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근거 이론을 적용한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 참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youths digital civic engagement using grounded theory: Focusing on its implications on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디지털 시민성 교육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수정

Advisor
조영달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소년디지털 시민 참여시민 정체성디지털 시민성중재행위나노 인플루언서차이와 반복디지털 시민성 교육사회과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22.2. 조영달.
Abstract
시민 참여는 민주 시민으로서의 발달과 성장의 중요한 계기이자 핵심적인 활동이다. 특히 청소년기의 시민 참여는 성인이 된 이후의 시민 참여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경험이다. 청소년기에 경험한 시민 참여는 스스로를 시민적 행위자로 이해하는 시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참여의 기반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은 시민 참여를 통해 일련의 발달 과정을 겪게 되면서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역량인 시민성을 개발하고 이를 내면화하게 된다.
최근 청소년의 시민 참여 논의와 함께 부상하고 있는 관련 개념으로 바로 디지털 환경이 있다. 새로운 세대인 청소년들은 시민으로서의 의무와 책임을 추구하는 기성세대와 달리 자기실현적 참여를 추구한다. 이러한 양상은 디지털 환경에서 더욱 활성화된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시민 참여는 누구나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생산자, 발화자, 의견지도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즉, 그간 공식적이고 제도적인 참여로부터 괴리되었던 청소년들은 디지털 환경에서 다양한 행위자의 역할을 체험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환경에서는 느슨한 네트워크를 통해 협력의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일상적으로 즐길 수 있는 자발적인 참여가 가능하다. 이에 청소년들은 오프라인 환경보다 디지털 환경에서 보다 덜 부담을 느끼며 기꺼이 참여를 지속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디지털 환경과 청소년을 결부 짓는 논의들은 다음의 측면에서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 참여를 제대로 조명하지 않아왔다. 첫째, 디지털 환경의 일방적인 영향력에 집중하거나, 둘째, 청소년의 디지털 참여를 교육적 처치에 의한 통제된 경험이나 특이 사례로 간주하며, 셋째, 변수 간의 관계를 통한 부분적인 이해로서 연구해온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은 디지털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다루는 디지털 시민성 교육 분야에도 영향을 미쳐 분절적인 논의가 양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청소년을 디지털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 수동적 존재가 아닌 능동적 존재로 다루기 위해 디지털 환경과 청소년 사이의 양방향적 상호작용에 주목하였다. 디지털 환경 속에서 청소년은 영향을 받는 대상이기도 하지만 영향을 미치는 주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둘째,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 참여를 통제된 특별 경험이 아닌, 자연스러운 디지털 생활 속에서 비롯될 수 있는 일상 경험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에 디지털 시민 참여를 디지털 환경에서 사회의 공적 이슈나 사회문제, 공동체에 대한 일련의 참여라 조작적으로 정의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일상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참여의 양상을 넓은 시각에서 조망하고자 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여러 환경적 조건과 주요한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실천적 경험과 과에 대한 종합적인 시각을 견지하고자 하였다. 이에 실제로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참여의 양상과 과정을 살펴보며 이로 인해 형성되는 시민 정체성과 디지털 시민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와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 참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 청소년들은 디지털 시민 참여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2. 청소년들의 디지털 시민 참여 과정은 어떻게 전개되는가?
3. 디지털 시민 참여로 인해 청소년들에게 어떤 시민 정체성이 발달하는가?
4. 디지털 시민 참여로 인해 청소년들에게 어떤 디지털 시민성이 발달하는가?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한 연구방법인 근거 이론을 활용하였다. 근거 이론은 체계적인 분석 단계를 통해 인간의 경험의 의미와 경험의 전개 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특히 근거이론은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이라는 분석 단계를 통해 경험의 조건, 행동/상호작용, 결과, 이론 통합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표집과 눈덩이 표집을 통해 성별, 연령, 거주지역, 디지털 시민 참여 경험을 고려하여 중학교 3학년~고등학교 2학년의 청소년 49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1~3차에 걸친 비대면 화상 면담 자료와 참여 이미지 캡처 자료를 토대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 질문 1과 2에 해당하는 디지털 시민 참여 과정과 경험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 참여 과정은 중재됨과 중재함을 통해 사회적 관심을 형성 및 촉구하는 시민 성장기로 나타났다. 이 성장기는 실험적 탐색의 단계-실천적 참여의 단계-시민 정체성 확장의 단계로 전개된다. 먼저, 청소년들은 디지털 환경에서 알고리즘, 불특정 타자와 또래집단, 여가 문화에 의해 사회문제에 접근하게 된다. 이들이 마주한 사회문제는 처참한 심각성을 보이며 분노의 감정을 일으키고, 이들이 마주한 기성세대의 시민 참여 문화는 혐오와 무시로 점철되어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게 만든다(인과적 조건). 이에 따라 청소년들은 분노의 감정을 행동의 실천으로, 비판적 사고를 대안의 모색으로 전환하면서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 촉구라는 시민 참여의 방식을 고안해낸다. 사회문제에 관한 관심의 촉구는 N수 확장의 증폭 문화와 실시간 파악의 속도전 문화라는 디지털 환경 자체의 특성을 배경으로 하여 더욱 촉발된다(맥락적 조건). 관심 촉구를 위한 청소년들의 구체적인 행동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청소년들은 첫째, 사회문제 파악을 위한 분석적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둘째, 자기보호 기제를 활용하여 참여의 안전지대를 마련하며, 셋째, 개별화된 시민 참여 방법을 개발하여 특화하고, 넷째, 10대 참여 독려를 위한 전략 개발에 총력을 기울인다(행동/상호작용 전략). 이때 학교교육이나 진로관심, 의미있는 타자들의 지지와 연대는 청소년들의 시민 참여 행동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반면, 참여를 흔드는 관계적 불안과 물리적 제약은 청소년들의 시민 참여 행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중재적 조건). 이렇듯 청소년들은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으며 일련의 경험을 축적하게 된다. 그리고 그들의 디지털 시민 참여는 자연스럽게 학업생활, 교우생활, 일상생활과 연동함에 따라 지속된다. 이렇듯 청소년들은 자연스럽게 안착한 시민 참여의 지속적 실천으로 인해 시민 정체성을 내면화하게 된다. 종합하면, 청소년들은 디지털 환경에서 다양한 계기를 통해 사회적 관심을 형성하는 중재됨을 경험하기도 하고, 사회적 관심을 촉구하는 중재함을 실천하기도 하면서 디지털 시민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이어서 연구 질문 3에 해당하는 디지털 시민 참여에 따라 발달한 시민 정체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지털 시민 참여로 인해 발달한 청소년의 시민 정체성은 문제의식을 중재하는 나노 인플루언서라 할 수 있다. 청소년들은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 중재 행위를 통해 자신들을 둘러싼 또래집단 친구들과 타인들에게 시민 학습의 기호들을 운반해주는 전달체가 된다. 이들의 행위는 사회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해주지는 않지만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미시적 영향력을 발휘한다. 구체적으로는 관찰가, 소통가, 운동가 등의 역할을 하면서 자신의 관계망 안에서 작은 단위의 영향력을 발휘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질문 4에 해당하는 디지털 시민 참여에 따라 발달한 디지털 시민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들의 디지털 시민성은 차이와 반복의 디지털 시민성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디지털 시민성은 인지, 정서, 행동에 따른 기존의 논의와 유사한 반복적 패턴을 보이면서도 관심의 중재 행위라는 특화된 행동이 나타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청소년들은 기존 논의와 유사하게 미디어 리터러시, 사이버윤리, 공감적 커뮤니케이션, 참여적 행동 등의 시민성을 함양하면서도 디지털 환경과 일상의 다양한 영역을 연동시킴으로써 타인들에게 사회문제에 관한 관심을 촉구하는 능동적 시민성을 발휘하고 있다. 이에 더해 청소년들이 디지털 시민 참여 경험을 통해 형성한 디지털 시민성의 성격은 구성적이고, 하위문화적이며 지속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지털 시민성이 의미있는 타자들과의 실험적 시도와 탐색에 따라 개별화된다는 점, 또래집단 친구들과 향유하는 문화와 연동된다는 점, 단발성의 경험이 아닌 지속성을 띤 경험으로 축적된다는 점과 결부된다. 이처럼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 참여는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고 계속해서 순환하며 이들의 삶 속에 안착한다. 소소하지만 반복적인 참여는 조금씩 축적되면서 익숙한 적응과 창의적인 특화로서의 차이를 이끌어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방법론적, 실천적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 참여의 경험과 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 참여 과정과 경험을 조건과 행동/상호작용 전략, 결과 등으로 체계적으로 이해하였으며, 시민 정체성과 디지털 시민성의 개념을 통해 디지털 시민 참여의 결과를 깊이 있게 분석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 참여를 연구할 때 필요한 최적화된 접근법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가 전략으로 사용한 디지털 화상 플랫폼과 닉네임 부여를 통한 자기 노출의 유도, 상호존중을 통한 호혜적 면담 수행, 종단적 면담을 통한 참여 과정의 추적, 이미지 캡처 자료를 통한 직관적 이해의 추구 등은 향후 관련 연구 분야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당면과제와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를 지닌다. 디지털 시민성 교육은 청소년들의 디지털 시민성을 부재한 것으로 바라보는 처치나 개입보다는 실제 청소년들이 소지한 디지털 시민성의 특정 국면에 집중하면서 당면 과제의 해결을 돕는 보완의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청소년 스스로의 디지털 시민 참여 과정을 되돌아보는 성찰활동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에서 적용 가능한 적합한 교육 실행의 주체로 사회과를 상정하였다. 사회과의 다양한 주제영역을 통해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 참여를 촉진하고 보완하는 디지털 시민성 교육이 실천되기를 기대한다.
Civic engagement is both motivation and key activity for growing and developing oneself as a democratic citizen. In particular, civic engagement in the adolescent stage is crucial as the experience has a lasting impact on ones civic engagement after entering adulthood. Youth civic engagement serves as a basis for adolescents continuous action even they become adults in that it enables them to identify themselves as citizens who play the role of civic actors. Adolescents go through a series of developmental processes during the civic engagement. It eventually leads to the development and internalization of citizenship, which is the quality and capacity required as a citizen.
The digital environment is an indispensable term when it comes to the recent discussion of youth civic engagement. Unlike the older generation, the obliged and responsible citizens, youth is the new generation that pursues self-realized engagement. Meanwhile, this engagement is more reinforc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Digital civic engagement enables self-realization as any participant can become either a producer, narrator, or opinion leader who influences others. That is, although adolescents have been segregated from public and institutional affairs in real life for their age, they can take actors rol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Moreover, the unique feature of the digital environment as a loose network reduces the burden of cooperation and hence encourages more enjoyable voluntary engagement. In this light, youth would willingly continue their digital civic engagement because a lighter burden is given than in the offline environment.
However, previous studies that assert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and the digital environment have not properly examined youths digital civic engagement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studies focused only on the uni-directional influence of the digital environment. Second, they considered youths engagement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 exceptional case or a carefully-controlled experience with a clear educational purpose. Third, they 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hich gives only a partial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issue. Since such research trends have not thoroughly explore youths digital civic engagement, there is a need of a study to account for these aspects.
In this regard, first,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bi-directional interaction between youth and the digital environment in view of youth as active entities rather than passive ones. In other words, in such an environment, youth are both a subject that influences others and an object of being influenced. Second, the study sees youths digital civic engagement as an ordinary experience, not as an exceptional case. Hence, the study operationally defined the term as a series of participation in public issues, social problems, and communiti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youths daily engagement with a broad perspective. Third, to understand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ajor phenomenons that make youths digital civic engagement feasible, the study approaches youths actual engagement processes and experiences with a comprehensive view. In sum, the study probes into the nature of youths civic engagement processes and analyzes the consequent formation of their civic identity and digital citizenship.

The following research topic and questions guide the research.
** How to understand youths digital civic engagement?
1. What experiences does youth have during digital civic engagement?
2. How does the process of youths digital civic engagement develop?
3. What kind of civic identity does youth develop from digital civic engagement?
4. What kind of digital citizenship does youth develop from digital civic enga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grounded theory as a methodology for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vides a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nd engagement process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the theory involve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ng coding as its data analysis method. Overall 49 students ranging from middle school third-grade to high school second-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research.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oretical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with the consideration of gender, age, residence, and experience of digital civic engagement. The qualitative data used for analysis were three sequential online interviews and screenshots of participants digital civic engagement practice.
The results for the first and secon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Youths digital civic engagement process was presented as the development of a citizen who forms and urges public attention by mediating and being mediated. The process is developed in an order of experimental exploration stage, practical participation stage, and expansion of civic identity stage. Firstly, results show that youth get their initial access to social problems in the digital environment due to algorithms, people of weak ties, peer groups, and leisure culture. While those serious social problems arouse the ire of youth, the older generations civic engagement culture that youth encounter overflows with aversion and contempt, which naturally makes youth become critical (causal conditions).
Acknowledging their anger and critical viewpoint, youth put their own way of civic engagement into action by urging for public attention towards social problems(core phenomenon). The act of urging is prompted b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environment, which has cultures that emphasize the expansion of N number and the prompt response to real-time updates (contextual conditions). Youths specific action strategies for urging public attention are as follows. First, they create analytical portfolios to identify social problems. Second, they utilize self-defense mechanisms to protect their ego when civically engaging in social problems. Third, they both develop and individualize their civic engagement methods. Fourth, they pay attention to the strategy development that would encourage other youths participation (actions/interaction strategies).
Meanwhile, in terms of the facilitators of youths civic engagement behaviors, there are school education, career interest, support from other meaningful individuals, and solidarity with other civic actors. On the contrary, the factors that hinder youths civic engagement behaviors are anxiety abou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hysical constraints (intervening conditions). In other words, youth accumulate a series of experiences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and their digital civic engagement continues along with their daily lives associated with schools and friends. Through the continuous practice of civic engagement that naturally settles as part of daily life, youth eventually internalize civic identity(consequences). In sum, in the digital environment where they are exposed to various influencing factors, youth grow as digital citizens by being mediated to form the target public attention, and by mediating to urge for raising public attention towards social problems.
The results for the third research question regarding civic identity are as follows. In short, youths civic identity that developed through digital civic engagement can be summarized as Nano influencer who mediates problem-consciousness. By performing mediating behaviors that urge public attention, youth deliver the message of civic learning to the surrounding community. Although their action does not resolve social problems directly, it is still influential in that their action implies the possibility of youths contribution to the resolution of social problems. In other words, though it is indirect, youth exert their influence within their network by taking the roles of observer, communicator, and activist.
Lastly, the results for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regarding digital citizenship are as follows. Through digital civic engagement, youth develop the digital citizenship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The participants showed similar patterns to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However, the participants behaviors differ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e participants performed mediating behaviors that aim for public attention. Furthermore, youths digital citizenship is shown to be constructive, subcultural, and continuous. This finding colligates with the idea that digital citizenship is personalized while youth attempt experimental engagement and exploration with community members. In addition, youths digital citizenship is in accord with the culture that is shared among peer groups. Also, the development of youths digital citizenship is realized through the accumulation of repetitive civic engagement experiences, not by one single event. In short, digital civic engagement settles in youths daily life through cyclic and repetitive practices, and the repetition leads to youths adaptation and creative individualization of engagement method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youths digital civic engagement experience and their engagement process. Thi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s provided by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engagement processes and experiences into corresponding conditions, actions/interaction strategies, and consequences.
Second, this study has methodological implications for taking an optimized approach with different kinds of strategies to explore the nature of youths digital civic engagement.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an online video platform and gave nicknames to each participant to encourage their self-exposure. This longitudinal research also conducted reciprocal interviews based on mutual respect to probe into the details of the civic engagement processes. Moreover, this study used screenshot data to pursue an intuitive grasp of underlined meanings. The use of various strategies offers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in the related fields.
Third,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highlighting the challenges and suggesting the directions for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take complementation as its direction to solve the confronted challenges. It should focus on the actual state of youths digital citizenship rather than neglecting or intervening in their citizenship. Accordingly, an activity that enables one to reflect on his or her digital civic engagement process would be necessary. The present study suggested social studies as the subject for feasible implementation. Hopefully, future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would be practiced among various social studies areas and hence contribute to the promotion and complementation of youths digital civic engagement.

Key Words: youth, digital civic engagement, civic identity, digital citizenship, mediating behavior, nano-influencer, difference and repetition,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social studies education.

Student Number : 2016-36602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08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65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