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관광 자원으로서 지역 양조장을 총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역 양조장을 단순히 막걸리, 약주에 해당하는 관습적 의미에 해당하는 전통주류를 생산하는 양조장이 아닌 지역 특산주, 소규모 주류 제조 면허 등을 바탕으로 외래주를 생산하는 우리나라의 새로운 형태의 양조장들에 대한 분석을 포함하여 보다 포괄적으로 관광 자원으로서 지역 양조장의 가치에 대해 조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한산 소곡주 생산지역의 양성화 과정과 구성 주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밀집형 양조장에 해당하는 서천군 한산면 일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산 소곡주 생산지역은 우리나라에서 이례적으로 가양주 문화가 이어져 내려오는 곳임과 동시에 지역 산업화와 관광 활성화를 위해 서천군의 정책적 재정적 지원이 있는 장소이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주 생산지에 대해 고찰하고 지역에서 행해지는 활성화 사업과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는 주체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뷰를 통해 한산 소곡주 생산지역의 활성화 요인과 발전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의 대상지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있을 수 있는 지역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들에 대해서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점차 노령화되고 있는 여러 농촌 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밝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02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60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